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시 우면산 도시자연공원내 도시림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생태공원 조성기법 = Creation Techniques of Ecological Park to Consider Urban Forest Ecosystem in Woomyeonsan Urban Nature Park,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7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technique of ecological park to compatible mountain ecosystem near the urban in Woomyeonsan Urban Nature Park. It was proposed to differential technique from established ecological park focused on changing the cognition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technique of ecological park to compatible mountain ecosystem near the urban in Woomyeonsan Urban Nature Park. It was proposed to differential technique from established ecological park focused on changing the cognition of nature, wetland ecosystem protection and restoration, and studying by served sound leisure program(nature observation and experience, etc.), in compatible mountain and urban forest near the Urban. Firstly, to achieve this aim, it was carried out delicated research and analysis that were the angle of inclination, trail, fauna, actual vegetation, bird and insect, and then to selected nature trail course and analysis capability through it.. In the basic concept and plan, firstly to make park aid mark and foundation mark, and then to establish the detail programs, nature observation program, management and organization program. This site where valley and mountain coexist was highly capable but whole site was very steep, so usable area is very narrow. To make Woomyeonsan nature ecological park escape from the established wetland type, ecological park and the park of event have to use nature material and introduce visitor. To establish it as the Nature Culture observation park and reflect on forest, valley of Woomyeonsan was divided into three display places; Nature ecosystem Zone, Meditation Zone, Nature Culture experience Zone and Nature Culture observation Center. For satisfying with ecological park aid mark and foundation mark, it was proposed to settle management plan for volunteer control and organization composi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성역재방죽 생태공원" 10 : 163-183, 2000

      2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환경부 2000

      3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2000

      4 "한국동식물도감" 문교부 한국동식물도감 25 동물편 : 1981

      5 "자연체험학습" 샘소리미디어. 1998

      6 "자연생태계 모니터링을 통한 여의도샛강생태 공원의 관리방안" 2001

      7 "자연관찰센터 및 자연관찰로 조성 계획-경기도 수리산 군포시험림을 대상으로-" 1998

      8 "월드컵공원 생태계 모니터링을 통한 관리방안" 2003

      9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의 조성 후 3년간의 식물상 변화" 28 (28): 76-86, 2000

      10 "숲이 있는 학교" 1999

      1 "홍성역재방죽 생태공원" 10 : 163-183, 2000

      2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환경부 2000

      3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2000

      4 "한국동식물도감" 문교부 한국동식물도감 25 동물편 : 1981

      5 "자연체험학습" 샘소리미디어. 1998

      6 "자연생태계 모니터링을 통한 여의도샛강생태 공원의 관리방안" 2001

      7 "자연관찰센터 및 자연관찰로 조성 계획-경기도 수리산 군포시험림을 대상으로-" 1998

      8 "월드컵공원 생태계 모니터링을 통한 관리방안" 2003

      9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의 조성 후 3년간의 식물상 변화" 28 (28): 76-86, 2000

      10 "숲이 있는 학교" 1999

      11 "숲과 자연 교육" 수문출판사 1998

      12 "서울시 도시림의 휴양기능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1993

      13 "생태공원 조성을 위한 식재 설계방법의 개발-시각적 선호도와 생태적 다양성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27 (27): 12-24, 2000

      14 "도시생태공원의 계획과 설계" 110 : 10-17, 2000

      15 "대한식물도감" 서울 1993

      16 "남산의 생태학적 진단" 5 713-3 721, 1998

      17 "남산공원의 자연환경실태 및 보전대책" 서울 시립대학교 조경학과 보고서 1986

      18 "국토연구원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Ⅱ 관리방안 수립을 중심으로" 환경부 보고서 2002

      19 "山林環境構造と 鳥類の採餌ニツチに關する硏究" 北海道大學 博士學位論文 1990

      20 "入間市の野鳥" 入間市 1996

      21 "Soft Science."

      22 "Kuramoto" 1998

      23 "City Form and Natural Process" London 1983

      24 "Choice modeling and tests of benefit transfer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1" 161-170,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