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생들의 자아존중감이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성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elf-esteem on the students in high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on sexual attitude and the meditator effect of sexual conscious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19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influence of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higher graders to sex attitude and mediator effect of sexual consciousness to propose social welfare action plan to improve self-esteem and healthy sexual consciousness of elementary sc...

      This study analyzed influence of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higher graders to sex attitude and mediator effect of sexual consciousness to propose social welfare action plan to improve self-esteem and healthy sexual consciousness of elementary school higher graders. 3 elementary schools in C region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and fifth and sixth graders were selected through purposeful sampling for the research. Total 443 copies of surveys were retrieved and analyzed through SPSS 19.0. As for the result, the higher the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self-esteem in family, and sexual consciousness is, the higher the sex attitude is. Also, as for the influence of self-esteem to sexual consciousness, sexual consciousness was higher if the self-esteem in family is higher. The indication and proposal based 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educate the nurture techniques can improve self-esteem like the support of parents, encouragement, and communication. Seco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sex education program which apply the case about the sexual consciousness can experience in the daily life. Third, there is a need to apply the sympathy train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crease program through the various group activities in order to have the confidence in the scho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생들의 자아존중감이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성 의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건강한 성 의식 형성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방...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생들의 자아존중감이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성 의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건강한 성 의식 형성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지역에 있는 3개의 초등학교를 편의추출한 다음 초등학교 5,6학년은 유의표집하여 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4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SPSS 21.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아존중감, 성 의식이 성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일반적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성 의식이 높을수록 성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성 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성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함의 및 제언을 제시해 보면, 첫째, 부모의 지지, 격려, 의사소통과 같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육기법들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성의식에 대한 사례를 접목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생활에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집단활동을 통한 공감훈련 및 대인관계 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성문화연구소, "학교교육을 통한 체계적 성교육 접근모형개발" 보건복지부 2000

      2 이근후, "학교 성교육의 실제" 176 (176): 44-63, 1996

      3 손미희, "초등학생의 음란물 접촉 경험이 성의식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장연주, "초등학생의 성희롱경험과 정신건강 및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 이난희, "초등학생의 성의식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09

      6 구정화, "초등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학년 및 성별 차이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35-46, 2009

      7 양정혜, "초등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청소년패널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185-204, 2012

      8 임영림, "초등학생의 성교육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성지식과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4 (44): 31-40, 2014

      9 서동오, "초등학교 성교육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0 이주희, "초등학교 고학년의 성의식 향상을 위한 부모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 한국성문화연구소, "학교교육을 통한 체계적 성교육 접근모형개발" 보건복지부 2000

      2 이근후, "학교 성교육의 실제" 176 (176): 44-63, 1996

      3 손미희, "초등학생의 음란물 접촉 경험이 성의식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장연주, "초등학생의 성희롱경험과 정신건강 및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 이난희, "초등학생의 성의식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09

      6 구정화, "초등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학년 및 성별 차이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35-46, 2009

      7 양정혜, "초등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청소년패널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185-204, 2012

      8 임영림, "초등학생의 성교육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성지식과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4 (44): 31-40, 2014

      9 서동오, "초등학교 성교육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0 이주희, "초등학교 고학년의 성의식 향상을 위한 부모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1 김영아, "초등학교 고학년의 성 인식 함양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2 윤명선, "초기청소년의 건강한 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13 김미주, "초·중·고등학교 성교육 교재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保健大學院 1997

      14 최경자,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학업성취도와 자아존중감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2002

      15 김소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과 성의식과의 관계" 건양대학교 대학원 2008

      16 신근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성의식의 매개효과" 인문과학연구소 (37) : 489-518, 2013

      17 김미옥,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성행동에 관한 연구 : 인문계·실업계 학생집단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통일·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02

      18 김희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발달 : 환경변인 및 적응과의 관계"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8

      19 송윤경, "청소년의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통제력이 위험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20 한인영, "청소년의 성행동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12 (12): 138-148, 2001

      21 이영숙, "청소년의 성태도와 성폭력 사건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4 (14): 709-720, 2005

      22 오남순, "청소년의 성지식과 성의식 실태분석 : 대전지역 초등학생 및 중학생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09

      23 배성미, "청소년의 성지식 성태도가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4 박은희, "청소년의 성정체감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연구" 계명대학교대학원 2001

