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비추어 본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KSAC)의역할과 과제 = Roles and Problems of the Korea Sports Arbitration Committee (KSAC) comparing with the International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C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24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want to watch an establishment background and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CAS) and am going to show activation plan of Korea Sports Arbitration Committee (KSAC), which was established in 2006. A ...

      In this paper, I want to watch an establishment background and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CAS) and am going to show activation plan of Korea Sports Arbitration Committee (KSAC), which was established in 2006.
      A dispute solution system came to do recognition to be important while experiencing a disadvantage by international sports dispute case, and several kinds people in charge of Korea sports get up for last ten years. The sports disputes are various, It can be settled in legal suit by laws and ordinances not to mention a dispute for the qualification of the player, judgment call, the doping, but economic burden is terrible, and the loss time equivalency is big.
      In addition, I raised the phase of the Korea sports arbitration committee and emphasized a point that it was necessary to prescribe legal grounds for the activation of the sports dispute solution definitely. I think that it is desirable most to prescribe the setting grounds of the appliance for sports dispute solution while 'Basic Law for National Sports' is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This Law will provide for the basic sports rights, duties of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guidelines of the promotion for sports industry, international sports cooperation and sports dispute resolution system.
      The introduction plan of the 'Med-Arbitration' system that could be worse by a procedure of arbitration at the same time was reflected, and I did that it revised the associated law so that international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CAS) had exclusive belonging jurisdiction in a model, and the reform of such a system consisted of 1990's. The reason is because it prescribes it when "Olympics game or all disputes must propose the solution to CAS by sports arbitration rule" to Olympic Charter Article 59 of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and it recognizes exclusive belonging monopoly jurisdiction on CAS. It has to be careful to accept jurisdiction under contract to the CAS in most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 rules at time of the dispute outbreak.
      On the other hand, I would like to raise the phase of the Korea sports arbitration committee, and clearer legal backgrounds come to emphasize a point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activation of the sports dispute resolu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의 설립배경과 활동내용을 살펴보고,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KSAC)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여 보고자 한다. 지난 10년간 한국스포츠계는 몇 가지 국제스...

      이 글에서는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의 설립배경과 활동내용을 살펴보고,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KSAC)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여 보고자 한다. 지난 10년간 한국스포츠계는 몇 가지 국제스포츠분쟁사건에서 불이익을 경험하면서 분쟁해결기구가 중요하다는 인식을 하게 되었다. 스포츠분쟁은 다양하게 일어난다. 국제경기대회의 출전정지 등의 처분에 불복하는 경우도 있다. 선수의 자격, 심판의 판정, 도핑 등에 대한 분쟁은 물론 법령에 의한 법률상의 쟁송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시간적 상당한 손실이 따르고 경제적인 부담도 대단히 크다.스포츠분야의 분쟁해결은 다른 분야보다도 신속성과 전문성이 요구된다.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가 출범한지 불과 2년도 채 되지 못했기 때문에 아직 활동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 분야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일반적인 당사자 합의에 의한 중재제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제도적인 보완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이글에서는 특히, 조정(Mediation)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당사자의 중재합의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안, 대한체육회의 정관과 산하 단체 및 가맹경기단체의 규정을 수정·보완하여 중재합의가 없어도 분쟁해결을 위한 신청을 할 수 있는 방안, 조정(Mediation)·중재(Arbitration)의 절차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Med-Arbitration'제도의 도입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의 위상을 높이고, 스포츠분쟁해결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법적인 근거를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국민체육기본법>이 하루속히 제정되어 이 법 속에 스포츠기본권에 관한 사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스포츠산업진흥과 스포츠육성을 위한 기본지침, 스포츠와 국제협력 등을 규율하면서 스포츠분쟁해결을 위한 기구의 설치근거를 규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병회, "한국에서 스포츠분쟁해결을 위한 ADR제도" 한국스포츠법학회 5 : 2004

      2 연기영,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의 설립과 활동" 10 (10): 2007

      3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 홈페이지"

      4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홈페이지"

      5 吳日煥, "일본의 사법개혁추진 현황, 그 총론적 논의" (406) : 2004

      6 일본스포츠중재기구, "일본스포츠중재기구 홈페이지"

      7 강병근, "월드컵 한일공동개최와 스포츠국제법의 과제-국제스포츠분쟁해결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법학회 (창간) : 2000

      8 강병근, "스포츠중재재판소(CAS)를 통한 스포츠분쟁의 처리" 한국스포츠법학회 5 : 2004

      9 정승재, "스포츠자치권과 스포츠분쟁" 한국스포츠법학회 5 : 2004

      10 김상겸, "스포츠스포츠분쟁해결에 관한 헌법적 연구" 한국스포츠법학회 5 : 2004

      1 양병회, "한국에서 스포츠분쟁해결을 위한 ADR제도" 한국스포츠법학회 5 : 2004

      2 연기영,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의 설립과 활동" 10 (10): 2007

      3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 홈페이지"

      4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홈페이지"

      5 吳日煥, "일본의 사법개혁추진 현황, 그 총론적 논의" (406) : 2004

      6 일본스포츠중재기구, "일본스포츠중재기구 홈페이지"

      7 강병근, "월드컵 한일공동개최와 스포츠국제법의 과제-국제스포츠분쟁해결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법학회 (창간) : 2000

