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속철도 개통이 대전역세권에 미치는 영향 = 업종변화 및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418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s of KTX opening on Daejeon Railway Station Impact Area(DRSIA). The major findings of the empirical study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land use between 2005 and 2008 as well as survey on the 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s of KTX opening on Daejeon Railway Station Impact Area(DRSIA). The major findings of the empirical study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land use between 2005 and 2008 as well as survey on the shopkee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wellings had a high distribution ratio continuously and the responses of shopkeepers showed that the impacts of KTX opening were weaker than that it had been expected.
      Secondly, the vacancy rate in DRSIA had been reduced and the number of store for shopping goods such convenience stores, foods and beverages, clothes-accessories had been increased. Especially these changes were almost found around the KTX station area as well as the main street.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store changes and the KTX opening was not clear, and different depends on the types of business of the store in DRS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선행연구 고찰
      • 3. 대전역세권의 업종변화 및 고속철도 개통에 대한 인식 분석
      • 4. 결론
      • Abstract
      • 1. 서론
      • 2. 선행연구 고찰
      • 3. 대전역세권의 업종변화 및 고속철도 개통에 대한 인식 분석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태성, "한국 고속철도 정차역 주변지역 개발구상" 국토연구원 2006

      2 철도청, "철도통계연보"

      3 이건호, "중심시가지에 있어서 토지이용간의 결합특성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6 (36): 2001

      4 임병호, "신·구도심의 업종분포특성 비교연구 - 대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0 (20): 149-168, 2008

      5 이재영, "수도권 신도시의 역세권과 지하철 이용행태 변화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93-103, 2004

      6 이재우, "서울 상가시장 임대료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75-90, 2006

      7 이창수, "상업시설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 6 (6): 1998

      8 윤철현, "부산시 상업기능 집적특성과 상업중심지 계층변화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003

      9 최봉문, "도심구조로 전이과정에서 나타난 기존 도심과 신도심의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1

      10 조남건, "고속철도의 통근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41 : 5-5, 2004

      1 서태성, "한국 고속철도 정차역 주변지역 개발구상" 국토연구원 2006

      2 철도청, "철도통계연보"

      3 이건호, "중심시가지에 있어서 토지이용간의 결합특성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6 (36): 2001

      4 임병호, "신·구도심의 업종분포특성 비교연구 - 대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0 (20): 149-168, 2008

      5 이재영, "수도권 신도시의 역세권과 지하철 이용행태 변화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93-103, 2004

      6 이재우, "서울 상가시장 임대료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75-90, 2006

      7 이창수, "상업시설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 6 (6): 1998

      8 윤철현, "부산시 상업기능 집적특성과 상업중심지 계층변화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003

      9 최봉문, "도심구조로 전이과정에서 나타난 기존 도심과 신도심의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1

      10 조남건, "고속철도의 통근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41 : 5-5, 2004

      11 이용우, "고속철도와 국토공간 구조의 변화(Ⅱ)" 국토연구원 2006

      12 조남건, "고속철도와 국토공간 구조의 변화(Ⅰ)" 국토연구원 2005

      13 정준호, "고속철도시대의 균형발전정책 방향" 산업연구원 2005

      14 국토연구원, "고속철도가 국토의 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 2003

      15 이성우, "고속철도가 국토공간의 인구분산에 미치는 영향" 국토연구원 40 : 1-1, 2004

      16 전영옥, "고속철도 개통의 영향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2004

      17 조남건,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빨대효과 분석 : 쇼핑통행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47 : 107-124, 2005

      18 이창무,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도시 및 지역별 파급효과"

      19 조남건,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국토공간구조의 변화 전망 및 대응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3

      20 이창운, "고속철도 개통시대를 위한 국가교통체계연구(Ⅰ)" 교통개발연구원 2003

      21 임병호, "고속철도 개통과 대전시 공간구조 변화" 대전발전연구원 2008

      22 김영모, "고속전철시대의 국토공간구조의 개편방안" 국토연구원 1995

      23 김광식, "고속전철 건설에 따른 수도권 집중완화 효과" 국토연구원 1995

      24 통계청, "www.nso.go.kr"

      25 Galster, G., "Wrestling Sprawl to the Ground : Defining and Measuring an Elusive Concept" 12 : 681-717, 2001

      26 국토해양부, "KTX역세권을 5+2 광역경제권 개발의 기폭제로, 국토해양부 보도자료(2009.5.8)"

      27 이춘근, "KTX 개통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대구경북연구원 2005

      28 Olivier Klein, "High Speed Train and Local Development : Learnings from the French Experience"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7 1.15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