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Semiconductor Compounds for Dose Measurement in Electron Beam Treat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99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전자선 치료에서 전자선 선량 측정 시 교차교정이 필요한 기존 평행평판형이온함을 대체하고자 하였다. 광도전성 반도체 화합물 HgI₂를 사용하여 선량계로 제작하였으며, 선...

      본 연구에서는 전자선 치료에서 전자선 선량 측정 시 교차교정이 필요한 기존 평행평판형이온함을 대체하고자 하였다. 광도전성 반도체 화합물 HgI₂를 사용하여 선량계로 제작하였으며, 선형가속기에서 6, 9, 12MeV 전자선에 대한 HgI₂ 선량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존 선량계와의 대체가능성과 전자선 선량계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전자선 선량계 개발의 기초연구로써 활용하고자 하였다. 재현성 평가결과, RSD는 6, 9, 12 MeV 에너지에서 각각 0.4246%, 0.5054%, 0.8640%로 나타나 출력 신호가 안정적인 것을 나타내었다. 선형성 평가결과, 직선형 추세선의 신뢰도 지표 R²값은 6 MeV에서 0.9999, 9 MeV에서 0.9996, 12 MeV에서 0.9997로 나타나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HgI₂에 출력 신호가 비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HgI₂ 선량계는 전자선 측정 적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전자선 검출에 대한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replace the existing plane parallel ionization chamber, which requires cross-calibration in electron beam treatment. The semiconductor compounds HgI₂ was fabricated as detect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HgI₂ det...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replace the existing plane parallel ionization chamber, which requires cross-calibration in electron beam treatment. The semiconductor compounds HgI₂ was fabricated as detect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HgI₂ detector for the 6, 9 and 12 MeV electron beam was analyzed in the linear accelerator. It was also intend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on with existing detectors and their applicability as electron beam dosimetry and to use them as a basic study of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beam dosimeter. As a result of reproducibility, RSD was 0.4246%, 0.5054%, and 0.8640% at 6, 9, and 12 MeV energy,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output signal was stable. As a result of the linearity, the R2 was 0.9999 at 6 MeV, 0.9996 at 9 MeV, and 0.9997 at 12 MeV showed that the output signal is proportional to HgI₂ as the dose is increased. The HgI₂ detector of this study is highly applicable to electron beam measurement, and it may be used as a basic research on electron beam dete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Ⅲ. RESULT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Acknowledgement Reference
      •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Ⅲ. RESULT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Acknowledgement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라정은, "평행평판형이온함의 교차교정 시 전자선 선질에 따른 흡수선량 결정에 대한 연구" 한국의학물리학회 20 (20): 97-105, 2009

      2 김미영, "전자선 선질 R50=1.0과 1.4 g/cm2에 대한 PTW-Markus 전리함의 선질보정인자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의학물리학회 26 (26): 178-184, 2015

      3 신요한, "비파괴 검사 분야의 방사성 동위원소 위치추적을 위한 반도체 화합물의 적용 가능성 연구" 한국방사선학회 13 (13): 39-44, 2019

      4 정동혁, "몬테칼로 계산을 이용한 평판형 전리함의 고에너지 전자선에 대한 선질보정인자 결정" 대한방사선과학회 31 (31): 89-96, 2008

      5 장기원, "광도전체 물질의 치료 방사선 선량계 적용을 위한 가능성 연구" 한국방사선학회 7 (7): 81-84, 2013

      6 S. Gowda, "The mass attenuation coefficients, effective atomic cross sections, effective atomic numbers and electron densities of some halides" 10 : 392-, 2016

      7 IAEA, "TRS-398 Absorbed Dose Determination in External Beam Radiotherapy: An International Code of Practice for Dosimetry based on Standards of Absorbed dose to Water" 2000

      8 S. F. Kry, "Skin dose during radiotherapy, a summary and general estimation technique" 13 (13): 2012

      9 L. A. R. da Rosa, "Reproducibility study of TLD-100 micro-cubes at radiotherapy dose level" 50 (50): 573-577, 1999

      10 F. M. Khan, "Khan’s The Physics of Radiation Therapy" Wolters Kluwer 264-274, 2014

      1 라정은, "평행평판형이온함의 교차교정 시 전자선 선질에 따른 흡수선량 결정에 대한 연구" 한국의학물리학회 20 (20): 97-105, 2009

      2 김미영, "전자선 선질 R50=1.0과 1.4 g/cm2에 대한 PTW-Markus 전리함의 선질보정인자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의학물리학회 26 (26): 178-184, 2015

      3 신요한, "비파괴 검사 분야의 방사성 동위원소 위치추적을 위한 반도체 화합물의 적용 가능성 연구" 한국방사선학회 13 (13): 39-44, 2019

      4 정동혁, "몬테칼로 계산을 이용한 평판형 전리함의 고에너지 전자선에 대한 선질보정인자 결정" 대한방사선과학회 31 (31): 89-96, 2008

      5 장기원, "광도전체 물질의 치료 방사선 선량계 적용을 위한 가능성 연구" 한국방사선학회 7 (7): 81-84, 2013

      6 S. Gowda, "The mass attenuation coefficients, effective atomic cross sections, effective atomic numbers and electron densities of some halides" 10 : 392-, 2016

      7 IAEA, "TRS-398 Absorbed Dose Determination in External Beam Radiotherapy: An International Code of Practice for Dosimetry based on Standards of Absorbed dose to Water" 2000

      8 S. F. Kry, "Skin dose during radiotherapy, a summary and general estimation technique" 13 (13): 2012

      9 L. A. R. da Rosa, "Reproducibility study of TLD-100 micro-cubes at radiotherapy dose level" 50 (50): 573-577, 1999

      10 F. M. Khan, "Khan’s The Physics of Radiation Therapy" Wolters Kluwer 264-274, 2014

      11 K. M. Oh, "Improvement in pixel signal uniformity of polycrystalline mercuric iodide films for digital X-ray imaging" 53 (53): e031201-, 2014

      12 한무재, "Flattening Filter Free Beam의 정도관리를 위한 곡면선량계 가능성 연구" 한국방사선학회 13 (13): 119-124, 2019

      13 Y. J. Heo, "Development of a stable and sensitive semiconductor detector by using a mixture of lead(II)iodide and lead monoxide for NDT radiation dose detection" 13 : C03023-, 2018

      14 "AAPM Report 67, AAPM’s TG-51, Radiation Therapy Committee Task Group No. 51: Protocol for Clinical Dosimetry of High-Energy Photon and Electron Beams" 26 : 1847-1870,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2-2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방사선학회 -> 한국방사선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Radiology ->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452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