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어로의 전회’와 인문학으로서의 작가론 = The Linguistic Turn and the Study of Authorship as the Human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216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본 논문은 ‘언어로의 전회’ 이후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작가론이라고 하는 연구 형식이 여전히 유효할 수 있는지, 그리고 여전히 유효하다면 작가론은 어떠...

      지금까지 본 논문은 ‘언어로의 전회’ 이후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작가론이라고 하는 연구 형식이 여전히 유효할 수 있는지, 그리고 여전히 유효하다면 작가론은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되어야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문학 연구가 담론 연구 중심으로 전환되고, 저자라는 개념 역시 담론의 질서 속으로 포섭이 된 이 시대에, 작가론이라고 하는 이 고루한 문학 연구 형식이 여전히 유효할 수 있는 이유는, 작가론의 목표가 단지 ‘저자의 의도’를 밝히는 데에 있는 아니라, 저자가 그런 의도를 품고, 또 그런 말을 하게끔 한 원인을 읽어내는 것으로 확장될 수 있는 여지가 생겼기 때문이다. 즉, 저자가 하는 말이 담론의 구조 속에서 비틀려버렸기 때문에 비로소 저자들이나 저자들의 말이 차지하고 있어 보이지 않던 ‘저자의 자리’가 보이기 시작하게 된 것이다. 여기서 저자가 죽은 뒤 마침내 드러난 ‘저자가 차지하고 있던 자리’란 작가가 자신의 말로 감추고 있던 바로 그 자리이자, 누구나 그 자리에 들어서면 그 말을 할 수밖에 없게 하는 일종의 억압인 동시에 칸트적인 의미에서의 초월론적인 형식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발견된 형식이란 담론이라는 언어의 그물망 속에 갇힌 작가론이라는 글쓰기가 언어의 그물망으로부터 탈출하여 마침내 다가가야 할 문학적 진실 그 자체이다. 문제는 구조주의 이후의 시대 작가론의 새로운 연구 대상이 된 이 ‘문학적 진실’이 네거티브하지 않은 방식으로 언어화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데 있다. 이런 이유에서 본 논문은 작가론이 나가야할 방향으로 트랜스크리틱을 제안했다. 작가론이 작가의 진실이라는 것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그것을 숨기면서 드러내는 방법 밖에 없고, 이는 곧 자신의 시선을 이동시키는 행위가 없으면 작가의 진실은 결코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research type as the study of authorship still stands, despite the linguistic turn. Even though the author has already been sentenced to death, the reason that the study of authorship is still valid is th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research type as the study of authorship still stands, despite the linguistic turn. Even though the author has already been sentenced to death, the reason that the study of authorship is still valid is the fact the goals of the study shifted. The goal of the study in the era in which the concept of the author was valid aimed to find the intension of the author, wherea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of authorship is extended even to reading the author’s unconsciousness. The ultimate goal of such a converted purpose is to look out a transcendental form from the Kantian meaning. This form means the truth of literature, which the writing named the study of authorship captured in linguistic order should come close to, after escaping linguistic order. This truth of literature, which has been dealt as an object of the study of author since the era of structuralism, does not have methodology to be expressed in language in a non-negative way. For this reason, this paper suggests the transcritique to which the study of authorship should move forward. The truth of author should be revealed in a veil for the study of authorship to approach the truth of author. This is because it means that the truth of author never comes out without an act moving a researcher"s point of view.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학사와 작가론, 담론 공간을 넘어서
      • 2. 저자의 죽음과 저자의 자리
      • 3. 트랜스크리틱과 인문학으로서의 작가론
      • 4. 결론을 대신하며
      • 참고문헌
      • 1. 문학사와 작가론, 담론 공간을 넘어서
      • 2. 저자의 죽음과 저자의 자리
      • 3. 트랜스크리틱과 인문학으로서의 작가론
      • 4. 결론을 대신하며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수잔 손탁, "해석에 반대한다" 이후 2002

      2 김윤식, "한국근대문학연구방법입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3 송태욱, "트랜스크리틱 - 칸트와 마르크스 넘어서기" 한길사 2005

      4 송은영, "저자의 역사" 한국문학연구학회 19 : 2002

      5 박인기, "작가란 무엇인가" 지식산업사 2002

      6 스즈키 토미, "이야기된 자기" 생각의나무 2004

      7 미셸 푸코,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고려대학교출판부 2010

      8 김학동, "원전확정과 작가론의 반성" 새문사 2006

      9 서영채, "아첨의 영웅주의" 소명출판 2011

      10 김예리, "시적 주체의 탄생과 경성 아케이드의 시적 고찰 : 30년대 모더니즘 문학과 장 콕토 예술의 공유점에 대해서" 민족문학사학회 (49) : 256-290, 2012

      1 수잔 손탁, "해석에 반대한다" 이후 2002

      2 김윤식, "한국근대문학연구방법입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3 송태욱, "트랜스크리틱 - 칸트와 마르크스 넘어서기" 한길사 2005

      4 송은영, "저자의 역사" 한국문학연구학회 19 : 2002

      5 박인기, "작가란 무엇인가" 지식산업사 2002

      6 스즈키 토미, "이야기된 자기" 생각의나무 2004

      7 미셸 푸코,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고려대학교출판부 2010

      8 김학동, "원전확정과 작가론의 반성" 새문사 2006

      9 서영채, "아첨의 영웅주의" 소명출판 2011

      10 김예리, "시적 주체의 탄생과 경성 아케이드의 시적 고찰 : 30년대 모더니즘 문학과 장 콕토 예술의 공유점에 대해서" 민족문학사학회 (49) : 256-290, 2012

      11 김윤식, "발견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12 신광현, "대학의 담론으로서의 논문-형식의 합리성에 대한 비판" 나남출판사 1996

      13 문학이론연구회, "담론분석의 이론과 실제" 문학과지성사 2002

      14 김예리, "김춘수의 ‘무의미시론’ 비판과 시의 타자성" 한국현대문학회 (38) : 241-278, 2012

      15 Mitchell, W.J.T., "Picture The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근대문학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1.36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