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학문공동체성 함양을 위한 연구 = A Study on Promoting the identity as an Academic Community of KSC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98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Society for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SCRE) and suggest ways to consolidateits identity as an academic community by extracting related factors. KSCRE is asynthesi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Society for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SCRE) and suggest ways to consolidateits identity as an academic community by extracting related factors. KSCRE is asynthesis of diverse academic generations, multitudinous practice fields, and variedacademic disciplin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s of recognition, participation,and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membership periods, practice fields, and academicmajors of the participants.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is 70, among whichjunior scholars and leading ministers responded most actively. The return rate was35.9%,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level of recognition of KSCRE activity, it is shown thatthe participants with memberships of 3 to 5 years had the lowest average; there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different groups. Identity as a KSCRE memberand belongingness were also lowest among the participants with memberships of3-5 years and among those who were enrolled in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The participants considered “the need of diversified academic perspectives andresearch areas” and “the need to change KSCRE” as the most important issue and“the absence of cooperative research among scholars and ministers” as the mostserious problem.
      Second, the average participation rate was the lowest among the three factorsof recognition,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nd was even lower compared with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which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werewilling to actively participate in KSCRE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academy. However, the mean of the participation rate decreased in practice,which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from various aspects. To grow as a soundacademic community, KSRCE needs to sufficiently announce their activities andevents to their members and find ways to increase the member participation.
      Third,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subcategorized as 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aloperations, conferences, and academic books and journals. For each subcategory,group with a participation background of 5 to 10 years, group covering primaryand secondary schools, and group with majors in Christian Education showed thehighest mean, whereas the mean for those with memberships of 3 to 5 years wasthe lowest. With regard to the satisfaction with academic books and journals, themean utilization rate was lowest for research and/or education purposes. This isdirectly related to the academic identity of the study of Christian education, whichpossibly threatens the academic community, and thus a follow-up examination ofthis matter is need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measures to provide equal opportunitiesfor participation, form close relationships, reinforce the connection between theoryand practice, provide occasions for diverse academic discussions, and enhancemutual solidarity in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학문공동체를 진단하는 요인들을 추출하여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현황을조사하고, 학문공동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한국기독교교육학회에는 다양...

      이 연구는 학문공동체를 진단하는 요인들을 추출하여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현황을조사하고, 학문공동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한국기독교교육학회에는 다양한 학문세대와 실천현장, 전공분야가 존재한다. 따라서 참여자의 학회 활동기간과 실천현장, 전공분야에 따라 학회 활동에 대한 인식도와 참여도, 만족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참여자는 총 70명(남 43명, 여 27명)으로 주로 신진학자들과 중진목회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난다. 설문 회수율은 35.9%이며,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회 활동 인식도(M=3.84, SD=.58)는 3-5년 간 학회 활동을 한 집단의 평균이 가장 낮았으며, 집단 간 평균의 차이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회원으로서의 정체성 및소속감 또한 3-5년 간 활동한 집단과 석⋅박사과정 학생들의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회원들은 ‘다양한 학문적 관점 및 연구 분야의 필요성’과 ‘학회 변화의 필요성’을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학자와 목회자가 연계하는 협력적 연구의 부재’를 가장심각한 문제로 인식하였다.
      둘째, 학회 활동 참여도의 평균(M=2.99, SD=.92)은 세 요인 중 가장 낮았으며, 선행연구 결과보다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회원들은 학회의 발전을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할 자세가 되어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실제 참여도의 평균은 감소하였다. 건강한 학문공동체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회에서 주관하는 활동에대해 충분히 안내하고, 회원들의 참여를 활성화시킬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학회 활동 만족도(M=3.50, SD=.60)는 학회 운영 만족도, 학술대회 만족도, 학술도서 및 학술지 만족도로 세분하여 조사하였다. 하위요인마다 5-10년 간 활동한 집단과 초⋅중⋅고등학교에 속한 집단, 기독교교육 전공 집단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난반면, 3-5년 간 활동한 집단의 평균은 모든 요인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학술도서 및 학술지 만족도에 대한 문항 중 ‘연구나 교육 시 학술도서 및 학술지 활용’의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기독교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직결되는 문제이자 학문공동체성을 위협하는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후속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이 결과들을 토대로 균등한 참여 기회의 제공, 친밀한 관계 형성, 이론과 실천의 연계 강화, 다양한 학문적 논의의 장 마련, 삶에서 상호 연대감 증진에 대해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기독교학회, "한국기독교학회 30년사" 대한기독교서회 2001

      2 박상진,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미래 전망과 과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7) : 25-60, 2011

      3 김도일, "역사, 오늘로 걸어나오다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50년사" 기독한교 2012

      4 Wenger, E., "실천공동체 COP: 지식창출의 사회생태학" 학지사 2007

      5 강희천, "기독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 연구의 영역과 방법을 중심으로" 18 : 245-269, 1989

      6 Moore, Allen J., "Changing patterns of religious education" Abingdon Press 89-105, 1984

      1 한국기독교학회, "한국기독교학회 30년사" 대한기독교서회 2001

      2 박상진,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미래 전망과 과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7) : 25-60, 2011

      3 김도일, "역사, 오늘로 걸어나오다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50년사" 기독한교 2012

      4 Wenger, E., "실천공동체 COP: 지식창출의 사회생태학" 학지사 2007

      5 강희천, "기독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 연구의 영역과 방법을 중심으로" 18 : 245-269, 1989

      6 Moore, Allen J., "Changing patterns of religious education" Abingdon Press 89-105, 19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
      2014-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6-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87 1.10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