      8 강병근, "스포츠중재재판소(CAS)를 통한 스포츠분쟁의 처리" 한국스포츠법학회 5 : 2004

      9 정승재, "스포츠자치권과 스포츠분쟁" 한국스포츠법학회 5 : 2004

      10 김상겸, "스포츠스포츠분쟁해결에 관한 헌법적 연구" 한국스포츠법학회 5 : 2004

      11 연기영, "스포츠분쟁 해결기구의 설립방안" 한국스포츠법학회 5 : 2004

      12 손석정, "스포츠법학" 태근문화사 2000

      13 김상겸, "스포츠권의 헌법적 보장" 한국스포츠법학회 (창간) : 2000

      14 조성규, "스포츠 행정조직의 법적성격과 권리구제(대한올림픽위원회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법학회 5 : 2004

      15 임건면, "스포츠 중재합의와 내용통제 - 독일에서의 논의를 고려하여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9 : 247-272, 2006

      16 목영준, "상사중재법론" 박영사 2001

      17 장효상, "상사분쟁해결을 위한 조정의 최근 동향" (298) : 2000

      18 여상훈, "민사조정의 활성화에 관한 소고" 민사실무연구회 8 : 1994

      19 대한체육회, "대한체육회 홈페이지"

      20 대한상사중재원, "대한상사중재원 홈페이지"

      21 김상겸, "기본법 제정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한국스포츠법학회 4 : 2003

      22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올림픽위원회 홈페이지"

      23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 홈페이지"

      24 宋相現, "訴訟에 갈음하는 紛爭解決方案의 理念과 展望" 博英社 14 : 1993

      25 小島武司, "裁判外紛?解決手?の利用の促進に?する法律」の制定とスポ?ツ紛?の解決" 한국스포츠법학회 5 : 2004

      26 廣田尙久, "紛爭解決學" 信山社 2002

      27 張容國, "民事調停制度의 現況과 對策" 서울: 博英社 14 : 1993

      28 道垣?正人, "日本スポ?ツ仲裁機構(JSAA)" 276 : 2-3, 2003

      29 道垣?正人, "日本におけるスポ?ツ仲裁制度の設計---日本スポ?ツ仲裁機構(JSAA)?" 1249 : 2-5, 2003

      30 菅原哲朗, "川井圭司, 大川宏 ,「寄稿 日本スポ?ツ仲裁機構」? 自由と正義55?2?50頁"

      31 佐藤幸治, "司法制度改革, 有斐閣, 2002石川明, 三上威彦 編, 比較裁判外紛爭解決制度, 慶應義塾大學出版部"

      32 吳日煥, "中國에 있어서 스포츠仲裁制度의 樹立에 대한 檢討" 한국스포츠법학회 5 : 2004

      33 八木由里, "オリンピック日本代表選出における紛?とADR制度" 8 : 2006

      34 Z?ler, "Zivilprozessordnung, 24. Aufl"

      35 장문철, "UNCITRAL모델법의 채택, UNCITRAL모델중재법의 수용론"

      36 Ettinger, David J., "The Legal Status of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97 : 1992

      37 McLaren, Richard H., "The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An Independent Arena for the World's Sports Disputes" 379 : 2001

      38 Leaver, Peter, "The CAS Ad Hoc Division at the Salt Lake City Winter Olympic Games 2002" 50 : 2002

      39 Beloff, "The CAS Ad Hoc Division at The Sydney Olympic Games" 105 : 2001

      40 Dogauchi, "The Activities of Japan Sports Arbitration Agency" 한국스포츠법학회 5 : 2004

      41 McLaren, Richard H., "Introducing the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The Ad Hoc Division at the Olympic Games" 515 : 2001

      42 Honsell, "International Arbitration in Switzerland"

      43 Lionnet, "Handbuch der internationalen and nationalen 쟔chiedsgerichtsbarkeit, 2. Aufl"

      44 Schmitthoff, Clive M., "Export Trade : The Law and Practice of International Trade, 9th ed" Stevens & Sons 1990

      45 Beloff, "Editorial" 77 : 2004

      46 Raber, Nancy K., "Dispute Resolution in Olympic Sport: The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75 : 1998

      47 Matthieu Reeb(eds), "Digest of CAS Awards III"

      48 Matthieu Reeb(eds), "Digest of CAS Awards II"

      49 Haas, "Die Sportgerichtsbarkeit zwischen Individualrechtsschutz und Verbandsautonomie" 한국스포츠법학회 5 : 2004

      50 Panagiotopoulos,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s" 49 : 1999

      51 McLaren, Richard H.,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The Ad Hoc Division at the Salt Lake City Winter Olympic Games" 51 : 2004

      52 Kojima, "Civil Procedure and ADR in Japan, Series of the Institute of Comparative Law in Japan 65" Tokyo: Chuo University Press 2004

      53 Locklear, R. Jake, "Arbitration in Olympic Disputes: Should Arbitrators Review The Field of Play Decisions of Officials?" 199 : 2003

      54 Polvino, Anthony T., "Arbitration as Preventative Medicine for Olympic Ailments: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s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and the Future for the Settlement of International Sporting Disputes" 347 : 1994

      55 양병회, "ADR의 活性化를 위한 和解制度의 改善 方案" 韓國民事訴訟法學會 1 : 1998

      56 小島武司, "ADR의 實際와 理論I" 東京:中央大學出版部 62 : 2003

      57 王小平, "?育??解?以及ADR机制的?究" 8 :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6-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스포츠와 법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9-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포츠법학회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Law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 Entertainment Law
      KCI등재후보
      2007-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orts and Law ->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8 0.741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