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디스토피아 영화의상의 조형적 특성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3566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 2007. 2

      • 발행연도

        2006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 100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양숙희

      • 소장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common characteristics by studying costumes displayed in Dystopian films which have critical view of the futu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nsist of three different parts. The first part is to study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common characteristics by studying costumes displayed in Dystopian films which have critical view of the futu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nsist of three different parts.
      The first part is to study the origin and concept about dystopia, and to study the dystopian expression involved in literature, art, architecture and films. The second part is to analyze future costumes appearing in six dystopian films which predicate the negative prospect for the future based on philosophical speculation related to criticism of reality. The third part is to classify the common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se costumes into external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Extern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rm, material and color.
      First, the form can be represented by minimalism, tailored style and military style. Minimalism expressed as form without decorative design realized economical efficiency by concise style line and minimized detail. Tailored style and military style of moderate form pursuing minimized external expression contain ideological brutality and fascism in stiff and angle wise line and standardized beauty of form.
      Second, hi-tech synthetics rather than natural fibers prominently used in dystopian films. In these films we can see a lot of costumes mixed with shiny material which contain cold, strong and mechanical images, hi-tech polyurethane which is suitable for minimal expression, synthetic leather which contain both brutal image and cyber image and materials with recycling concept emerged from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Third, the colors prominent in six dystopian films are achromatic colors which cover from white to grey and to black. Black implies the meanings of death, the end, injustice, illegality, fascism, violence, nihility and despair. White implies the meanings of start, resurrection, sadness, a departed, good, god, cleanness and sanitation. Grey implies the meanings of a feeling of helplessness, absence of individuality, fatigue, gloominess, fear, brutality, poverty and wretchedness.
      Internal characteristics of costumes appearing in dystopian films are categorized as the indeterminate expression, ex-typical expression and uniform expression.
      First, indeterminate expression grows out of stereotype about the form of costumes according to time and place by costumes which dismantle and reorganize unilinear time concept and modern space concept. This, in turn, collapses traditional assumption tha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racial characteristics are symbolized by costumes.
      Second, ex-typical expression destructs the standardized dichotomy about costumes of male and female. Ex-typical expression is presented as androgynous style, asexual or neutral style, and transvestism style.
      Third, uniform expression, the most prominent internal expression , implies the emphasis on the roles accompanied by the expectation of the group rather than collective dispositions and individual expression of feelings inspired by uniforms which are the extreme form of clothing conformity.
      The abov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ystopian future costumes can be described as the embodiment of meanings of influence from present and future cultural changes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These costumes which predicate the negative prospect for the future are presented as the extension of modern fashion phenomenon rather than as simple fantasy or imaginary concep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진 디스토피아 영화들의 미래관과 각 영화에서 제시된 의상들을 살펴보고, 이들 의상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일반적 특성과 조형적 특성을 밝히...

