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朴淵의 노힐부득 달달박박과 說話移住의양상과 의미 = The No-Hill Dal-dal's stories in the Gaesung Region and The Transition and Implications of the folklor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explain why he came to Kaesong instead of Mt. Backwol in Changwon, which is known as the birthplace of the ‘No-Hill’ and ‘Dal-dal’ Located near Park Yeon, No-Hill and Dal-Dal's stone Buddhas are recorded in var...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explain why he came to Kaesong instead of Mt. Backwol in Changwon, which is known as the birthplace of the ‘No-Hill’ and ‘Dal-dal’ Located near Park Yeon, No-Hill and Dal-Dal's stone Buddhas are recorded in various literature by visitors and tourists. However, the stories of narrative story related to Park Yeon are all tale of dragons and there are no stories of the No-Hill, Dal-Dal. Therefore, it turns out that there is no narrative link between Park Yeon and No-Hill Dal-Dal. Nevertheless, the fact that Park Yeon was designated as a place for No-Hill and Dal-Dal seems to have its own cause. Here we tried to examine the cause in roughly three respects.
      First of all, I saw that there were many foreign stories such as Cheonma Mountain, Seongju Mountain, and the valley and Park Yeon in Daeheung-dong. The phenomenon of two holy men's story settlement in Kaesong is explained by the acceptance of unique folktales by Buddhist temples who do not mind taking part in preceding books that guarantee sacredness and spirituality. The Won-Tong temple is known as a Buddhist temple built to remember when a monk who was helped by Kanyeun Buddha became a Buddha On the other hand, I think it is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two holy men's stories of Mt. Nambaek, which is more strongly private than the legend. The battle between the two, aimed at becoming Buddha, contrasting a tolerant and generous mind, strongly suggests the folklore of No-Hill Dal-Dal story.
      In the end, the story of No-Hill Dal-Dal has changed from folklore to fanfare, and has become familiar in the Gaeseong area. In terms of narrative, the No-Hill and Dal-dal mean more than simple sculpture. It is a powerful proof that reveals the future of two holy men's story, which emerged during the Silla Dynas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김승호, 2018. 박연의 노힐부득 달달박박과 설화이주의 양상과 의미, 어문연구, 180 : 119~139 본고에서는 개성의 박연(朴淵)에 노힐부득․달달박박의 석불이 조성된 까닭이 무엇인지를 설화 전...

      김승호, 2018. 박연의 노힐부득 달달박박과 설화이주의 양상과 의미, 어문연구, 180 : 119~139 본고에서는 개성의 박연(朴淵)에 노힐부득․달달박박의 석불이 조성된 까닭이 무엇인지를 설화 전승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박연에 얽힌 설화들을 통사적으로 점검한 결과, 남백월이성(南白月二聖) 담이 큰 변이없이 개성권에 전승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담(二聖談)이 개성권으로 이주(移住)한 점을 두고는 3가지 측면에서 타진하였다. 우선 이성(二聖)의 백월산(白月山) 수행처와 박연 주위의 경관, 입지가 유사한 탓에 이성담이 개성권(開城圈)에 정착한 것으로 보았다. 두 번째로 개성의 이성담은 선행 연기담에 편승하는 창사(創寺)설화의 속성과 관련된다고 판단했다. 즉 개성권의 신생 사찰의 연기(緣起) 담당층이 앞서 남백월이성담의 신성(神聖), 영험(靈驗)적 발현기능에 주목하는 한편 그를 전범으로 삼아 창사 유래를 마련한 흔적이 농후하다는 것이다. 이로써 원래 창원(昌原) 백월산남사(白月山南寺)의 연기담이었던 이성담이 개성까지 확장된 전승사적 이면을 어느 정도 엿볼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호, "해안권(海岸圈) 창사연기담(創寺緣起談)의 일 고찰 : 문헌소재 석선(石船)설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57) : 41-70, 2018

      2 朴熙秉, "한국 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69-, 1997

      3 李萬, "한국 관음신앙 연구" 동국대 출판부 157-, 1988

      4 카트린 푀게 알더, "민담, 그 이론과 해석" 유로서적 376-377, 2009

      5 李孤雲, "명산고찰따라, 상" 운주사 350-, 1993

      6 車溶柱, "韓國漢文小說史" 아세아문화사 35-, 1989

      7 金鉉龍, "韓國古說話論" 새문사 114-, 1984

      8 許穆, "記言, <聖居天摩古事>"

      9 丁若鏞, "與猶堂全書, 第六集地理集第八卷, 大東水經 其四"

      10 林芸, "瞻慕堂先生文集 卷之二, 錄, <遊天磨錄>"

      1 김승호, "해안권(海岸圈) 창사연기담(創寺緣起談)의 일 고찰 : 문헌소재 석선(石船)설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57) : 41-70, 2018

      2 朴熙秉, "한국 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69-, 1997

      3 李萬, "한국 관음신앙 연구" 동국대 출판부 157-, 1988

      4 카트린 푀게 알더, "민담, 그 이론과 해석" 유로서적 376-377, 2009

      5 李孤雲, "명산고찰따라, 상" 운주사 350-, 1993

      6 車溶柱, "韓國漢文小說史" 아세아문화사 35-, 1989

      7 金鉉龍, "韓國古說話論" 새문사 114-, 1984

      8 許穆, "記言, <聖居天摩古事>"

      9 丁若鏞, "與猶堂全書, 第六集地理集第八卷, 大東水經 其四"

      10 林芸, "瞻慕堂先生文集 卷之二, 錄, <遊天磨錄>"

      11 高裕燮, "松都의 古蹟" 열화당 184-, 1988

      12 權相老, "朝鮮文學史" 一般 프린트사 1949

      13 黃浿江, "新羅佛敎說話硏究" 일지사 66-, 1986

      14 贊寧, "宋高僧傳, <唐新羅國義湘傳>"

      15 김승호, "南白月二聖의 창작 저변과 서사적 의의-『顯應錄』소재 曇翼傳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회 (37) : 509-534, 2013

      16 傳燈寺, "傳燈寺本末寺誌" 195-, 1932

      17 史在東, "佛敎系 서사문학의 연구" 중앙문화사 552-, 1996

      18 "佛敎用語辭典" 경인문화사 1261-, 1998

      19 中文大辭典編纂委員會, "中文大辭典 10권" 387-, 1973

      20 一然, "三國遺事 卷第三, 塔像 第四, <南白月二聖 努肹夫得 怛怛朴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