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기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변화 추이 및 영향요인 탐색 = Exploring Four-Year Trajectories and Influencing Factors on the Career Maturity of Early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296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청소년기의 진로 탐색과 진로 준비의 중요성에 입각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1-4차년도 데이터를 통해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의 진로성숙도(자기이해, 진로계획성) 변화 양...

      청소년기의 진로 탐색과 진로 준비의 중요성에 입각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1-4차년도 데이터를 통해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의 진로성숙도(자기이해, 진로계획성)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패널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진로성숙도 변화의 영향요인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연도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평균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자기이해는 매년 일정 수준 감소하였고, 진로계획성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감소폭이 커지는 비선형적 추이를 보였다. 진로성숙에 대한 영향요인을 탐색한 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부모의 학업적 지원 및 자녀와의 상호작용의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성별과 학업성취 이외에 모형에 투입된 대부분의 학생특성 요인(창의성, 자아개념, 공동체의식, 규칙준수, 자기관리, 독서향유 정도, 운동시간, 공부시간)의 영향이 유의하였다. 학교교육과 관련하여, 봉사활동 인식, 학생회 활동 참여는 진로성숙도 향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에서의 친구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았고, 교사의 열의와 성취압력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은 관계가 유의하였다. 중학교에서의 진로직업교육 참여 및 유용성에 대한 인식 긍정적일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아서 진로교육의 개별화, 내실화 및 참여 기회 확대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importance of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reparation in adolescence, this study explored 4-year trajectories and influencing factors on career maturity level improvement from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2nd grade of middl...

      Based on the importance of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reparation in adolescence, this study explored 4-year trajectories and influencing factors on career maturity level improvement from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2nd grade of middle school by analyzing from the KELS2013(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13).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understan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influencing factors and changes in career maturity. Results showed that levels of career maturity decreased every year. Self-understanding also decreased steadily every year. Career planning showed a non-linear pattern, with a greater decrease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career maturity showed tha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but that the influence of parents' academic support and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higher levels of student factors(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service, student counci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eacher enthusiasm and achievement pressure)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The more positive the perception of the participation and usefulness of career vocation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individualization, substantiation, and expanding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career education was emphasiz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연구방법
      • IV. 연구 결과
      • V. 결론
      • I.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연구방법
      • IV. 연구 결과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양분, "한국교육종단연구2013(Ⅳ): 중학생의 교육경험과 교육성취(Ⅰ)" 한국교육개발원 2016

      2 임현정 ; 김난옥, "학교활동 경험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261-281, 2011

      3 이시균, "패널자료를 이용한 학력의 임금효과 추정" 18 (18): 33-42, 2006

      4 류상희, "충북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151-164, 2012

      5 김예수,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개념 및 진로의식성숙과의 관계" 2 (2): 87-103, 2009

      6 임현정,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개인, 가정, 학교의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265-285, 2016

      7 임성애 ; 이은주,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발달양상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한국초등교육학회 30 (30): 121-145, 2017

      8 이주리,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아동학회 30 (30): 43-55, 2009

      9 정재은 ; 김경성 ; 곽현석, "초기 청소년의 관계형성,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 간의 종단적 구조 관계 분석" 초등교육연구원 29 (29): 35-58, 2018

      10 임효진 ; 선혜연 ; 한지은 ; 김정수, "청소년의 진로경험 및 부모지지가 진로성숙도의 종단변화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 한국상담학회 17 (17): 289-306, 2016

      1 김양분, "한국교육종단연구2013(Ⅳ): 중학생의 교육경험과 교육성취(Ⅰ)" 한국교육개발원 2016

      2 임현정 ; 김난옥, "학교활동 경험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261-281, 2011

      3 이시균, "패널자료를 이용한 학력의 임금효과 추정" 18 (18): 33-42, 2006

      4 류상희, "충북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151-164, 2012

      5 김예수,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개념 및 진로의식성숙과의 관계" 2 (2): 87-103, 2009

