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에 관한 일고찰 = The Critical Review on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401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and to redefine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on a realistic level. Methods:In order to accompli...

      Purpose: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and to redefine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on a realistic level. Methods: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constructed. First, how to set up the concept and category of overseas Koreans who are subject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based on the set category, the current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is whether it is reasonable or not. Based on these problems, we explored the direction of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Results: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conclusion is that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overlooked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and the special nature of overseas Koreans as it only focused on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national identity. Conclusion: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discussed. Through the practi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heritag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ism, we should restore the bond between family and minority communities and have an integrated eye to become the main agent of creative mixed culture produ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이 연구는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교육의 목적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실적 차원에서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을 재정립하는 데 있다. 방법:이를 위해 두 가...

      목적:이 연구는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교육의 목적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실적 차원에서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을 재정립하는 데 있다. 방법:이를 위해 두 가지 문제를 살펴보았다. 첫째, 한국어교육의 학습 대상인 재외동포의 개념과 범주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이다. 둘째, 설정된 범주를 근거로 할 때 현재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은 타당한가이다. 이러한 문제를 바탕으로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였다. 결과:현재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은 민족정체성 형성과 유지에 중점을 둔 나머지 한국사회의 현실과 재외동포의 특수성을 간과하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본고에서는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재정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하나는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계승어로서 한국어교육의 실천을 통해 가족 및 소수공동체의 유대감을 회복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사회의 분단 및 다문화 현실과 재외동포의 민족적 시각을 아울러 이해하고 나아가 거주국의 사회구성원으로서 창의적인 혼종문화 생산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적 안목을 갖추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ae-Hoon Jung, "해외 한글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 호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2) : 415-438, 2009

      2 통계청, "출입국․외국인정책통계-외국인체류현황"

      3 민정호, "지역 맞춤형 융합 한국어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유럽 지역 한글학교의 효과적인 한국어교육을 위하여"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0 (10): 279-308, 2016

      4 박봉수, "중국계 결혼이주민의 자녀 이중언어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5 (15): 93-120, 2018

      5 김호정, "재외동포의 한국어 사용 실태 연구 방향에 대한 일고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73-100, 2007

      6 류재택,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7 류재택,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 체제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8 조항록,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정책의 실제와 과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100-232, 2004

      9 외교부, "재외동포 현황 통계"

      10 박갑수,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오늘과 내일" 이중언어학회 (33) : 363-392, 2007

      1 Jae-Hoon Jung, "해외 한글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 호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2) : 415-438, 2009

      2 통계청, "출입국․외국인정책통계-외국인체류현황"

      3 민정호, "지역 맞춤형 융합 한국어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유럽 지역 한글학교의 효과적인 한국어교육을 위하여"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0 (10): 279-308, 2016

      4 박봉수, "중국계 결혼이주민의 자녀 이중언어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5 (15): 93-120, 2018

      5 김호정, "재외동포의 한국어 사용 실태 연구 방향에 대한 일고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73-100, 2007

      6 류재택,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7 류재택,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 체제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8 조항록,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정책의 실제와 과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100-232, 2004

      9 외교부, "재외동포 현황 통계"

      10 박갑수,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오늘과 내일" 이중언어학회 (33) : 363-392, 2007

      11 김윤주,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과 과제(2)-지난 50년간의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71) : 65-91, 2018

      12 김윤주,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과 과제(1) -지난 50년간의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61) : 325-353, 2018

      13 전영미, "재외 한글학교의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표준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경희사이버대학교 2015

      14 정영근, "재외 한글학교용 표준 교육과정(총론 및 각론) 연구 개발" 교육과학기술부 2009

      15 김봉섭, "재외 한글학교 현황: 재외동포재단의 지원현황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65) : 154-168, 2016

      16 김경근, "재외 비정규 한글학교용 표준교육과정 체제 개발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8

      17 조태린, "재외 동포에게 한국어가 갖는 의미 - 재외 동포 한국어 교육의 방향 정립을 위하여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93-218, 2010

      18 재미한국학교협의회, "재미한국학교협의회 2012년 표.준 교육과정"

      19 김태진, "재미동포 한국어 학습자 정체성 구성 요인과 계승어 교육" 이중언어학회 (54) : 99-122, 2014

      20 이애숙, "일본 - 그 국가, 민족, 국민" 일월서각 1997

      21 강희룡, "인종화, 봉합, 그리고 집단적 정체성: 재미 한글학교 위기의 문화정치학"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29-53, 2013

      22 Abdallah-Pretceille, M., "유럽의 상호문화교육" 한울아카데미 2010

      23 김영희,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내용중심 교수요목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0

      24 김대희, "언어 이데올로기와 계승어 교육에 대한 고찰" 국어교육학회 (43) : 35-59, 2012

      25 조홍식, "민족의 개념에 관한 정치사회학적 고찰" 한국정치학회 39 (39): 129-146, 2005

      26 최정순, "다문화 사회 전환에 따른 한국언어문화교육의 정책적 과제" 한국국어교육학회 (101) : 401-436, 2014

      27 박명규, "네이션과 민족: 개념사로 본 의미의 간격" 국학연구원 (147) : 27-65, 2009

      28 강승혜, "계승어로서의 한국어교육(Korean Education as a Heritage Language)에 대한 소고 -방향과 향후 과제-" 언어정보연구원 31 : 79-106, 2013

      29 조태린, "계승어 교육 측면에서 본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과정 분석-총론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55) : 381-407, 2014

      30 김현정, "계승 한국어 교육의 개념과 발전 방안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31 강은진, "‘민족’ 개념과 ‘국어’ 개념의 형성 관계에 대한 고찰"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8) : 27-59, 2018

      32 Oh, J. S., "The role of Heritage Language Development in the Ethnic Identity and Family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from Immigrant Backgrounds" 19 (19): 202-220, 2010

      33 Wood, P., "The Intercultural City:Planning for Diversity Advantage" Sterling 2008

      34 Anderson, B., "Imagined Communities: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Verso 1983

      35 재외동포재단, "CIS지역과 중국 동포사회 실태조사 및 한글학교 교육현황조사 결과보고서" 2009

      36 신성철, "A Critical Look at Research on Heritage Languag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Korean -With a particular reference to the Australian context-"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3 : 97-134, 2015

      37 Hobsbawm, E. J., "1780년 이후의 민족과 민족주의" 창작과비평사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