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첨가 재료에 따른 저장 중 죽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7467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저장 중 죽류의 이화학적 품질 변화는 90일이 경과되면서 초기 값에 비해 색도는 잣죽의 L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반면 a와 b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북어죽, 콩죽과 닭...

      저장 중 죽류의 이화학적 품질 변화는 90일이 경과되면서 초기 값에 비해 색도는 잣죽의 L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반면 a와 b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북어죽, 콩죽과 닭죽의 L값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a,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버섯죽은 L, a, b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기간 중 북어죽, 버섯죽, 닭죽, 콩죽의 ΔE값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잣죽의 경우 30일이 경과되면서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의 변화는 gumminess, cohesiveness, adhesiveness, hardness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점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adhesiveness의 경우 북어죽, 닭죽, 잣죽, 콩죽, 버섯죽의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초기 아밀로오스 함량은 북어죽 28.73%, 닭죽 26.23%, 버섯죽 24.98%, 콩죽 22.87%, 잣죽 22.38%의 순으로 아밀로오스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저장 90일째에도 아밀로오스 함량에는 북어죽, 닭죽, 버섯죽, 콩죽, 잣죽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당의 함량은 잣죽, 콩죽, 버섯죽, 닭죽과 북어죽이 각각 36.48, 36.33, 36.24, 35.28, 34.82%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 90일 이후의 전당의 함량은 버섯죽, 콩죽, 잣죽, 닭죽, 북어죽의 순으로 나타났고, 북어죽을 제외한 죽의 전당의 범위는 31.62-33.54%로 나타났다. 또한 5가지 죽 모두 포화지방산은 증가한 반면 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죽류의 저장 중 이화학적 품질은 저장 30일까지 큰 변화 없이 완만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렇듯 HMR 식품으로서 가치가 있는 죽의 저장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서양식 위주로 발전하고 있는 HMR 시장에 한식을 널리 보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dditiv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uels during storage. The color, a-value, and b-value of fine-nut, dried pollack, soybean, and chicken gruels increased, while the L-value and whiteness decreased. In 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dditiv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uels during storage. The color, a-value, and b-value of fine-nut, dried pollack, soybean, and chicken gruels increased, while the L-value and whiteness decreased. In addition, the a-value, b-value, and L-value of oyster mushroom gruel decreased upon increase in the storage period. Texture analyzer measurements of gruels revealed that the gumminess, cohesiveness, adhesiveness, and hardness de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 of 90 days. The amylose and total sugar contents were also decreased during this storage period. Majority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gruels during the storage period at 25℃ was due to unsaturated fatty acid. The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decreased, whereas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 of 45 day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희, "홍어 분말을 첨가한 죽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8 (18): 207-213, 2008

      2 김미정, "현대인의 일상 식생활 - 문제점과 해결방안 -" 대한가정학회 44 (44): 151-160, 2006

      3 김종욱, "키위 농축액을 첨가한 키위 죽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313-320, 2010

      4 장선, "잣죽의 제조조건이 관능적 품질의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35 (35): 33-37, 2003

      5 김정미, "은행 분말을 첨가한 죽 및 떡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6 (36): 410-415, 2004

      6 이정은, "쌀가루 및 율무가루의 배합비율, 입자크기 및 수침시간에 따른 율무죽의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8 (18): 193-199, 2002

      7 이해영,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한국에서의 Home Meal Replacement (HMR)개념 정립 및 국내 HMR 산업 전망 예측" 한국영양학회 38 (38): 251-258, 2005

      8 심은영, "다수성 통일형을 포함한 벼 품종이 쌀미음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5 (25): 651-658, 2018

      9 Chang MS, "The nutritional study of Korean traditional gruels(I)-chemical proportions of the typical Korean gruels" 13 : 3-11, 1975

      10 Bourne MC, "Texture profile analysis" 32 : 62-66, 1978

      1 김경희, "홍어 분말을 첨가한 죽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8 (18): 207-213, 2008

      2 김미정, "현대인의 일상 식생활 - 문제점과 해결방안 -" 대한가정학회 44 (44): 151-160, 2006

      3 김종욱, "키위 농축액을 첨가한 키위 죽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313-320, 2010

      4 장선, "잣죽의 제조조건이 관능적 품질의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35 (35): 33-37, 2003

      5 김정미, "은행 분말을 첨가한 죽 및 떡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6 (36): 410-415, 2004

      6 이정은, "쌀가루 및 율무가루의 배합비율, 입자크기 및 수침시간에 따른 율무죽의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8 (18): 193-199, 2002

      7 이해영,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한국에서의 Home Meal Replacement (HMR)개념 정립 및 국내 HMR 산업 전망 예측" 한국영양학회 38 (38): 251-258, 2005

      8 심은영, "다수성 통일형을 포함한 벼 품종이 쌀미음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5 (25): 651-658, 2018

      9 Chang MS, "The nutritional study of Korean traditional gruels(I)-chemical proportions of the typical Korean gruels" 13 : 3-11, 1975

      10 Bourne MC, "Texture profile analysis" 32 : 62-66, 1978

      11 Lee SW,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ine nut’s gruel during storage" 32 : 140-146, 2000

      12 Lee HJ, "Research of kinds of rice porridges and recipes of it" 13 : 281-290, 2000

      13 Kramer JKG, "Evaluation of two GC columns(60-m SUPELCOWAX 10 and 100-m CP sil 88)for analysis of milkfat with emphasis on CLA, 18 1, 18 2 and 18 3 isomers, and short-and long-chain FA" 37 : 823-835, 2002

      14 Lee HO, "Effect of different methods of cooking on sensory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Kongjook" 7 : 35-40, 1991

      15 Dubois, M,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28 : 350-356, 1956

      16 Lee HJ, "Classification and category determ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eal foods" 36 : 47-65, 2003

      17 Lee YN,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traditional food" 6 : 71-81, 1991

      18 June JH,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Jook’" 13 : 497-507, 1998

      19 June J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odojook’" 13 : 509-518, 1998

      20 Juliano, B.O, "A simplified assay for milled-rice amylose" 16 : 334-338, 1971

      21 Kim GY,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terature of the cooking product of grain(rice, gruel)in Imwonshibyukji(I)" 8 : 360-378,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1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2.0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