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시대 미술에서 유희적 충동과 표현 = Playful Impulse and Expression in Contemporary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57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temporary art is characterized by the coexistence of various aspects with the illumination of the little narratives along with the decline of the Grand narratives that became the main core until the modernism era. Especially humorous, participatory...

      Contemporary art is characterized by the coexistence of various aspects with the illumination of the little narratives along with the decline of the Grand narratives that became the main core until the modernism era. Especially humorous, participatory, and interactive are the playful impulses and expressions of contemporary art that this article focuses on. 'Humorous' is often associated with mockery or ridicule, which takes off sincerity, but contemporaneously tends to be more like a sensible wit than intended humor. Participatory aspect is characterized by the participation of the spectators who accept the work rather than the work completed by the artist's original personality. The 'interactive' aspect has a point of sharing with the participative characteristic, but it is different in that it intervenes more directly in the intention and expression of the artist and completes the work by acting. The idea that these three aspects obviously have a common artistic impulse or a mechanism of expression has been linked to a kind of 'play impulse' or 'play' concept. The ‘Play’ had a history of concept depressed and suppressed in that he was in fact a negative, passive, or distance from reality since Plato, but the Huizinga was the driving force of civilization and art. His philosophical argument is that the aspects revealed through the playful impulses in contemporary art act as an important mechanism for reaching the most essential human being or seeing the existential dysfunction agai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동시대 미술은 모더니즘 시대까지 주축을 이루던 거대서사의 퇴락과 함께 소서사의 조명으로 다양한 양상의 공존을 특징으로 한다. 유희적 충동과 표현은 동시대 다양한 양상 가운데 하나...

      동시대 미술은 모더니즘 시대까지 주축을 이루던 거대서사의 퇴락과 함께 소서사의 조명으로 다양한 양상의 공존을 특징으로 한다. 유희적 충동과 표현은 동시대 다양한 양상 가운데 하나다. 유희적 충동은 인간 본성의 영역으로 단지 동시대미술만의 독특한 양상이라 말할 수는 없지만, 표현의 다각화는 분명한 동시대 특성이다. 특히 ‘유머러스함’과 ‘참여적인’ 그리고 ‘상호작용적인’ 양상은 이 글이 주목하는 동시대 미술의 유희적 충동과 표현이다. ‘유머러스’는 진지함을 벗게 하는 때때로 조롱 혹은 비웃음과 연관되기도 하지만, 동시대는 의도가 있는 계산된 유머 이전에 감각적인 위트와 같은 경향이 더 빈번하다. ‘참여적인’ 양상은 무엇보다 작가의 독자적 개성으로 완결되는 작업이 아닌 수용하는 관람객의 동참이 특징이다. 정해진 메시지가 아닌 대중이 스스로 참여하고 경험하여 그에 따른 일체의 반응을 갖게 하는 것이다. 이는 작가의 의도와 다른 반응까지도 작업의 일부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호작용적’ 양상은 참여적인 특성과 공유하는 지점이 있으나, 보다 직접적으로 작가의 의도와 표현에 개입하고 행위하여 작업을 완성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일종의 드라마의 열린 결말로 열어두는 방식이 ‘참여적’이라면, 드라마를 같이 써내려가게 하는 것이 ‘상호작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세 양상은 분명 공통된 예술적 충동이나 표현의 기제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일종의 ‘유희 충동’ 혹은 ‘놀이’ 개념과 연결하게 되었다. 유희는 사실상 플라톤 이래 부정적이고 소극적인 또는 실재와 거리를 두게 한다는 점에서 평가 절하되고 억제된 개념의 역사를 가졌으나 하위징아가 ‘놀이하는 인간’을 통해 그간에 주목하지 않은 문명과 예술의 원동력이자 자양분으로서 재조명하였다. 하위징아의 논의는 카이와의 문화인류학적, 사회학적 이해로 나아갔고, 핑크는 유희를 ‘생성’의 관점에서 구조화하였다. 유희 충동은 또한 니체에 매우 깊이 연계되어 ‘우주의 예술적, 놀이, 세계 놀이’로서의 철학으로 드러났다. 즉 “세계는 신적인 놀이며, …나에게 모든 것은 놀이이다.”라는 언급처럼 인간적이면서도 존재론적인 관점을 포괄하며 인간 삶에서 놀이가 우연적이거나 주변적이지 않고 본질적이며 현존재를 구성하는 실존적인 근본현상으로 주장은 시사점이 크다. 그의 철학적 논의는 동시대 미술에서 유희적 충동을 통해 드러나는 양상들이 실제로 가장 본질적인 인간에게 다가섬 혹은 실존적 현존재를 다시 보게 하는 중요한 기제로 작동하고 있다. 놀이가 지닌 유연한 속성으로 긴장과 상호투쟁, 욕망과 거리두기 등을 드러내는 동시대 미술은 유희 충동을 통한 인간 본질에의 다가섬이자, 존재론적 실체를 미러링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요한 하위징아, "호모 루덴스" 연암서가 2010