      본 연구는 미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진 디스토피아 영화들의 미래관과 각 영화에서 제시된 의상들을 살펴보고, 이들 의상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일반적 특성과 조형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이론 연구에서는 첫째, 디스토피아의 어원과 개념 및 그 상대적 개념인 유토피아의 정의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 문학, 미술, 건축 그리고 영화에서 나타난 디스토피아 표현을 고찰하였다.
      이론 연구에서 정립된 내용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먼저 여섯 편의 디스토피아 영화를 선정하여 각 영화에서 제시된 미래 의상들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의상에서 발견되는 공통된 조형적 특성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디스토피아 영화의상의 조형적 특성은 외적 특성과 내적 특성으로 유형화 할 수 있다. 외적 특성은 형태, 소재 그리고 색채로 구분하고, 내적 특성은 불확정적 표현, 탈정형적 표현 그리고 획일적 표현으로 구분하였다.
      외적 특성은 형태, 소재 그리고 색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 형태적 특성은 미니멀리즘, 테일러드 스타일 그리고 밀리터리 스타일로 대표된다. 단순미의 극치로서, 간결한 라인이면서 장식적인 디자인을 가능한 절제하고 제거한 형태의 미니멀리즘 스타일이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최소한의 외적 표현을 추구하는 절제된 형식의 테일러드 스타일과 밀리터리 스타일은 딱딱하고 각진 라인과 정형화된 형식미 속에는 이데올로기적 야만성과 파시즘을 담고 있다.
      둘째, 디스토피아 영화의상에서는 천연섬유보다 인조섬유와 하이테크 합성섬유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하이테크 소재의 사용은 첨단 매체의 영향으로 나타난 테크노 사이버 패션의 한 현상으로 해석되었다. 이들 영화에서는 차갑고 견고한 기계적 이미지를 내포한 광택 소재, 미니멀리즘의 표현에 용이한 하이테크 탄성고무 소재, 야성적 이미지와 사이버 이미지가 중첩된 인조 가죽 소재 그리고 천연 소재의 고갈로 등장한 리사이클 개념의 소재 등이 혼재된 의상들이 제시되었다.
      셋째, 여섯 편의 디스토피아 영화들을 지배하는 색채는 흰색에서 회색 그리고 검은색으로 이어지는 무채색 계열이었다. 죽음과 종말, 부정과 불법, 파시즘과 폭력, 허무와 절망을 내포한 검은색, 시작과 부활, 슬픔과 귀신, 선과 신, 청결과 위생의 의미를 담고 있는 흰색 그리고 무력감과 몰개성, 권태와 우울, 공포와 잔혹, 가난과 비참함의 이미지인 회색이 주된 색채로 고려되었다.
      내적 특성은 불확정적 표현, 탈정형적 표현 그리고 획일적 표현으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첫째, 불확정적 표현은 단선적인 시간 개념과 근대적 지역 공간 개념이 해체되고 재구성된 의상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시공간에 따른 복식의 형태에 대한 고정관념이 와해되었으며 지역과 민족성이 복식을 통해 기호화된다는 전통적 사고가 붕괴되었다. 또한 빈부의 이미지가 상반된 소재와 기법의 혼용 등을 통하여 부와 빈곤, 미와 추, 새것과 헌것의 불확정성을 실현시켰다.
      둘째, 탈정형적 표현은 기존의 남성과 여성의 복식에 대한 정형화된 이분법적 구분이 파괴된 스타일과 속옷과 겉옷의 고정된 구별이 전복된 스타일로 표현되었다. 의상에 부여된 기존의 성 개념이 해체된 표현은 앤드로지너스 스타일, 무성주의나 중성주의 스타일 그리고 트랜스베스티즘 스타일로 제시되었다.
      셋째, 획일적 표현은 가장 강조되어 나타난 내적 표현 양식이었다. 유니폼들을 통해 개인의 표현보다 집단주의 성향의 강조를 암시하였다. 획일적 표현은 전체의 목적 달성을 위해 차별화된 개인의 미적 추구를 배제한 채 질서에 대해 순응하며 부품화 된 인간의 이미지를 반영하고 있다.
      이상 분석한 디스토피아 영화의상의 특성은 다가올 미래 문화가 우리 삶에 끼칠 영향을 복식을 통해 구체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미래에 대한 부정적 전망을 내포한 이들 의상들은 단순한 환상이나 공상적인 개념이 아닌 현대 패션 현상의 연장으로서 제시된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 론 = 1
      • 제 1절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
      • 제 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 제 2장 이론적 고찰 = 4
      • 제 1장 서 론 = 1
      • 제 1절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
      • 제 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 제 2장 이론적 고찰 = 4
      • 제 1절 디스토피아의 개념 = 4
      • 제 2절 디스토피아의 전개 양상 = 5
      • 1. 문학에서의 디스토피아 = 6
      • 2. 미술에서의 디스토피아 = 12
      • 3. 건축에서의 디스토피아 = 15
      • 4. 영화에서의 디스토피아 = 18
      • 제 3장 디스토피아 영화의상의 일반적 특성 = 24
      • 제 1절 블레이드 러너 = 24
      • 1. 영화의 줄거리 = 24
      • 2. 영화의상 디자인 분석 = 26
      • 제 2절 가타카 = 28
      • 1. 영화의 줄거리 = 28
      • 2. 영화의상 디자인 분석 = 29
      • 제 3절 다크 시티 = 31
      • 1. 영화의 줄거리 = 31
      • 2. 영화의상 디자인 분석 = 32
      • 제 4절 매트릭스 = 33
      • 1. 영화의 줄거리 = 33
      • 2. 영화의상 디자인 분석 = 34
      • 제 5절 이퀼리브리엄 = 36
      • 1. 영화의 줄거리 = 36
      • 2. 영화의상 디자인 분석 = 38
      • 제 6절 아일랜드 = 40
      • 1. 영화의 줄거리 = 40
      • 2. 영화의상 디자인 분석 = 42
      • 제 4장 디스토피아 영화의상의 조형적 특성 = 45
      • 제 1절 외적 특성 = 45
      • 1. 형태 = 45
      • 2. 소재 = 47
      • 3. 색채 49
      • 제 2절 내적 특성 = 54
      • 1. 불확정적 표현 = 54
      • 2. 탈정형적 표현 = 56
      • 3. 획일적 표현 = 61
      • 제 5장 결론 = 63
      • 참 고 문 헌 = 66
      • 그 림 출 처 = 72
      • ABSTRACT = 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