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SCIE

      Comparison of landmark position between conventional cephalometric radiography and CT scans projected to midsagittal plane = 3차원 CT자료에서 선정된 계측점을 정중시상면으로 투사한 영상과 두부계측방사선사진상의 계측점의 위치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636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landmark position between cephalometric radiography and midsagittal plane projected images from 3 dimensional (3D) CT. Methods: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CT scans were taken from 20 patients for 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landmark position between cephalometric radiography and midsagittal plane projected images from 3 dimensional (3D) CT. Methods: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CT scans were taken from 20 patients for treatment of mandibular prognathism. After selection of landmarks, CT images were projected to the midsagittal plane and magnified to 110% according to the magnifying power of radiographs. These 2 images were superimposed with frontal and occipital bone. Common coordinate system was established on the base of FH plane. The coordinate value of each landmark was compared by paired t test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difference was calculated. Results: The difference was from -0.14 ± 0.65 to -2.12 ± 2.89 mm in X axis, from 0.34 ± 0.78 to -2.36 ± 2.55 mm (6.79 ± 3.04 mm) in Y ax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ly 9 in X axis, and 7 in Y axis out of 20 landmarks. This might be caused by error from the difference of head positioning, by masking the subtle end structures, identification error from the superimposition and error from the different definition.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innate shortcomings of radiography. For the development of 3D cephalometry, more study was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두부계측방사선사진에서 선정한 계측점과, 3차원 CT영상에서 계측점을 선정하고 이를 정중시상면으로 투영하였을때 두 계측점 사이의 위치적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하였...

      본 연구는 두부계측방사선사진에서 선정한 계측점과, 3차원 CT영상에서 계측점을 선정하고 이를 정중시상면으로 투영하였을때 두 계측점 사이의 위치적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III급 부정교합을 주소로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술 전에 CT와 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다. CT자료에서 계측점을 선정하고, 정중시상면을 기준으로 투사영상을 얻은 후에 이것을 110%로 확대하였다. 전두면과 후두골의 외연을 기준으로 두부방사선사진 투사도와 CT자료의 정중시상면 투사영상을 중첩하고, FH평면을 기준으로 공통 좌표계를 설정하였다. 이 좌표계를 기준으로 얻은 계측점 좌표값 차이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paired t test를 시행하였다. X축은 -0.14 ± 0.65 에서 -2.12 ± 2.89 mm, Y축은 0.34 ± 0.78에서 -2.36 ± 2.55 mm (6.79 ± 3.04 mm)의 범위를 보였으며, 20개의 계측점 중 X축은 9개에서, Y축은 7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오차는 촬영자세에 따라 악골의 위치가 변화한 경우, 골단부에 위치함으로써 주변 구조물에 가려진 경우, 해부학적 구조물의 중첩에 따른 식별오차, 계측점의 정의가 다른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