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xfam 세계시민교육과정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n Oxfam`s Curriculum for Global Citizenshi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8999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국제구호단체인 Oxfam(2015a, 2015b)이 제안한 세계시민교육과정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유아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

      이 연구는 국제구호단체인 Oxfam(2015a, 2015b)이 제안한 세계시민교육과정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유아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유아세계시민교육의 목표와 원리, 내용과 교수법에 대한 56개 문항으로 설문을 구성하여, 6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49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구성요소들이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유아세계시민교육의 목표로는 `자신의 행동에 책임지는 자세 갖기`, 교육원리로서 `유아의 일상에서 세계시민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를, 교육내용으로는 `배려와 나눔의 중요성 알기`, `타인의 말을 경청하기`, `자신과 타인을 존중하기`를, 그리고 교수법으로 `유아가 직접 실천할 수 있도록 격려하기` 등의 문항을 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세계시민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고려한 유아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 awareness of the goals, principles, contents, and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proposed by Oxfam.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n the translated versions of global citizenship guides published by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 awareness of the goals, principles, contents, and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proposed by Oxfam.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n the translated versions of global citizenship guides published by Oxfam (2015a, 2015b) and was conducted to 493 pre-service teachers studying at the 6 universities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pondents intended to perceive the 56 items as the fundamentals positively for earl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ome items were relatively stressed-e.g.,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ir actions` as a goal, `enriching everyday teaching and learning` as a principle, `importance of caring and sharing` as a knowledge, `listening to others` as a skill, `sense of self-worth and worth of others` as a attitude, and `providing the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take informed, reflective action` as a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The researchers suggested the further discussion for constructing the fundamentals of earl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future researche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program in the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민경, "한국사회의 다문화 교육 방향성 고찰: 서구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83-104, 2008

      2 김숙자,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적 접근에 터한 유아 교육내용 분석 -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 미래유아교육학회 22 (22): 333-354, 2015

      3 배지현, "지리학습활동을 통한 유아세계시민교육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국제가상교류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7 (7): 107-127, 2014

      4 김신일, "지구촌시대의 국제이해교육 프로그램"

      5 교육과학기술부, "종일반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유아 세계시민교육활동자료"

      6 최병두, "일본 외국인 이주자의 다규모적 정체성과 정체성의 정치" 한국공간환경학회 21 (21): 221-274, 2011

      7 배지현, "유아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글로벌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적용에 관한 실행 연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6 (6): 59-81, 2013

      8 이연선, "유아다문화교육정책 및 실제에 관한 비판적 담론분석: 정책, 교육청, 현장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81-204, 2013

      9 양시내, "유아 시민의식 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10 박지선, "유아 세계시민교육이 유아의 세계시민의식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 이민경, "한국사회의 다문화 교육 방향성 고찰: 서구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83-104, 2008

      2 김숙자,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적 접근에 터한 유아 교육내용 분석 -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 미래유아교육학회 22 (22): 333-354, 2015

      3 배지현, "지리학습활동을 통한 유아세계시민교육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국제가상교류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7 (7): 107-127, 2014

      4 김신일, "지구촌시대의 국제이해교육 프로그램"

      5 교육과학기술부, "종일반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유아 세계시민교육활동자료"

      6 최병두, "일본 외국인 이주자의 다규모적 정체성과 정체성의 정치" 한국공간환경학회 21 (21): 221-274, 2011

      7 배지현, "유아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글로벌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적용에 관한 실행 연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6 (6): 59-81, 2013

      8 이연선, "유아다문화교육정책 및 실제에 관한 비판적 담론분석: 정책, 교육청, 현장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81-204, 2013

      9 양시내, "유아 시민의식 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10 박지선, "유아 세계시민교육이 유아의 세계시민의식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1 유재경, "유아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2 (12): 293-315, 2008

      12 이윤주, "세계시민성 함양과 세계시민교육의 실천방안: 청소년 참여교육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7 (27): 225-245, 2016

      13 이성회, "세계시민교육의 실태와 실천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5

      14 정기오,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사론" 교육연구원 31 : 183-205, 2015

      15 이성회,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현실적 딜레마" 한국다문화교육학회 9 (9): 31-56, 2016

      16 성열관,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의 보편적 핵심 요소와 한국적 특수성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09-130, 2010

      17 김용숙,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2971-2982, 2012

      18 최종덕, "글로벌 시민교육의 쟁점과 과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6 (46): 207-227, 2014

      19 김인실, "국제교류를 통한 음악 중심의 유아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9 (9): 71-96, 2016

      20 오주은, "“Would You Tell My Teacher to Let Me in the Block Center?”: A Case Study of a Korean Immigrant Boy’s Peer Interactions and Preschool Peer Culture at Playtime" 한국유아교육학회 22 (22): 97-113, 2016

      21 Banks, J. A., "Teaching for social justice, diversity, and citizenship in a global world" 68 (68): 295-305, 2004

      22 김진희, "Post 2015 맥락의 세계시민교육 담론 동향과 쟁점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59-88, 2015

      23 나정, "OECD가 선정한 5가지 유아교육과정" 공동체 2016

      24 Oxfam., "Global citizenship in the classroom : A guide for teachers" Oxfam 2015

      25 UNESC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eparing learners for the challenges of the twenty-first century" UNESCO 2014

      26 UNESC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 UNESCO 2015

      27 Oxfam,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a guide for school" Oxfam 2015

      28 Choi, J., "Educating citizens in a multicultural society : The case of South Korea" 101 : 174-178, 2010

      29 Kymlicka, W., "Contemporary Political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0 Duty, L. M., "Changing teachers’ conceptualizations of teaching for citizenship in a globalized world" Ohio State University 2010

      31 Rapoport, A., "A forgotten concept :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state social studies standards" 33 (33): 91-112, 2009

      32 이경화, "3-5세 누리과정의 한계와 유아교육자의 과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5 (15): 1-23, 2016

      33 유연옥,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의 세계시민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465-480,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Association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26 2.26 2.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6 2.22 2.445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