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 한일 문・구어체에 나타난 어휘의 대조고찰 -대역코퍼스를 자료로- = A Contrastive Study of Modern Korean an Japanese Vocabularies in Literary and Colloquial Styles through Parallel Corpor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figure out the quantitative structures of the vocabularies of the modern Korean and Japanese.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 I examine the parallel corpora of the literal and the colloquial styles. The main re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figure out the quantitative structures of the vocabularies of the modern Korean and Japanese.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 I examine the parallel corpora of the literal and the colloquial styl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1) With regard to cumulative frequency, Korean and Japanese show quite a similar distribution in colloquial style, but some difference in literary style. Korean shows comparatively low cumulative frequency.
      2) With regard to the composition of word origin, Korean and Japanese show more substantial differences in literary style than in colloquial style. In both colloquial and literary styles, Japanese has many native japanese words whereas Korean has many hybrid words. When it comes to styles, Korean has many sino-korean words in literary style whereas Japanese has many sino-japanese words in colloquial style. Also in literary style, Korean shows a trend of the increase of whole token because sino-korean words include high-frequency sino-korean words which has the characteristic of basic words like native japanese words in Japanese.
      3) With regard to the composition of parts of speech, in both literary and colloquial styles, Japanese has comparatively many nouns, whereas Korean has comparatively many adjectives(verbs). This reflects the nominal-oriented structure of Japanese and the verbal-oriented structure of Korea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수, "한·일 번역 성서의 어휘 비교 연구 : 1900년 이후 간행된 「로마서」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0

      2 장원재, "조사단위의 길이와 현대한일어휘" 한국일본학회 (61) : 261-276, 2004

      3 장원재, "근현대 한일 비교・병렬코퍼스와 어휘연구, In 일본어학과 일본어교육" 제이엔씨 2013

      4 신중진, "개화기 신문과 잡지에 나타난 명사 어휘의 어종 분석" 우리말학회 (25) : 243-281, 2009

      5 김영철, "개화기 국어연구" 경남대학교출판부 1997

      6 鄭道世, "개화기 교과서의 어휘연구 : 1890년대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慶南大學校 大學院 1999

      7 김병철, "韓国近代翻訳文学史研究" 乙酉文化社 1975

      8 国立国語研究所, "雑誌用語の変遷" 秀英出版 1987

      9 飛田良文, "現代漢語の源流" 筑摩書房 (259) : 1973

      10 張元哉, "現代日韓語彙の対照研究-対訳コーパスを資料に" 韓国日本学会 55 (55): 2003

      1 이종수, "한·일 번역 성서의 어휘 비교 연구 : 1900년 이후 간행된 「로마서」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0

      2 장원재, "조사단위의 길이와 현대한일어휘" 한국일본학회 (61) : 261-276, 2004

      3 장원재, "근현대 한일 비교・병렬코퍼스와 어휘연구, In 일본어학과 일본어교육" 제이엔씨 2013

      4 신중진, "개화기 신문과 잡지에 나타난 명사 어휘의 어종 분석" 우리말학회 (25) : 243-281, 2009

      5 김영철, "개화기 국어연구" 경남대학교출판부 1997

      6 鄭道世, "개화기 교과서의 어휘연구 : 1890년대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慶南大學校 大學院 1999

      7 김병철, "韓国近代翻訳文学史研究" 乙酉文化社 1975

      8 国立国語研究所, "雑誌用語の変遷" 秀英出版 1987

      9 飛田良文, "現代漢語の源流" 筑摩書房 (259) : 1973

      10 張元哉, "現代日韓語彙の対照研究-対訳コーパスを資料に" 韓国日本学会 55 (55): 2003

      11 張元哉, "現代日韓両国語における漢語の形成と語彙交流" 国語学会 54 (54): 2003

      12 李建志, "海を渡った人情噺-朝鮮開化期の文学『東閣寒梅』と「文七元結」-, In 江戸の文事" ぺりかん社 2000

      13 矢野謙一, "朝鮮語の表現, In 応用言語学講座2 外国語と日本語" 明治書院 1986

      14 野村雅昭, "明治期落語速記の語彙構造" 早稲田大学日本語学会 (9) : 2001

      15 国立国語研究所, "明治時代語の調査研究" 国立国語研究所 (13) : 1963

      16 国立国語研究所, "明治時代語の調査研究" 国立国語研究所 (15) : 1965

      17 田中牧朗, "明治後期から大正期の語彙のレベルと語種-『太陽コーパス』の形態素 解析データによる-" 国立国語研究所 2012

      18 飛田良文, "明治初期東京人の階層と語種との関係-『安愚楽鍋』を中心に-" 国立国語研究所 1978

      19 飛田良文, "明治以後の語彙の変遷" 筑摩書房 (182) : 1966

      20 金恩愛, "日本語の名詞志向構造(nominal-oriented structure)と韓国語の動詞志向構造(verbal-oriented structure)" 朝鮮学会 (188) : 2003

      21 林八龍, "日本語と韓国語における表現構造の対照考察-日本語の名詞表現と韓国語 の動詞表現を中心として, In 宮地裕・敦子先生古希記念論集 日本語の研究" 明治書院 1995

      22 한영균, "文体 現代性 判別의 語彙的 準拠와 그 変化 -1890년대~1930년대논설문의 한자어 사용양상을 중심으로-" 구결학회 (23) : 2009

      23 李漢燮, "『西遊見聞』の漢字語について-日本から入った語を中心に-" 国語学会 (141) : 1985

      24 近藤明日子, "『明六雑誌コーパス』の語彙量" 国立国語研究所 2012

      25 張元哉, "19世紀末の韓国語における日本製漢語-日韓同形漢語の視点から-" 国立国語研究所 (8) : 2000

      26 김무식, "16`7세기 국어 한자어의 비중과 그 특징-순천김씨 및 현풍곽씨 한글편지를 대상으로" 한국문학언어학회 (47) : 251-276,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4-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FOREIGN STUDIES CENTER -> FOREIGN STUDIES INSTITUTE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9-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외국어문학연구소 -> 외국학연구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2 0.2 0.43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