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와의 비교 =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Compared to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474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Language‐impaired children are suffer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is study developed a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tested its effectiveness and compared it with a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program. In ad...

      Purpose: Language‐impaired children are suffer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is study developed a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tested its effectiveness and compared it with a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program. In addition, it aimed to increase language‐impaired children’s vocabulary size, communication intent, and psychological activit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 to 5-year-old language‐impaired children.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6;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Group=CCG), a comparative group (N=6;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Group=CDG), and a control group (N=6). The One-on-one individual sessions were appli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6 times.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18.0. A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examin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Spontaneous speech was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analysis of vocabulary size and communication intent. Results: This program was developed as a language impairment intervention program consisting of basic principles, play environment, parent counseling, clinician’s roles, and technique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every group showed increased vocabulary size and communication intent. However, CCG showed a larger increase in vocabulary size. With regard to communication intent, CCG showed a large increase in subjective statements, CDG showed a large increase in responses. CCG showed improvement in psychological activity, however CDG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ed an intervention program integrating both play therapy and speech therapy and provided a theoretical frame for new intervention strategies applicable in the field. It also developed an intervention approach handle both children’s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by doing so, suggested a new intervention program mitigating children’s psychological problems and enhancing their language abilities. The study presented specific child-centered methods and examples for speech therapists’ easy appli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언어장애아동은 언어문제와 심리적 어려움을 동시에 가진다. 본 연구는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치료사중심 언어치료 프로그램과...

      목적: 언어장애아동은 언어문제와 심리적 어려움을 동시에 가진다. 본 연구는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치료사중심 언어치료 프로그램과의 차이를 검증한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언어장애아동의 어휘량을 증가시키고 의사소통 의도를 증진시키며 심리적 능동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생활연령 만 3세에서 만 5세 사이의 언어장애아동으로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실험집단 6명, 치료사중심 언어치료 비교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이다. 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16회기(60분/1회기)를 개별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내 각 척도별 사전-사후 검사 결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으며, 어휘량과 의사소통 의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자발화 수집을 통한 자발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은 기본 원리, 놀이 환경, 부모 상담, 치료사의 역할, 기법으로 구성된 언어장애 중재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으며, 프로그램 실시 후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집단과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 모두에서 어휘량과 의사소통 의도가 증가하였으나,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집단에서의 어휘량의 증가폭이 더 컸으며 의사소통 의도에서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집단은 주관적 진술의 증가가 높게 나타났고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은 반응의 증가가 높게 나타났다.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집단의 심리적 능동성이 향상되었으나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는 놀이치료와 언어치료의 다 영역간의 통합된 중재 프로그램으로써 언어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언어치료 중재 전략의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으며, 언어장애아동의 언어적, 심리적 어려움을 동시에 다루어 주는 중재 접근법을 개발함으로써 언어장애아동에게 심리적 문제를 감소시켜주고 동시에 언어능력을 향상시켜주었다. 또한 아동중심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과 예시를 제시하여 언어치료사들이 현장에서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태,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3

      2 박소현, "장애유아 통합교사를 위한 언어치료 지원요구 분석 및 교사지원교육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 이규식, "의사소통장애치료교육" 학지사 2008

      4 이행숙, "아동중심놀이치료에서의 아동과 치료자 반응 관찰척도 개발 및 적용"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5 이영애, "아동중심 놀이치료 장면에서의 객관적인 놀이관찰도구 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6 Martin Fujiki, "Withdrawn and Sociable Behavior of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 30 (30): 183-, 1999

      7 Leonard Abbeduto, "Theoretical influences on research on language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in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Wiley 10 (10): 184-192, 2004

      8 Michael Siller, "The behavior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predict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s communication" Springer Nature 32 (32): 77-89, 2002

      9 Michael J. Guralnick, "The Peer Relations of Preschool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JSTOR 67 (67): 471-, 1996

      10 Landreth, G., "Play therapy: The art of the relationship" Routledge 2002

      1 김영태,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3

      2 박소현, "장애유아 통합교사를 위한 언어치료 지원요구 분석 및 교사지원교육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 이규식, "의사소통장애치료교육" 학지사 2008

      4 이행숙, "아동중심놀이치료에서의 아동과 치료자 반응 관찰척도 개발 및 적용"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5 이영애, "아동중심 놀이치료 장면에서의 객관적인 놀이관찰도구 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6 Martin Fujiki, "Withdrawn and Sociable Behavior of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 30 (30): 183-, 1999

      7 Leonard Abbeduto, "Theoretical influences on research on language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in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Wiley 10 (10): 184-192, 2004

      8 Michael Siller, "The behavior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predict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s communication" Springer Nature 32 (32): 77-89, 2002

      9 Michael J. Guralnick, "The Peer Relations of Preschool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JSTOR 67 (67): 471-, 1996

      10 Landreth, G., "Play therapy: The art of the relationship" Routledge 2002

      11 Axline V. M., "Play therapy" Ballantine Books 1981

      12 Howard Goldstein, "Peers as communication intervention agents"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9 (9): 44-57, 1988

      13 Richard M. Gargiulo, "Parental Feelings: The Forgotten Component When Working with Parents of Handicapped Preschool Children" Informa UK Limited 67 (67): 176-178, 1991

      14 Hoff-Ginsberg, E., "Linguistic input and the child's acquisition of language" 92 : 3-26, 1982

      15 Fey, M., "Language intervention with young children" College-Hill Press 1986

      16 Owen, R. E., "Language disorders: A functional approach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llyn and Bacon 1999

      17 Paul, R.,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Mosby 2013

      18 Paul, R.,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Mosby 2001

      19 Arnold J. Love, "Language disorders and attention deficit disorders in young children referred for psychiatric services: Analysis of prevalence and a conceptual synthesi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58 (58): 52-64, 1988

      20 Lesley B. Olswang, "Intervention issues for toddlers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11 (11): 69-86, 1991

      21 Howard Goldstein, "Communication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A review of treatment efficacy" Springer Nature 32 (32): 373-396, 2002

      22 De Rivera, C., "Children's responses to educators'questions in day care play groups" 14 (14): 14-26,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1-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peech, 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 Korean Speech- 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KCI등재
      2015-10-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언어치료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08 1.80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