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또래 놀이행동, 교수효능감 및 교실환경 간의 관계 및 영향력 분석 =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among teacher-child interaction, peer play behavior, teachers' efficacy, and classroom enviro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39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among teacher-child interaction, peer play behavior, teachers’ efficacy, and classroom environmen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14 children (mean age : 62.68 months)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among teacher-child interaction, peer play behavior, teachers’ efficacy, and classroom environmen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14 children (mean age : 62.68 months) and their teachers who attended 2013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Teacher Self-Efficacy Scale, Classroom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Early Childhood Observation Instrument, and the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verified vi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models.
      The primar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teacher-child interaction, peer play behavior, teachers’ efficacy, and classroom environment. 2) teachers’ efficacy was found as a meaningful predictive variable that most predicted teacher-child interaction.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implication on support measures to promote teachers' efficac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또래 놀이행동, 교수효능감 및 교실환경 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3년도에 수집된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

      본 연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또래 놀이행동, 교수효능감 및 교실환경 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3년도에 수집된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에 참여한 유아 총 1,214명과 그들의 교사였다. 연구를 위해 또래 놀이행동 척도(PIPPS), 교수효능감 검사도구(TSES), 교실환경 평가도구, 교사․유아상호작용척도(ECOI)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또래 놀이행동, 교수효능감, 교실환경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효능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가장 높게 예측하는 유의미한 정적 예측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채영, "현장수업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언어교수효능감과 언어교수행위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6 (16): 153-177, 2012

      2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2013 사업보고서" 육아정책연구소 2013

      3 장명림, "제 3주기 유치원평가 개선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3

      4 고미경, "전문성 향상을 위한 유아교사론" 창지사 2007

      5 윤수정,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을 통한 유아-교사 상호작용과 또래상호작용의 종단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03) : 75-95, 2017

      6 육아정책연구소, "유치원과 보육시설 시설․설비 기준 개발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09

      7 김복희, "유치원 교육환경의 질적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노재은, "유치원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德成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9 한현숙, "유치원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0 오승민,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 조채영, "현장수업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언어교수효능감과 언어교수행위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6 (16): 153-177, 2012

      2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2013 사업보고서" 육아정책연구소 2013

      3 장명림, "제 3주기 유치원평가 개선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3

      4 고미경, "전문성 향상을 위한 유아교사론" 창지사 2007

      5 윤수정,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을 통한 유아-교사 상호작용과 또래상호작용의 종단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03) : 75-95, 2017

      6 육아정책연구소, "유치원과 보육시설 시설․설비 기준 개발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09

      7 김복희, "유치원 교육환경의 질적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노재은, "유치원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德成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9 한현숙, "유치원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0 오승민,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1 한석실,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확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0 (10): 207-240, 2003

      12 최미애, "유치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3 이윤옥, "유아학급에서 교사와 유아의 효율적인 상호작용-비고스키 이론을 중심으로" 10 (10): 125-153, 2006

      14 신은수, "유아의 사회적 기술,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놀이 행동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183-209, 2010

      15 전숙영, "유아의 사회성 기질, 유아교육기관의 물적 환경 및 인적 환경과 또래 놀이상호작용과의 구조적 관계"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11 (11): 65-80, 2016

      16 최소영,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311-329, 2015

      17 김상림, "유아의 기질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37-58, 2015

      18 이미란, "유아의 기질, 부모의 양육방식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191-214, 2015

      19 金明子,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1

      20 박창현, "유아교육기관, 교사 및 유아집단 특성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8 (8): 99-125, 2012

      21 서석원,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실환경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 54 (54): 293-305, 2016

      22 신동주, "유아교유기관의 물리적 환경과 유아의 실내·외 놀이행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165-185, 2006

      23 김정화, "유아교실의 문식성 환경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8 (28): 101-113, 2007

      24 곽희경,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25 류민영, "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6 박보영,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과 유아교육기관의 특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교사 효능감을 매개로" 28 (28): 1-21, 2016

      27 유정아, "유아교사의 기질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사 효능감,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269-289, 2017

      28 김미소,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유아 또래 상호작용의 관계에 미치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및 유아 성별의 조절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29 심숙영,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 유아기질에 따른 차이 검증"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353-369, 2017

      30 손희진,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질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35 (35): 191-209, 2014

      31 안상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2 박은혜, "유아교사론" 창지사 2013

      33 유지연, "영아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1-23, 2015

      34 이진희,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이 교사의 효능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233-260, 2011

      35 이명진, "연령과 성에 따른 유아의 상호작용 유형차이에 관한 연구"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36 박해연,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37 최혜영, "아동 또래 놀이행동 척도(PIPPS)의 국내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 한국아동학회 29 (29): 303-318, 2008

      38 김수진,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및 교사의 창의적 역할 수행과 유아의 창의성 간의 관계" 1 (1): 125-146, 2005

      39 서문희, "보육시설 평가인증 시행의 평가와 추진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09

      40 이형민,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실 환경,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유아의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육아정책연구소 9 (9): 89-112, 2015

      41 김현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2 (2): 111-128, 2006

      42 이은정,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한국자치행정학회 25 (25): 319-337, 2011

