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 정교회의 소피아론 ― S. 불가코프를 중심으로 = Sophiology in Russian Orthodoxy Focused on Sergei Bulgakov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32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the term Sophia(המכח, wisdom) has stood for a variety of biblical, theological and mystical images over the centuries, the most significant attempt to develop and elaborate a doctrine of Sophia within an explicitly Christian framework belong...

      While the term Sophia(המכח, wisdom) has stood for a variety of biblical, theological and mystical images over the centuries, the most significant attempt to develop and elaborate a doctrine of Sophia within an explicitly Christian framework belongs to Russian priest and theolo- gian S. N. Bulgakov (1871-1944). Sophiology is preeminently con- cerned with the way in which the link between God and creation is effected and manifested. In contrast to the dominant patristic view, whereby Sophia, the Divine Wisdom, is identified with Christ in accord- ance with a well-known scriptural passage(1Cor. 1:24), Bulgakov ar- gues that the mediation between God and world is accomplished through the hypostasized Sophia which has for this reason been open to charges of incompatibility with accepted Orthodox teaching. The present paper will examine the doctrine of Sophia, focusing on consistency with Orthodox tradition, panentheism and Trinitarian love in Bulgakov which has been unfamiliar to Korean Christianity. It will be argued that Sophiology for Bulgakov is a doctrinal means not only to express his personal encounter with the divine reality(Sophia) but also to uncover God’s personal engagement, that is, the unity of Divine-humanity in the created world in its relation to and as part of divine wor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소피아(המכח, 지혜)는 수 세기 동안 성서적, 신학적, 신비적 형상으로자리하였으나, 그리스도교적 틀 안에서 교리로 발전시키고 정교화하는 데 심혈을 기울인 학자는 러시아 정교회 사제�...

      소피아(המכח, 지혜)는 수 세기 동안 성서적, 신학적, 신비적 형상으로자리하였으나, 그리스도교적 틀 안에서 교리로 발전시키고 정교화하는 데 심혈을 기울인 학자는 러시아 정교회 사제이자 신학자인 S. N. 불가코프(1871-1944)이다. 소피아론(Sophiology)은 하나님과 창조 사이의 연계가 세상 안에서 만들어지고 드러나는 방식에 특히 관심을 둔다. 사실 교부신학의 지배적인 의견은 신적인 지혜, 소피아는 성경(고전 1:24)에서 잘 알려진 대로 그리스도와 동일시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불가코프는 하나님과 세계 사이의 중재는 인격화된 소피아를 통해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고, 이러한 주장은 정통주의 가르침과는 부합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다. 본 논문은 한국 그리스도교에 생소한 불가코프의 소피아론을 포용적 관점에서 [정교회] 전통과의 연속성, 범재신론 그리고 삼위일체론적 사랑을 중심으로 고찰할 것이다. 이를 통해소피아론이 신적인 실재(소피아)와의 인격적 만남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인격적 관여, 말하자면, 신적인 세계와 관계하는 그리고그것의 부분으로서의 창조 세계 안에서 신적인-인성의 연합을 보여주는 교의적 수단임을 주장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옥주, "하나님-인간과의 연합으로의 길: 블라드미르 로스키의 신학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95 : 35-64, 2019

      2 이명현, "Вл. 솔로비요프의 「신인성에 관한 강의」와 소피아론" 한국노어노문학회 23 (23): 177-206, 2011

      3 Meehan, Brenda, "Wisdom/Sophia, Russian Identity, and Western Feminist Theology" 46 (46): 149-168, 1996

      4 Meyendorff, John., "Wisdom-Sophia Contrasting Approaches to a Complex Theme" 41 : 391-401, 1987

      5 Nichols, Aidan., "Wisdom from Above? : The Sophiology of Father Sergius Bulgakov" 85 : 598-613, 2004

      6 Palamas, Gregory., "The Triads" Paulist Press 1983

      7 Arjakovsky, Antoine., "The Sophiology of Father Sergius Bulgakov" 49 : 219-235, 2005

      8 Lossky, Vladimir N, "The Mystical Theology of the Eastern Church"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76

      9 Bulgakov, Sergius, "The Lamb of God"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2

      10 Bulgakov, Sergius, "The Comforter" Wm. B. Eerdmans Publish. Co 2004

      1 김옥주, "하나님-인간과의 연합으로의 길: 블라드미르 로스키의 신학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95 : 35-64, 2019

      2 이명현, "Вл. 솔로비요프의 「신인성에 관한 강의」와 소피아론" 한국노어노문학회 23 (23): 177-206, 2011

      3 Meehan, Brenda, "Wisdom/Sophia, Russian Identity, and Western Feminist Theology" 46 (46): 149-168, 1996

      4 Meyendorff, John., "Wisdom-Sophia Contrasting Approaches to a Complex Theme" 41 : 391-401, 1987

      5 Nichols, Aidan., "Wisdom from Above? : The Sophiology of Father Sergius Bulgakov" 85 : 598-613, 2004

      6 Palamas, Gregory., "The Triads" Paulist Press 1983

      7 Arjakovsky, Antoine., "The Sophiology of Father Sergius Bulgakov" 49 : 219-235, 2005

      8 Lossky, Vladimir N, "The Mystical Theology of the Eastern Church"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76

      9 Bulgakov, Sergius, "The Lamb of God"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2

      10 Bulgakov, Sergius, "The Comforter" Wm. B. Eerdmans Publish. Co 2004

      11 Cunningham, Mary B., "The Cambridge Companion to Orthodox Christian Th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2 Meyendorff, John, "The Byzantine Theology : Historical Trends and Doctrinal Themes" Fordham University Press 1974

      13 Bulgakov, Sergius, "Sophia, the Wisdom of God : An Outline of Sophiology" Lindisfarne Press 1993

      14 Deane-Drummond, Celia., "Sophia, Mary and the Eternal Feminine in Pierre Teilhard de Chardin and Sergei Bulgakov" 10 (10): 215-231, 2005

      15 Tataryn, Myroslaw., "Sergius. Bulgakov(1871-1944) : Time for a New Look" 42 : 315-338, 1998

      16 Crum, Winston F., "Sergius N. Bulgakov : From Marxism to Sophiology" 27 : 3-26, 1983

      17 Moore, Harry., "Russian Sophiology and the Hebrew Poetry of Proverbs 8 : 22-31" 36 (36): 743-757, 2020

      18 Aldredge-Clanton, Jann, "In Search of the Christ-Sophia : An Inclusive Christology for Liberating Christians" Twenty-Third Publications 1995

      19 Klimoff, Alexis., "Georges Florovsky and the sophiological controversy" 49 (49): 67-100, 2005

      20 Blane, Andrew, "Georges Florovsky : Russian Intellectual and Orthodox Churchman"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93

      21 Sakharov, Nikolai., "Essential Bulgakov : His Ideas about Sophia, the Trinity, and Christ" 55 (55): 165-208, 2011

      22 Sergeev, Mikhail., "Divine Wisdom and the Trinity : A 20th centaury controversy in Orthodox Theology" 45 (45): 573-583, 2000

      23 Bulgakov, Sergius, "Bride of the Lamb" Wm. B. Eerdmans Publish. Co 2002

      24 Basil of Caesarea, "A Select Library of the Christian Church: Nicene and Post Nicene Fathers" Hendrickson Publishers, Inc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