      25 유가효, "청소년의 성문화와 성교육프로그램 방향 모색" 23 (23): 1-10, 1997

      26 성신명,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27 이동숙,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성별과 연령이 다른 청소년집단을 대상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8 이윤선, "청소년기 성태도 형성과 그 중요성에 관한 통계적 관찰"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7

      29 백혜정, "청소년 성의식 및 행동 실태와 대처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008

      30 아하! 청소년성문화센터, "청소년 성문화 연구조사" 2005

      31 김신정, "중학생의 성 지식과 성 태도" 한국아동간호학회 10 (10): 350-360, 2004

      32 김은주, "중학생 성교육에 따른 성태도 변화의 영향요인" 정신간호학회 17 (17): 403-410, 2008

      33 김은지, "자아존중감과 성역할 정체감 및 성의식과의 관계 연구 : 제주지역 여고생을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34 이춘재, "자기상(self-image)으로 본 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발달(2)" 9 (9): 154-166, 1996

      35 이명화, "음란매체 접촉에 따른 성갈등에 성태도와 지식이 미치는 영향"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36 오정례, "역할극을 활용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성의식, 성태도 및 성역할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0

      37 전혜정, "역할극을 통한 성교육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5

      38 박세랑, "여중생의 성의식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9 김미숙, "여자중학생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성 태도에 미치는 효과" 啓明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40 성희옥, "아동후기 초등학교 학생의 우울성향 : 일상적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133-144, 1998

      41 장휘숙, "아동심리학" 전영사 1995

      42 홍성례, "성별, 자아존중감 및 인터넷음란물 중독정도가 관계만족의 매개효과를 통해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30 (30): 69-82, 2012

      43 한국부모교육학회, "성교육학" 교육과학사 1998

      44 이선용, "성교육이 초등학교 아동의 성지식과 성태도,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5 이성혜, "성교육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지식 및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6 이관순, "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성 관련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7 정해영, "성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성에 대한 태도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48 송희자, "성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9 하상희, "성과 관련된 부모역할이 대학생의 성태도 및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271-286, 2006

      50 김주희, "성 태도 성행동과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연구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1 (41): 111-124, 2003

      51 박효정, "사회공동체 기초역량 함양을 위한 성의식 및 성교육 실태조사" 교육인적자원부 2003

      52 이미경, "사춘기 성의식과 자위행위가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6 (26): 27-35, 1986

      53 이지윤,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54 김혜영,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성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55 배경의, "부산지역 남자 고등학생의 성태도, 성행동 및 자아존중감" 10 (10): 36-47, 2009

      56 임민숙,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성태도의 관계" 한국아동간호학회 22 (22): 227-235, 2016

      57 金富子, "미혼모의 가정환경과 성태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58 안현진, "미혼남녀의 성의식과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연구 : 20대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3

      59 이정연,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성의식 및 대인관계간의 상관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60 이주연, "대학생의 개인 심리적 특성변인과 성태도 및 성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0 (10): 149-172, 2005

      61 강미라, "고교생의 음란매체 접촉과 잠재적 비행과의 관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62 오희숙, "가정연계 성교육이 초등학생의 성지식 및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63 全貴演, "兒童의 性役割 類型과 自我尊重感과의 關係" 경북대학교 대학원 1984

      64 Lee, j., "The relationships of individual psychological"

      65 Coopersmith, S,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Disorder 218-224, 1967

      66 Rosenberg,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J: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67 Green, J., "Sex and world sexual foundation for practice" Bailleer Tindall 2000

      68 Silber, E., "Self-esteem: Clinical assessment and measurement validation" 16 : 1017-1052, 1965

      69 Coopersmith, S., "Self-esteem inventories"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75

      70 Reiss, I. L., "Premartital sexual standards in America" The Free Press 1960

      71 Hayes, Andrew F., "Indirect and Direct Effects of a Multicategorical Causal Agent in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2011

      72 Glanz, K.,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Jossey-Bass Inc. 1997

      73 Whitbeck, LB, "Early adolescent sexual activity: A Development study" 61 (61): 934-947, 1999

      74 Hurlock, E. B., "Child Development" McGraw Hill Book Company 1973

      75 Rosenberg, M., "Black and White self-esteem: The urban school child"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1972

      76 Gruber, E, "Adolescent sexuality and the media: A review of crrent knowledge and implications" 172 : 210-214, 2000

      77 White, D, "Adolescent sexual behavior" 27 (27): 183-191,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학교사회사업 -> 학교사회복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2.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1 2.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