      6 임현정,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개인, 가정, 학교의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265-285, 2016

      7 임성애 ; 이은주,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발달양상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한국초등교육학회 30 (30): 121-145, 2017

      8 이주리,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아동학회 30 (30): 43-55, 2009

      9 정재은 ; 김경성 ; 곽현석, "초기 청소년의 관계형성,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 간의 종단적 구조 관계 분석" 초등교육연구원 29 (29): 35-58, 2018

      10 임효진 ; 선혜연 ; 한지은 ; 김정수, "청소년의 진로경험 및 부모지지가 진로성숙도의 종단변화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 한국상담학회 17 (17): 289-306, 2016

      11 김아영, "청소년용 진로발달 검사개발" 한국고용정보원 2005

      12 정미나 ; 노자은, "청소년 진로성숙의 영향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27): 133-162, 2016

      13 임효진 ; 김정수, "진로성숙도의 변화와 관련된 교육포부와 독서활동의 동시지연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30 (30): 147-168, 2017

      14 유준상 ; 서우석, "진로성숙과 심리적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165-183, 2013

      15 신효정 ; 이문희, "진로성숙 발달에 관한 4년 종단 연구 - 스트레스, 공격성, 우울의 효과 -"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39-161, 2011

      16 전현정 ; 정혜원,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교 특성 변인 및 학생 특성 변인과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9 (29): 213-240, 2018

      17 주동범 ; 이현철 ; 김광석 ; 이원석,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단적 연구: 부산교육종단연구(BELS)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치료학회 12 (12): 209-224, 2020

      18 이현미 ; 정제영,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경기교육종단연구(GEPS)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4 (24): 117-139, 2017

      19 류보라 ; 김소현, "중학생의 독서와 진로 탐색의 관계" 한국독서학회 (33) : 353-385, 2014

      20 김아름 ; 최보영 ; 이지희, "중·고등학생의 진로성숙 발달에 관한 5년 종단연구 - 성별 및 부모·또래와의 애착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843-862, 2010

      21 교육부, "제2차 진로교육 5개년 기본계획"

      22 허균,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진로성숙도의 변화궤적과 성별, 자아존중감 및 부모애착 시간효과의 구조관계"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193-209, 2012

      23 김진호 ; 차재경, "일반학생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1-20, 2015

      24 권세훈 ; 한상범, "시간불변 설명변수가 포함된 기업재무 패널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1635-1658, 2013

      25 전화숙 ; 임혜정 ; 이기혜, "서울시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26 (26): 97-124, 2016

      26 이선영 ; 송주연, "부모의 학업적․정서적 지지와 진로의식 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4년도에 걸친 종단 변화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28): 77-112, 2017

      27 김유미 ; 권윤정, "개인 및 부모자녀관계 요인이 일반계, 전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다층 모형의 적용" 한국인간발달학회 22 (22): 93-111, 2015

      28 최윤진 ; 임현정, "‘알파걸’의 실재 및 진로발달 특성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1 (21): 203-230, 2010

      29 Crites, J. O, "heory and research handbook" CTB/McGraw-Hill 1978

      30 Super, D. E., "The career development inventory" 1 (1): 37-50, 1973

      31 Hughes, K. L., "School-Based Career Development: A Synthesis of the Literature" Institute on Education and the Economy, Columbia University 2004

      32 민인식,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지필미디어 2012

      33 Creed, P. A., "Predicting two components of career maturity in school based adolescents" 29 (29): 277-290, 2003

      34 Marcia, J. E.,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9(11)" 159-187, 1980

      35 Naidoo, A. V., "Career maturity: A review of four decades of research"

      36 Super, D. E.,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16 (16): 282-293, 1980

      37 남궁지영, "2017 한국교육종단연구-한국교육종단연구2013: 중학생의 교육경험과 교육성과(II)" 한국교육개발원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4 1.54 2.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24 2.37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