      2 이지언, "실러(Friedrich von Schiller)의 미학에서 미적 교육의 예술 철학적 의미: 미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연구소 (11) : 137-164, 2015

      3 래리 샤이너, "순수예술의 발명The Invention of Art" 인간의 기쁨 2015

      4 심혜련, "사이버스페이스 시대의 미학" 살림 2006

      5 프리드리히 실러, "미학편지 :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실러의 미학이론" 휴머니스트 2012

      6 크리스티안 폴, "디지털 아트" 시공아트 2007

      7 류미향, "니체의 ‘어린이의 정신’을 통해 본 놀이중심 유아교육의 방향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537-558, 2016

      8 정낙림, "놀이하는 인간의 철학 : 호모 루덴스를 위한 철학사" 책세상 2017

      9 최고원, "놀이이론과 문화분석 -J. 호이징어와 R. 카이와의 놀이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하이데거학회 (25) : 25-52, 2011

      10 로제 카이와, "놀이와 인간" 문예출판사 2015

      1 요한 하위징아, "호모 루덴스" 연암서가 2010

      2 이지언, "실러(Friedrich von Schiller)의 미학에서 미적 교육의 예술 철학적 의미: 미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연구소 (11) : 137-164, 2015

      3 래리 샤이너, "순수예술의 발명The Invention of Art" 인간의 기쁨 2015

      4 심혜련, "사이버스페이스 시대의 미학" 살림 2006

      5 프리드리히 실러, "미학편지 :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실러의 미학이론" 휴머니스트 2012

      6 크리스티안 폴, "디지털 아트" 시공아트 2007

      7 류미향, "니체의 ‘어린이의 정신’을 통해 본 놀이중심 유아교육의 방향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537-558, 2016

      8 정낙림, "놀이하는 인간의 철학 : 호모 루덴스를 위한 철학사" 책세상 2017

      9 최고원, "놀이이론과 문화분석 -J. 호이징어와 R. 카이와의 놀이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하이데거학회 (25) : 25-52, 2011

      10 로제 카이와, "놀이와 인간" 문예출판사 2015

      11 정낙림, "놀이에 대한 철학적 연구 -니체의 놀이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니체학회 (14) : 159-189, 2008

      12 정낙림, "놀이사유의 근대적 유형과 니체의 비판 - 쉴러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니체학회 (26) : 7-49, 2014

      13 이사야 벌린, "낭만주의의 뿌리" 이제이북스 2006

      14 최고원, "‘놀이’ 개념에 대한 동, 서양의 시각차에 관하여- ‘몰입’ 놀이와 ‘거리두기’ 놀이 -" 대한철학회 117 : 373-397, 2011

      15 Jeffrey Shaw, "Perspektive der Medienkunst" Karlsruhe 1966

      16 H.G. Gadamer, "Grundzüge einer philosophischen Hermeneutik" Tübingen 1990

      17 E. Fink, "Gedanken zu einer Ontologie des Spiels" Freiburg 1957

      18 Nobert Bolz, "Eine kurze Geschichte des Scheins" Munchen 1991

      19 Friedrich Wilhelm Nietzsche, "Ecce homo; KSA6"

      20 김재철, "E. 핑크의 놀이존재론(II)-세계상징으로서의 놀이" 한국하이데거학회 (33) : 33-64, 2013

      21 김재철, "E. 핑크의 놀이존재론(I)-실존범주로서의 놀이" 한국하이데거학회 (32) : 189-216, 2013

      22 Steve Dixon, "Digital Performance" MIT 2007

      23 Friedrich Wilhelm Nietzsche, "Also sprach Zarathustra; KSA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예술과 미디어학회 -> 예술과미디어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0-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 예술과 미디어학회
      영문명 : Council for Advanced Media & Moving pictures -> The Korean Society of Art and Media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7-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531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