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도 청소년의 역량 수준에 대한 탐색적 연구-‘청소년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에 기초하여- = A study on competency of Jeju Island you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03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competency level of Jeju Island yout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based on ‘A Study on Measurement of Korean Youth Competency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EA ICCS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competency level of Jeju Island yout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based on ‘A Study on Measurement of Korean Youth Competency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EA ICCS 2016’ that is conducted by Nation Youth Policy Institute of Korea in year 2014 and 2018. The youth competency is consist of 5 competencies that is: life learning competency, life management competency,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social participation competency. As the result, mean of competencies in year 2014 were higher than in year 2018. Year 2018, mean of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of male students. Year 2014 mean of Jeju Island youth were higher than other regions, but year 2018 only the mean of life management competency showed the highest level, and the mean of the remaining competencies were low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In order to prepare and implement an appropriate educational and social intervention plan to improve the competency level of Jeju Island youth, it is judged that continuous interest in the competency level of Jeju Island youth and regular capacity measurement are necessa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수행한 ‘청소년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의 2104년 원자료와 2018년 원자료를 이용하여 제주도 초·중·고등학교 청소년들의 역량 수준을 탐색적...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수행한 ‘청소년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의 2104년 원자료와 2018년 원자료를 이용하여 제주도 초·중·고등학교 청소년들의 역량 수준을 탐색적으로 비교 고찰한 연구이다. 연구에서 살펴본 청소년 역량은 생애학 습역량, 생활관리역량, 진로개발역량, 대인관계역량, 사회참여역량 등 총 5개였다. 연구 결과 제주도 청소년의 역량 평균은 2014년 역량 평균이 2018년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에는 남학생의 역량 평균이 높게 나타났지만, 2018년에는 5개 모든 역량에 대하여 여학생의 평균이 높았다. 학교급에 따른 역량 평균은 2014년에는 5개 모든 역량에 대하여 초등학생의 평균이 가장 높았던 반면 2018년에는 전반적으로 고등학생의 역량 평균이 높았으며, 생애학습역량과 사회참여역량은 중학생의 평균이 가장 높았다. 서울과 광역시, 타 도(道)지역 등과의 비교 결과, 2014년에는 생애학습역 량, 사회참여역량, 5개 역량 전체 평균에서 제주도 청소년의 역량 평균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2018년에는 생활관리역량의 평균만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나머지 역량의 평균은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제주도 청소년의 역량 수준을 향상할 수 있는 적절한 교육적·사회적 개입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제주도 청소년의 역량 수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정기적인 역량 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해수 ; 김민성 ; 강영신, "학교 기반의 청소년 핵심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141-173, 2011

      2 김기헌, "청소년 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Ⅲ: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3 장근영,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Ⅴ: IEA ICCS 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4 장근영,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Ⅳ: IEA ICCS 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5 장근영,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Ⅲ: IEA ICCS 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6 장근영,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Ⅱ: IEA ICCS 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7 김태준,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Ⅰ: IEA ICCS 2016 - 사회참여역량측정도구개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한국교육개발원 2014

      8 성은모,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Ⅰ: IEA ICCS 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9 성은모 ; 최창욱 ; 김혜경 ; 오석영 ; 진성희, "청소년 역량지수 구성체제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연구소 16 (16): 117-144, 2015

      10 성은모, "청소년 역량지수 개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1 권해수 ; 김민성 ; 강영신, "학교 기반의 청소년 핵심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141-173, 2011

      2 김기헌, "청소년 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Ⅲ: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3 장근영,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Ⅴ: IEA ICCS 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4 장근영,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Ⅳ: IEA ICCS 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5 장근영,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Ⅲ: IEA ICCS 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6 장근영,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Ⅱ: IEA ICCS 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7 김태준,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Ⅰ: IEA ICCS 2016 - 사회참여역량측정도구개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한국교육개발원 2014

      8 성은모,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Ⅰ: IEA ICCS 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9 성은모 ; 최창욱 ; 김혜경 ; 오석영 ; 진성희, "청소년 역량지수 구성체제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연구소 16 (16): 117-144, 2015

      10 성은모, "청소년 역량지수 개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11 김기헌,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Ⅱ: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12 김기헌,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Ⅰ: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13 제주특별자치도, "주민등록인구통계" 2021

      14 박광엽, "조직구성원의 역량개발 지원 프로그램" 22 : 21-43, 2004

      15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제주특별자치도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16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제주특별자치도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17 관계부처합동, "제6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 여성가족부 2018

      18 관계부처합동, "제5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 여성가족부 2012

      19 이상은 ; 소경희, "미래지향적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OECD 역량교육의 틀 변화 동향 분석: ‘Education 2030’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139-164, 2019

      20 교육부,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형 교육과정 추진 계획(안)" 2021

      21 유현숙, "국가 수준의 생애능력 표준 설정 및 학습체제질 관리 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2002

      22 유현숙, "국가 수준의 생애능력 표준 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연구(Ⅲ)" 한국교육개발원 2004

      23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24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 2030: 인천선언과 실행계획" 2015

      25 권순회,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국문시가 자료의 가치" 한국학연구원 (37) : 145-172, 2008

      26 한국교육개발원,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 학교교육에서 역량교육의 의미와 방향을 다시 세우다" KEDI 2019

      27 OECD,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The future we want" 2018

      28 OECD,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Progress report of the OECD Learning Framework 2030" 2017

      29 Klemp, G. O., "The assessment of occupational competenc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1980

      30 McClelland D. C.,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28 (28): 1-14, 1973

      31 조성민,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8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32 교육부, "OECD 국제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PISA 2018) 결과 발표"

      33 최수진,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 역량 개념틀 타당성 분석 및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체제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2017

      34 윤종혁, "OECD ‘교육 2030 : 미래 교육과 역량’을 위한 현황분석과 향후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6

      35 OECD,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Conceptual learning framework: Learning Compass 2030" 2019

      36 이근호, "OECD Education 2030교육과정조사에 따른 역량 중심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37 Rychen, D. S.,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Hogrefe & Huber Publishers 2003

      38 OECD,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39 OECD,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

      40 McClelland D. C.,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John Wiley & Sons 1993

      41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2021 제주교육"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4-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Cheju Studies -> Society for Jeju Studies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