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동연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 that affects national collaborative R&D project performance : focusing on industrial convergence core technology R&D program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23259

      • 저자
      • 발행사항

        대전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30.911 판사항(6)

      • DDC

        352.745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대전

      • 형태사항

        xi, 70장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최수영
        참고문헌: 장 64-70

      • 소장기관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2000's, basic research and fundamental technology research have been emphasised in Korean national R&D programme. Basic research and fundamental technology research have lots of uncertainty. In resource-based view, each actor has heterogeneous r...

      Since 2000's, basic research and fundamental technology research have been emphasised in Korean national R&D programme. Basic research and fundamental technology research have lots of uncertainty. In resource-based view, each actor has heterogeneous resource and they overcome uncertainty by collaborative R&D that is a kind of alliance. Therefor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R&D is growing.
      This study aims to analyse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of national collaborative R&D project for fundamental technology especially focusing on project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actors' characteristics. Data collected from 262 'Industrial Convergence Core Technology R&D Programme' is analysed using ANOVA, ANCOVA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The empirical results summarised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of fundamental research depend on government's policy of R&D. R&D expenditure affects the performance of fundamental research.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R&D project i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Second, the ratio of private investment makes negative effect to performance of R&D. Investing fundamental research is the risk of firms because It has uncertainty and time lag to commercialise fundamental technology. Third, R&D performance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ype of research managing organisation. Following the ANCOVA results, university and research institute have much more papers and university also has much more patents than firms. It means that each type of research actor has capabilities of making different type of performance. Fourth, number of actors and diversity of actors are effect factors of performance of R&D. Following the regression result, number of actors has positive effect to number of papers. ANCOVA results show that number of paper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diversity of actors. In resource-based view, each actors have heterogeneous R&D resource and they can make scientific knowledge using complementary resources. Publication of papers is the way to diffuse of new knowledge and it is reason that number of actors has positive effect to number of papers.
      This study gives policy implications to policy makers and research actors. The policy makers need to choose the strategic field and make concentrated investment portfolios for fundamental R&D. And they need to design appropriate performance type and ratio of private investment to the purpose of each project. It gives information to actors for making suitable collaborative R&D consortium: to choose a type of research managing organisation, the number of actors, the diversity of actors and so 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경제·산업의 구조가 지식기반으로 변화하면서 연구개발을 통한 국가경쟁력 확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은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2000년대 이후 국가연구...

      경제·산업의 구조가 지식기반으로 변화하면서 연구개발을 통한 국가경쟁력 확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은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2000년대 이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격은 선진국 추격형 연구개발에서 기초·원천기술개발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기술과 시장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은 기초·원천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혁신주체가 보유한 지식의 통합능력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공동연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공동연구의 성과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실증분석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원천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객관적 자료를 통하여 실증분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과제 특성과 공동연구 협력체계에 초점을 맞추어 성과요인을 확인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 공동연구, 연구개발의 성과에 대한 개념 및 이론적 배경을 확인하고 연구개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과제특성과 연구수행주체특성으로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구개발성과는 1차적 성과인 논문수와 특허수로 나타내었으며, 과제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로 대상기술의 산업분야 및 기술수명주기, 과제계약 시 민간투자비중을 사용하였다. 연구수행 주체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로는 주관기관 유형, 연구수행주체의 수, 연구수행주체 다양성을 선택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을 공동연구로 수행하는 경우 협력체계 구성이 연구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은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의 세부사업인 ‘로봇융합 원천기술개발사업’, ‘바이오·의료기기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산업소재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을 통해 2011년 지원받은 378개 과제 중 2011년에 성과가 발생한 262개 과제를 대상으로 분산분석, 공분산분석 및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산업분야, 기술수명주기와 같은 기술적 특성은 원천기술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개발성과에 유의한 차이를 주지 않으며, 총 연구개발비 규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다른 과제특성인 민간투자비율은 연구개발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주관기관유형별로 살펴보면 기업 보다 대학, 연구기관이 더 많은 연구개발성과를 보였으며, 연구수행 주체의 다양성에 따라 논문성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특허성과에서는 연구수행주체 다양성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음이항 회귀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연구수행주체 수는 논문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특허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원천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국가연구개발 사업의 성과가 기술의 특성 보다는 국가의 전략기술 선택과 연구개발 자원의 집중 투자와 같은 과학기술 정책적인 측면에 더 큰 영향을 받으며, 시장에 적용되기 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특성으로 인해 기업체 보다는 대학 또는 연구기관이 주관할 때 더 많은 성과를 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공동연구 협력체계의 영향은 성과의 종류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성과의 전유성보다 확산에 초점을 둔 논문성과의 경우, 다양하고 많은 연구수행 주체가 연구에 참여할 때 더 많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성과의 전유성에 초점을 둔 특허성과의 경우, 다수의 연구수행주체가 연구개발에 참여하여 특허성과를 공유하게 되면 각 주체의 ‘전유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성과제고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는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학문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연구공백이 존재하던 원천연구 분야의 연구개발 성과 영향요인을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수행주체 다양성을 국가연구개발 조사·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측정 가능한 변수로 정의하고 연구에 사용하였다. 셋째, 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파트너 선택시 선호도를 확인하였다. 실무적으로는 국가과학기술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는 정책입안자 또는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하고자하는 연구자에게 원천연구개발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기획의 방법과 공동연구 협력체계 구축전략의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년도 및 한정적인 성과측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한계를 가지며, ‘연구수행주체 다양성’이라는 변수의 영향이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아 변수측정의 적절성에 한계가 있다. 향후 장기간에 걸쳐 확보한 데이터를 통한 종단연구
      (Longitudinal study)를 통해 원천기술 연구개발에 시간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며, 객관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수행주체의 다양성을 더욱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개발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