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주 지역 특정 비브리오균종 집중분포와 지역 환경요인과의 관련성 연구(1차년도) =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distribution of specific vibrio spp. and marine environment in JEJU(First Ye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628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Climate environment change and cholera(water borne diseases) : Water borne diseases like cholerae and salmonellosis could outbreak by climate environment change and the effect of climate environment change can influence the global burden of diseas...

      ○ Climate environment change and cholera(water borne diseases) : Water borne diseases like cholerae and salmonellosis could outbreak by climate environment change and the effect of climate environment change can influence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according to IPCC 4th report and address of World Health Day by Dr. Margaret Chan, director of WHO, especially water borne diseases and vector borne diseases.
      ○ Jeju is already change to subtropical area and other area in korean peninsula like south west and south coast are changing to subtropical area by climate change, and the risk of outbreak by virulence vibrio spp. is increasing according to climate change like increasing of sea temperature.
      ○ The results of 2009 KNIH project of the distribution of vibrio spp. and marine environment was showed that relative isolation rate of vibrio cholerae is high than vibrio parahaemolyticus in sea of JEJU.
      ○ Our results showed that vibrio cholerae were isolated at the west sea and Jeju harbor of jeju from march and at east sea of jeju from july, and at sea of yeosu from may.
      ○ According to the recA phylogenetic analysis, some isolated vibrio cholerae between july and september at west sea of jeju were same group from south east isolated.
      ○ The detection of ctxA, O1, and O139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some isolated at west sea, and jeju harbor of jeju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were O1 positive.
      ○ Sea water of south east asiat asiatinflow through the taiwan strait to west of Jeju in summer season.
      ○ Therefore relative high isolation rate of vibrio cholerae may be associated with jeju's marine environment of jeju.
      ○ The results of this project can use about effective surveillanc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water borne diseases(especially cholera) according to korean peninsula climate environment chan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 기후환경변화와 콜레라(수인성 감염질환) : 기후환경변화에 의해 살모넬라(Salmonella),이질(Shigella), 콜레라(Cholerae)와 같은 수인성 감염성 질환(Water borne disease)들이 창궐할 수 있으며, 이러...

      ○ 기후환경변화와 콜레라(수인성 감염질환) : 기후환경변화에 의해 살모넬라(Salmonella),이질(Shigella), 콜레라(Cholerae)와 같은 수인성 감염성 질환(Water borne disease)들이 창궐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건문제가 심각한 초래할 수 있음에 대해서는 IPCC(국가간 기후변화 협의체) 4차 보고서 및 2008년 4월 7일 세계 건강의 날(World Health Day)의 행사에서 세계 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사무총장 Dr Margaret Chan이 이에 대해 경고.
      ○ 전 지구적인 기후환경변화의 영향으로 제주도는 아열대 기후로 변화였고, 한반도 다른 지역도(서, 남해안) 아열대로 변해가고 있음에 따라, 주변 해수 온도의 꾸준한 상승으로 콜레라균, 패혈증 비브리오균, 장염 비브리오균 등과 같은 병원성 비브리오균에 의한 집단 환자 발생의 우려가 커지고 있음.
      ○ 2009년 질병관리본부의 해양환경 비브리오균 분포조사사업 결과, 제주지역의 비브리오 콜레라균의 상대적 분리율이 장염 비브리오 균보다 높게 나타나 내륙 해안지역의 조사 결과와 반대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연구 수행 결과 비브리오 콜레라균의 정성분석결과는 3월부터 제주도의 서쪽해역인 서귀포항, 천지연(담수), 한림항 및 제주항에서는 3월부터 동쪽해역인 성산포항은 7월부터 남해안 해역인 여수(국동, 중앙동)는 5월부터 비브리오 콜레라균의 검출이 되었음.
      ○ 7월에서 9월 사이 제주도 서쪽지역(천지연, 서귀포항, 한림항) 및 제주항 해수에서 분리된 콜레라균의 recA 계통분석 결과 동남아시아 분리주와 같은 그룹으로 확인됨.
      ○ 콜레라 독소 파아지 유전자(ctxA) 및 O139, O1 PCR로 확인결과: 천지연, 한림항, 서귀포항 분리주중 일부 O1 양성으로 확인됨.
      ○ 해양환경(연안류) 분석결과: 동남아시아 해안의 해수는 겨울철에는 동중국해로 유입되기 힘들지만 여름철에는 연안류를 따라 대만해협을 통해 동중국해로 유입되고 제주도 주변해역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음.
      ○ 따라서 비브리오 콜레라균의 분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중 현상 및 이른 시기에 균이 검출되는 현상은 제주도 지역의 해양 환경 요인과의 관련성이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
      - 제주지역에 동남아시아 해안 해류의 유입으로 동남아시아 해안 해수에 존재하는 비브리오 콜레라가 유입 가능(여름철 제주지역 해수 흐름 및 비브리오 콜레라균 recA 계통수 참조).
      - 한반도 기후환경변화로 인해 제주지역의 해수 온도상승으로 유입된 비브리오 콜레라균의 증식이 가능한 해양조건이 되었으며 따라서 제주지역에 유입된 균이 여름철뿐만 아니라 겨울철에도 천지연, 한림, 제주 지역에서 증식이 가능(비브리오 콜레라균 recA 계통수 참조)
      ○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물은 한반도 기후환경변화에 따른 병원성 비브리오균 분포 변동 여부 확인을 통하여 콜레라를 포함한 수인성 감염 질환에 대해서 효과적인 감시, 예방 및 관리를 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함.
      - 제주지역 해양환경요인(1)동남아시아 연안 해류의 유입, 2)한반도 기후환경변화로 제주지역 해수온도 상승)으로 동남아시아 연안 해수에 존재하는 비브리오 콜레라균 유입 및 증식 가능.
      - 지금까지 분리한 비브리오 콜레라균은 콜레라 독소를 가지고 있지 않은 가성 콜레라균이지만 동남아시아 연안해수에 존재하는 콜레라 독소를 가지고 있는 법정 제1군 전염병인 진성 콜레라균이 해류를 타고 제주도 및 남해안에 유입 및 증식 가능성이 높아짐.
      - 따라서 전 세계적인 기후 온난화에 의해서 한반도 기후환경변화 시 문제가 되는 수인성 감염질환(콜레라)에 대한 체계적이고 조기 감시, 경보, 예방 및 관리가 필요함.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