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민담 영역본의 발굴과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160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한국민담 영역본의 수집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전혀 없을 뿐더러 영역작품목록조차 정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단은 자료수집의 단계에서 시간이 필요하다. 현재 수집의 경로는 절...

      1) 한국민담 영역본의 수집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전혀 없을 뿐더러 영역작품목록조차 정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단은 자료수집의 단계에서 시간이 필요하다. 현재 수집의 경로는 절판된 국내 출판물은 국내 도서관에서 수집하고, 간행되고 있는 국내 출판물은 구입을 하고 있다. 한편 국외 출판물의 경우 절판된 것들은 오히려 국내 도서관에서 찾을 수 있었고, 현재 간행되고 있는 국외 출판물의 경우에는 해외웹사이트를 통해 구입하는 것이 현지에서 구입하는 것과 다를 바 없는 접근성을 가지고 있었다. 자료의 수집은 현재 진행되고 있으며, 50%이상의 진척을 보이고 있다.
      2) 영역작의 서지사항 DB구축과 분석
      일단 자료수집이 완료되면, 둘째 단계로 영역작품들의 서지사항을 데이터베이스화할 것이다. 민담의 경우에는 이야기의 수가 워낙 많고 이야기마다 변이양상이 많이 보이고 있어, 데이터베이스작업만도 만만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영역자들이 주로 많이 알려진 작품들을 번역대상으로 했고, 고전서사 전공인 연구자의 지식을 활용해서 그 작업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데이터베이스작업은 활용의 편의를 위해 액세스(MS Office Access) 프로그램으로 작성할 것이다. 모든 항목들은 번호, 주제, 작품명(한국), 표제(영어), 역자, 형태사항, 저서명(영어), 출간일, 출판사, 출판지, 재간일, 재간출판사, 기타 등 13개의 필드로 구성이 되어 있다. 하지만, 각 작품들이 13개의 필드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작품별로 해당되는 정보가 있는 필드만을 채우고, 해당정보가 없는 필드는 비운 채로 둘 것이다. 작품의 재간에 대해서도 언급하는 것은 대부분의 한국고전작품 영역본들은 출간일이 오래 지났기 때문에 재간된 작품들도 많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의 교수자나 연구자 입장에서는 재간작품의 서지정보가 작품의 접근에 더 유용한 것이 그 이유다.
      3) 한국민담 영역본의 정전확정
      세 번째 단계로는 영역된 민담의 현황을 분석해 본다. 액세스프로그램은 필요한 항목에 대한 정렬이 자유로와서, 다양한 측면의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다. 중요한 작품의 분포와 이본의 수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총 작품 수는 몇 편인지, 영역의 연대분포는 어떻게 되는지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작들을 시대별로도 고찰해 본다면, 시대별로 영역의 목적과 영역자의 국적, 출간국가들이 확연히 달라지는 만큼 의미 있는 고찰이 될 것이다.
      한편 한국민담 영역본의 정전확정작업 또한 그 의미가 큰 작업이다. 한국의 대표민담이 골고루 영역되었는지 여부도 일단 살펴야겠지만, 영역본들 가운데에서도 학술가치가 있는 것들을 골라내는 것 또한 중요한 작업이다. 현재까지 영역자들은 한국문학 전공자들이 아닌 영문학자 혹은 전문 번역가들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영역작품의 선택 기준이 한국문학 전공자들과 다를 수밖에 없다. 이 문제는 현재에도 학자들간의 이견이 있는 부분인데, 영역자들의 경우에는 외국인들에게 재미있게 읽힐 만한 작품들을 번역 대상으로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4) 영역의 양상 고찰
      네 번째 단계로 이들 작품의 영역양상을 살펴보고, 작품이 원의미에 맞게 잘 해석해서 옮겨졌는지 살펴볼 계획이다. 물론 고소설작품들 경우에도 고어와 옛맛을 살려서 영역하는 일이 쉽지는 않지만, 민담의 경우에는 이야기의 원의미를 살리기가 훨씬 더 어렵다. 번역에 있어서 역사적 배경도 숙지하고, 한국인의 정서도 잘 표현해야 할 뿐만 아니라, 많은 것이 담겨 있는 짧은 이야기를 잘 살려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소화(笑話)의 경우 그 재치를 잘 이해하고 이를 표현하기란 쉽지 않다.
      다음과 같은 유형의 민담의 영역문제들을 고찰하게 될 것이다. 단어와 한자의 올바른 이해, 문맥의 이해, 속담․관용구의 표현, 고유문물과 생활풍습의 전달, 원작문체의 표현 등이다. 민담은 특히 소설과 달리 사물 하나하나가 의미하고 있는 것은 단순히 단어이상의 것이므로, 이야기의 심층구조의 해석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의미하는 ‘호랑이’는 짐승 그 이상의 것이다. 이를 그들이 친숙한 동물인 ‘사자’로 대치해버려 토속색을 잃거나, 그대로 ‘tiger’라고 옮기더라도 호랑이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을 그대로 살리기 힘들다.
      5) 앞으로의 영역 방향 제시
      마지막으로 민담 영역의 방향에 대해서 제시할 것이다. 이 때 영역 작품 선정의 방향은 물론이고, 작품 영역의 실제에 있어서 고려할 점들에 대해서도 연구할 것이다. 또한, 미국의 출판사 Wildside Press에서 Gale의 The Cloud Dream of the Nine이 전자책으로도 판매되고 있듯이 바뀌는 독서환경에 대응해서 새로운 매체를 개발하는 것도 우리의 몫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