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Paul Verlaine의 동일 시를 소재로 한 G. U. Faure와 C. A. Debussy의 가곡 비교 연구 : Mandoline과 Green을 중심으로 = Research into arts songs of G. Faure, C. A. Debussy, based on the same poem of P. Verlaine: Focused on mandoline and gre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7737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 반주학과 , 2008년 11월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v, 68 p.: 삽도,악보;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이은영
        권말에 참고문헌 수록
        권말에 영문초록 수록

      • 소장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research that deals with both common and difference between two art songs of Gabriel Urbain Faure (1844~1896) and 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which have same poem of Paul Verlaine (1844~1896). French art song has been develo...

      This is a research that deals with both common and difference between two art songs of Gabriel Urbain Faure (1844~1896) and 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which have same poem of Paul Verlaine (1844~1896).
      French art song has been developed as a type of Melody.
      Faure, who had composed more than 100 art songs, is a composer who promoted art song that merges poem and music organically.
      Debussy is a composer who delivered post romantic music to modern one in whole field of western music including the art songs of france.
      He wrote about 80 art songs, and he has achieved mystific accordance between poem and music, which is able to be compared with famous german composer H. Wolf's.
      Both of them had composed many songs based on the poems of symbolism poets in contemporary age, specially Paul Verlaine.
      In this paper, feature and composing technique of both Faure and Debussy was researched through Mandoline and Green that are ones of Paul Verlaine's beautiful poems that inspire many famous composers.
      First, the background of each poems was investigated, and then analysis of songs was made progress.
      According to result of this paper, the common idea is that the close reaction of melodic rhythm to the syllable of poetic diction.
      In the point of difference, Faure has shown extended harmony, late solution of harmony, a chromatic scale progress and etc. but not broken frame of traditional conservation though he has used the accompaniment that expresses whole atmosphere of songs and lyrical melody.
      On the other side, Debussy has expressed the poem actively using the accompaniment of various pattern and harmony in recitative style.
      Also, he has tried to concentrate on expressing color of sound according to the word through new trials like an open string arpeggio, sustained note, parallel chords instead of extended triads based on functional harmon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폴 베를렌느 (Paul Verlaine 1844~1896)의 동일 시를 (Mandoline, Green을 중심으로 ) 소재로 한 가브리엘 위르뱅 포레 (Gabriel Urbain Faure 1845~1924)와 클로드 아실 드뷔시(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

      본 논문은 폴 베를렌느 (Paul Verlaine 1844~1896)의 동일 시를 (Mandoline, Green을 중심으로 ) 소재로 한 가브리엘 위르뱅 포레 (Gabriel Urbain Faure 1845~1924)와 클로드 아실 드뷔시(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가곡의비교 연구 조사서이다.
      프랑스에서 가곡은 멜로디(Melodie)의 형태로 발전되었다. 100여 곡이 넘는 가곡을 작곡한 포레는 프랑스의 가곡을 시와 음악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예술적 차원의 가곡으로 끌어올린 작곡가이다. 한편 드뷔시는 프랑스 가곡을 비롯한 서양 음악 전반에 있어, 후기 낭만과 근대를 현대 음악의 문으로 인도한 작곡가이다. 그는 80여 곡의 가곡을 작곡하였고, 가사 선택에 있어 엄격하기까지 했던 독일의 작곡가 볼프(H. Wolf)와 비교될 정도로 시와 음악의 신비스러운 조합을 이루어냈다.
      이들 작곡가들은 동시대의 문학 흐름인 상징주의 시인들의 시를 소재로 하여 많은 곡을 썼는데, 그 대표적인 상징주의 시인으로는 폴 베를렌느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주어 주옥같은 가곡으로 탄생된 베를렌느의 여러 시 중, Mandoline 과 Green을 통해 포레와 드뷔시의 특징과 작곡기법이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 Mandoline 과 Green 각 시의 배경에 대한 조사와 곡의 분석이 진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시를 전달하기 위해 두 작곡가가 공통적으로 사용한 idea는 시어의 음절에 따라 선율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예)Serenade, Chanteuses 장음절에 긴 음가의 선율을 배치]
      두 작곡가의 차이점으로, 포레는 곡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나타내는 반주부와 서정적인 선율을 사용하는 등, 보수적인 틀을 깨지 않으면서도 화성의 늦은 해결과 반음계 진행 등을 통해 전통에서 확장된 화성을 보여 주었다. 반면 드뷔시는 다양한 패턴의 반주부와 낭송조의 노래 선율을 사용하여 시를 적극적으로 표현해 주었다. 또한 당연시 여겨지던 조성 중심의 기능적인 화성 대신, 개방현 아르페지오와 지속음, 병행화음 등의 전혀 새로운 시도를 통하여 가사에 따른 소리의 색채를 표현하는 것에 집중하려 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ⅰ
      • Ⅰ. 서론 = 1
      • Ⅱ. 본론 = 3
      • 1. 프랑스 음악과 프랑스 예술가곡의 개요 = 3
      • 2. Paul Verlaine = 8
      • 논문개요 = ⅰ
      • Ⅰ. 서론 = 1
      • Ⅱ. 본론 = 3
      • 1. 프랑스 음악과 프랑스 예술가곡의 개요 = 3
      • 2. Paul Verlaine = 8
      • 1) P. Verlaine의 생애 = 8
      • 2) 작품 성향 = 10
      • 3. Gabriel Urbain Faure?와 Claude Achille Debussy = 13
      • 1) G. U. Faure = 13
      • (1) G. U. Faure?의 생애 = 13
      • (2) 작품 성향 = 16
      • 2) C. A. Debussy = 19
      • (1) C. A. Debussy의 생애 = 19
      • (2) 작품 성향 = 23
      • 4. 분석 = 26
      • 1) Mandoline = 26
      • (1) 시의 배경 = 26
      • (2) 해석 = 29
      • (3) G. U. Faure 분석 = 30
      • (4) C. A. Debussy 분석 = 38
      • 2) Green = 46
      • (1) 시의 배경 = 46
      • (2) 해석 = 49
      • (3) G. U. Faure 분석 = 51
      • (4) C. A. Debussy 분석 = 59
      • Ⅲ. 결론 = 67
      • 참고문헌 = 69
      • ABSTRACT =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