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누리과정의 유아문학교육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22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바람직한 유아문학교육의 방향을 위해 누리과정의 의사소통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유아문학교육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에서 제대로 된 유아문학교육을 실시하기 위하...

      본 연구는 바람직한 유아문학교육의 방향을 위해 누리과정의 의사소통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유아문학교육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에서 제대로 된 유아문학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누리과정이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은 문학의 상징적 의미를 교육할 수 있는 교육과정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누리과정은 유아의 발달과 문학적능력에 적합한 교육과정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누리과정은 교육현장의 변화를 유도하여 질적인 문학교육이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과정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누리과정은 문학교육에서 초등교육과정과 더 연계된 교육과정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즉 유아문학은 비유와 상징으로 가득 찬 의미예술로써 유아들에게 즐거움을 줄 뿐 아니라 유능한 유아들은 독창적인 문학작품을 산출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발달과 문학적 능력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으로 개선될 필요성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vision directions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n the Nuri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focuses its efforts on cultivating the literary abil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vision directions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n the Nuri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focuses its efforts on cultivating the literary ability of young children. But the field of “communication” in the Nuri curriculum is insufficient to achieve the essential goals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More contents of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added to the Nuri curriculum. The literature of the Nuri curriculum should be revised so as to include quality literature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What needs to be improved is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contents in literature education from the Nuri curriculum to the First Grade curriculu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화, "한국유아교육의 쟁점과 과제" 양서원 2001

      2 임영심, "표준보육과정과 2007년 개정유치원교육과정에 반영된 유아문학교육의 의미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0 (10): 201-222, 2009

      3 전유영, "패러디(parody)동화 관련 활동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411-430, 2008

      4 박미현, "통합적 동시 활동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의 탐색활동 및 반응 탐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467-489, 2009

      5 이수련, "책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이해력과 언어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457-474, 2009

      6 임영심, "주제환상극놀이에 기초하여유아들이 재구성한 그림책의 이야기 구성요소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317-338, 2006

      7 노영희, "이야기 만들기와 극화의 연계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 및 참여태도의 변화과정"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37-465, 2010

      8 주영희, "유치원 언어교육과 초등학교 1학년 국어교육의 연계를 위한 교육과정 비교" 20 : 33-58, 2002

      9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Ⅰ(총론)" 미래엔 컬처그룹 2009

      10 이상금, "유아문학론" 교문사 2001

      1 이은화, "한국유아교육의 쟁점과 과제" 양서원 2001

      2 임영심, "표준보육과정과 2007년 개정유치원교육과정에 반영된 유아문학교육의 의미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0 (10): 201-222, 2009

      3 전유영, "패러디(parody)동화 관련 활동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411-430, 2008

      4 박미현, "통합적 동시 활동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의 탐색활동 및 반응 탐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467-489, 2009

      5 이수련, "책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이해력과 언어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457-474, 2009

      6 임영심, "주제환상극놀이에 기초하여유아들이 재구성한 그림책의 이야기 구성요소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317-338, 2006

      7 노영희, "이야기 만들기와 극화의 연계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 및 참여태도의 변화과정"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37-465, 2010

      8 주영희, "유치원 언어교육과 초등학교 1학년 국어교육의 연계를 위한 교육과정 비교" 20 : 33-58, 2002

      9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Ⅰ(총론)" 미래엔 컬처그룹 2009

      10 이상금, "유아문학론" 교문사 2001

      11 김영미,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어린이집에서의 문학교육 실태"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2 황은순, "유아문학교육" 공동체 2013

      13 김세희, "유아문학교육" 양서원 2000

      14 정진, "유아 문학교육의 내용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0 (10): 45-72, 2009

      15 정진, "유아 문학교육 내용의 활용실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171-194, 2011

      16 신혜선, "유아 그림책의 기호학적 구조분석을 통한 교육적 이해 '무지개 물고기'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147-171, 2006

      17 안종순, "예술적 표현활동에 기초한 콜라주 동화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179-194, 2008

      18 이혜원, "영유아교육과정" 학지사 2011

      19 홍은숙, "어린이집에서의 유아문학 활동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0 마쯔이 다다시, "어린이와 그림책" 샘터 1990

      21 Nodelman, P., "어린이문학의 즐거움 2" 시공사 2009

      22 권혁준, "아동의 욕망과 아동문학의 역할" 한국문학교육학회 (44) : 9-38, 2014

      23 윤경옥,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93-419, 2013

      24 Fry, N., "문학의 구조와 상상력" 집문당 2000

      25 우한용, "문학교육의 목표이자 내용으로서 문학능력의 개념, 교육 방향" 한국문학교육학회 28 (28): 9-40, 2009

      26 우한용, "문학교육과정론" 삼지원 1997

      27 채종옥, "문학 확장 활동관련 연구 분석" 4 (4): 1-20, 2003

      28 교육과학기술부, "만 5세 어린이 교육․보육, 국가가 책임진다"

      29 김정원, "누리과정에 근거한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227-249, 2014

      30 서정숙, "그림책의 교육적 활용: 현황 분석 및 제언" 149-158, 2000

      31 김정원,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의 효과: 누리과정의 수학교육 내용체계에 근거한 접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51-75, 2014

      32 김민진, "그림책 읽기 방식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 어휘 학습과 읽기 흥미에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69-91, 2008

      33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34 김진숙, "교육과정의 연계성 탐구: 유치원-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83-108, 2006

      35 Applebee, A. N., "The child's concept of story: ages two to seventee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36 Wolfinger, D. M., "Elementary methods: An integrated curriculum" Longman 1997

      37 Arizepe, E., "Children reading pictures: Interpreting visual texts" Routledge Palmer 2003

      38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2

      39 채미영, "5세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의유아문학교육 내용 분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2 (12): 397-416, 2013

      40 이지현, "3⋅4세 유치원교육과정, 5세 누리과정, 초등 1학년 교육과정 언어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53-279, 2012

      41 최예린, "1세 영아의 그림책 읽기 행동 변화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25-450,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