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SCIE

      폐경 후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대퇴골 골밀도와 혈중 렙틴 농도와의 연관성 = Original Articles : Lepti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emoral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655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인체에서 렙틴 농도와 골밀도는 체지방량과 양의 연관성이 있음이 밝혀져 있다. 반면, 렙틴과 골밀도 사이의 관계는 특히 제2형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그 결과들...

      연구배경: 인체에서 렙틴 농도와 골밀도는 체지방량과 양의 연관성이 있음이 밝혀져 있다. 반면, 렙틴과 골밀도 사이의 관계는 특히 제2형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그 결과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있다. 이에, 폐경 후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렙틴과 골밀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1월부터 제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60명의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DXA를 이용하여 요추(L1-L4)와 대퇴 근위부의 골밀도를 측정하였으며, 당화혈색소, 렙틴, 일회뇨에서의 알부민-크레아티닌 비(ACR)을 측정하였다. 결과: 나이와 체지방량 및 공복 인슐린 농도로 보정한 편상관 분석에서 혈중 렙틴 농도는 대퇴 경부(r=-0.308, P=0.020) 대퇴 전자(r=-0.303, P=0.025) 및 총 대퇴골(r=-0.290, P=0.032)의 골밀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 선형 분석에서도 대퇴골의 각 부위는 혈중 렙틴 농도와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결론: 폐경 후 제2형 당뇨병 여성에서 대퇴골 골밀도가 혈중 렙틴 농도와 음의 상관성을 보일 수 있음을 본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현재까지의 연구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결과들을 보이고 있어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Serum leptin level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are widely assume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dy fat mass. Numer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docu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leptin and BMD, but the results are inconsistent, es...

      Background: Serum leptin level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are widely assume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dy fat mass. Numer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docu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leptin and BMD, but the results are inconsistent,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Methods: A total of 60 Korean postmenopausal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The BMDs of lumbar spines (L1 to L4) and proximal femurs (trochanter, neck, and total) were measur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and biochemical markers including leptin, HbA1c, C-peptide and urine albumin-creatinine ratio (ACR) were measured for each patient. Results: Negative associations between leptin and BMD of femoral neck, trochanter, and total femur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ere documented in a model adjusted for age, body fat mass, and fasting insulin level (r=-0.308, P=0.020 and r=-0.303, P=0.025 and r=-0.290, P=0.032 respectivel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vealing negative associations between leptin and BMD of the femoral neck (β=-0.369), trochanter (β=-0.324), and total femur (β=-0.317).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leptin and femoral BMD. In addition, leptin may have a negative effect on BMD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Diabetes J 33:421-431,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