      43 김규수,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언어능력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실 문해환경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49-74, 2012

      44 신은수,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 놀이발달에 미치는 영향" 20 (20): 27-42, 2000

      45 최효식, "교실환경,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인지능력, 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339-356, 2015

      46 이선경, "교실환경,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인지능력과 또래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925-945, 2016

      47 김영선, "교실의 물리적 환경구성이 유아의 분류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23 : 89-107, 2000

      48 김양은, "교수 적극성 예측변인 분석: 교사 특성변인, 유아교육기관 근무환경, 교사 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207-227, 2008

      49 조의선, "교사효능감 및 교사기질이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1

      50 김명선,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정서능력, 인성특성,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3 (13): 53-80, 2014

      51 문영경,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5 (15): 1-20, 2015

      52 이정숙,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유아교육대학원 2003

      53 이숙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교사변인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11 (11): 1-18, 2011

      54 문수아,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언어능력의 매개효과 및 모 취업여부의 조절효과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55 김시연,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의 내적변인과 외적변인들 간의 구조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23-50, 2014

      56 권량희,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사 신념, 직무 만족도 및 교사 효능감 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57 박현정, "교사-유아 상호작용 시작과 참여 유아의 기질 및 사회·정서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58 차인영,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교실환경과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유아의 언어‧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10 (10): 95-117, 2016

      59 한은숙,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교수효능감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53-70, 2016

      60 여성가족부, "가족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5

      61 Vandell, D. L., "Variations in early child care: Do they predict subsequent social, emotional, and cognitive differences?" 5 (5): 555-572, 1990

      62 Barnett, S., "The state of preschool" National Institute for Early Education Research 2003

      63 Bredekamp, V. S.,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and procedures of a national accreditation system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University of Maryland 1985

      64 Holloway, S. D.,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3 (3): 39-53, 1988

      65 Katz, L. G., "The professional early childhood teacher" 39 (39): 3-10, 1984

      66 Chung, L. C., "Teacher factors associated with preschool teacher-child relationships : Teaching efficacy and parent-teacher relationships" 25 (25): 131-142, 2005

      67 Howes, C., "Social-emotional classroom climate in child care, child-teacher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econd grade peer relations" 9 (9): 191-204, 2000

      68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Inc 1986

      69 Thompson, R. A., "Social and emotional health in early childhood: Building bridges between services and systems" Brookes 13-36, 2007

      70 Peisner-Feinberg, E. S., "Relations between preschool children's child-care experiences and concurrent development : The Cost, quality, and outcomes study" 43 : 451-477, 1997

      71 Johnson, S. R., "Promoting student–teacher interactions : exploring a peer coaching model for teachers in a preschool setting" 45 (45): 461-470, 2017

      72 Stanton-Chapman, T. L., "Promoting positive peer interactions in the preschool classroom : The role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teacher in supporting children’s sociodramatic play" 43 (43): 99-107, 2015

      73 Copley, J. V., "Preparing teachers of young learner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mathematics and science" Forum on Early Childhood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ducation 1998

      74 Coolahan, K., "Pre-school peer interactions and readiness to learn : Relationships between classroom peer play and learning behaviors and conduct" 92 (92): 458-465, 2000

      75 Winton, P. J., "Practical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Evidence, strategies, and resources" Zero to Three Press 1-12, 2008

      76 Zigler, E. F., "Play ¼ learning: How play motivates and enhances children’s cognitive and social emotional growth" Oxford University Press 15-35, 2006

      77 Lin, T. J., "Peer interaction in rural preschool classrooms : Contributions of children’s learning-related behaviors, language and literacy skills, and problem behaviors" 37 : 106-117, 2016

      78 Vygotsky, L.,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and development" 23 (23): 34-41, 1978

      79 Holzberger, D., "How teachers’ self-efficacy is related to instructional quality : A longitudinal analysis" 105 (105): 774-786, 2013

      80 Coplan, R. J., "Handbook of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groups" The Guilford 143-161, 2009

      81 Bandura, A., "Guide for constructing self-efficacy scales" 5 (5): 307-337, 2006

      82 Hamre, B., "Evidence for general and domain specific elemen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 Associations with preschool children’s development" 85 (85): 1257-1127, 2014

      83 Hartup, W. W., "Early peer relations : Developmental significance and prognostic implications" 5 (5): 1-17, 1990

      84 Helburn, S., "Cost, Quality, and Child Outcomes in Child Care Centers : Key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50 (50): 40-44, 1995

      85 Fantuzzo, J., "Contextually-relevant validation of peer play constructs with African American head start children : Penn interactive play scale" 13 (13): 105-120, 1998

      86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Child-care structure→ process→ outcome :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hild-care quality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13 (13): 199-206, 2002

      87 김연하, "Bandura의 교사 자기 효능감 척도(Teacher Self-efficacy Scale) 요인구조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69-191, 2008

      88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3

      89 박희숙, "24시간 어린이집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감정이입 능력과 타인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1 (21): 1-22, 2014

      90 서문희, "2012년 전국 보육실태 조사-가구조사보고"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