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키츠독일어에 관한 논쟁 = Kontroverse uber das Kiezdeuts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031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독일 청소년 언어이자 이주민 언어의 특징을 나타내는 키츠독일어 Kiezdeutsch를 둘러싼 논쟁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통해 현대 독일어의 변화 현상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독일 청소년 언어이자 이주민 언어의 특징을 나타내는 키츠독일어 Kiezdeutsch를 둘러싼 논쟁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통해 현대 독일어의 변화 현상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청소년들의 사용 언어뿐만 아니라 인터넷, 영화, 대중음악, 광고 등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키츠독일어는 일련의 규칙성을 지닌 어휘적, 문법적 특징을 통해 단순한 유행으로서의 청소년 언어가 아닌 독일어의 새로운 변이형으로서의 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키츠독일어의 지위와 언어적 자질에 따른 서로 다른 입장들을 살펴봄으로써 주요 쟁점이 무엇이고, 어떠한 이유로 이러한 논쟁이 발생하는지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상대적 비교를 통한 고찰은 키츠독일어의 속성을 보다 더 다면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키츠독일어의 지위는 방언과 슬랭, 피진어와 인종어, 청소년 언어의 양식과 변이형 등의 입장에서 살펴보고, 키츠독일어의 언어적 자질에 대해서는 음성적 자질과 문법적 자질을 기준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키츠독일어는 특히 문법적 규칙의 단순화로 인해 DaF 학습자들에게 많은 혼동과 오류를 야기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논문에 따른 후속 연구들을 통해 지속적인 관찰과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ezdeutsch' ist ein Sprachgebrauch der deutschen Migrantenjugendlichen, der sich in den multiethnischen Wohngebieten von Großstädten entwickelt hat. Das Migrantendeutsch wird auch als 'Turkendeutsch', 'Turkenslang' oder 'Kanak Sprak' bezeichnet. Di...

      Kiezdeutsch' ist ein Sprachgebrauch der deutschen Migrantenjugendlichen, der sich in den multiethnischen Wohngebieten von Großstädten entwickelt hat. Das Migrantendeutsch wird auch als 'Turkendeutsch', 'Turkenslang' oder 'Kanak Sprak' bezeichnet. Diese Bezeichnungen werden jedoch in dem Sinne negativ verstanden, da man sie mit mangelhaften Sprachkenntnissen der Einwanderer in Verbindung bringt. Dafur verwendet die Professorin Wiese der Universität Potsdam den Namen 'Kiezdeutsch'. Sie hat Kiezdeutsch als Jugendsprache und Multiethnolekt betrachtet und gleichzeitig als einen neuen Dialekt des Deutschen definiert, der auf der Grammatik der deutschen Sprache basiert. Nach Wiese ist Kiezdeutsch kein 'falsches Deutsch', sondern eine sprachliche Varietät mit systematischen Regeln. Viele Kiezdeutsch- Sprecher sprechen auch gut Standarddeutsch und können je nach Situation wählen. Kiezdeutsch hat sich in den Medien verbreitet und wird teilweise auch von den deutschen Jugendlichen ohne Migrantenhintergrund gesprochen. Es gibt unterschiedliche Meinungen zum Status von Kiezdeutsch. Einige Sprachwissenschaftler argumentieren, dass Kiezdeutsch im Gegensatz zu Wiese kein Dialekt ist, sondern ein Slang oder ein Pidgin als Kontaktsprache. In diesem Beitrag wurden verschiedene Aspekte der Kontroverse um Kiezdeutsch behandel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명희, "한․독 청소년 언어에 나타나는 폭력성- 청소년 영화에 나타나는 대화를 중심으로" 한국독일어문학회 20 (20): 1-24, 2012

      2 강명희, "키츠독일어(Kiezdeutsch) 연구"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70 (70): 47-68, 2017

      3 박영미, "인터넷 채팅 독일어와 키쯔 독일어- 몇 가지 문법적 유사성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독일어문학회 26 (26): 95-114, 2018

      4 박영미, "독일 이주 노동자 언어의 형태 통사론적 특징 - 터키 출신 이주노동자의 독일어를 중심으로" 한국독일어문학회 23 (23): 167-183, 2015

      5 Androutsopoulos, Jannis, "„Ultra korregd Alder!“ Zur medialen Stilserung und Populariserung von ‚Türkendeutsch’" 201 (201): 321-339, 2001

      6 Kaya, Erhan, "“Lasma Kiez sprechen, lan!”: Eine linguistche Untersuchung von Kiezdeutsch" GRIN Verlag 2014

      7 Wiese, Heike, "“Ich mach dich Messer”: Gramatische Produktivat inKiez-Sprache" 207 : 245-273, 2006

      8 "https:/rp-online.de/kultur/kiezdeutsch-ist-kein-dialekt_aid-14347065"

      9 Riehl, Claudia M., "Sprachkontakforschung" Francke 2009

      10 Auer, Peter, "Spracherwerb und Lebnsalter" Francke 255-264, 2003

      1 강명희, "한․독 청소년 언어에 나타나는 폭력성- 청소년 영화에 나타나는 대화를 중심으로" 한국독일어문학회 20 (20): 1-24, 2012

      2 강명희, "키츠독일어(Kiezdeutsch) 연구"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70 (70): 47-68, 2017

      3 박영미, "인터넷 채팅 독일어와 키쯔 독일어- 몇 가지 문법적 유사성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독일어문학회 26 (26): 95-114, 2018

      4 박영미, "독일 이주 노동자 언어의 형태 통사론적 특징 - 터키 출신 이주노동자의 독일어를 중심으로" 한국독일어문학회 23 (23): 167-183, 2015

      5 Androutsopoulos, Jannis, "„Ultra korregd Alder!“ Zur medialen Stilserung und Populariserung von ‚Türkendeutsch’" 201 (201): 321-339, 2001

      6 Kaya, Erhan, "“Lasma Kiez sprechen, lan!”: Eine linguistche Untersuchung von Kiezdeutsch" GRIN Verlag 2014

      7 Wiese, Heike, "“Ich mach dich Messer”: Gramatische Produktivat inKiez-Sprache" 207 : 245-273, 2006

      8 "https:/rp-online.de/kultur/kiezdeutsch-ist-kein-dialekt_aid-14347065"

      9 Riehl, Claudia M., "Sprachkontakforschung" Francke 2009

      10 Auer, Peter, "Spracherwerb und Lebnsalter" Francke 255-264, 2003

      11 Hinrchs, Uwe, "Multi Kulti Deutsch. Wie Migration die deutsche Sprache verändert" C.H.Beck 2013

      12 Marosek, Diana, "Komst du Bahnof oder hast du Auto?: Warum wir reden, wie wir neurdings redn" Hanser Berlin 2016

      13 박영미, "Kiez독일어 문장 구조의 변칙성- 동사 두 번째 위치현상의 위기?" 한국독어학회 (37) : 29-49, 2018

      14 Canoğlu, Hatice D., "Kanak Sprak versus Kiezdeutsch: Sprachverfal oder sprachlicher Spezialfall? Einethnolinguistche Untersuchung" Frank u.Timme 2012

      15 Androutsopoulos, Jannis, "Jugendsprache –langue des jeunes– youth language" Lang 1-34, 1998

      16 Androutsopulos, Janis, "From the stretso the screns and back agin: On the mediatedifusion of variton paterns in contemporay German" Universitä Esen (522) : 2001

      17 Wiese, Heike, "Eineur Dialekt entseht" C.H. Beck 2012

      18 Neuland, Eva, "Eine Einführung" Francke 2008

      19 Bülow, Lars, "2013 Interkultrel und transkultrel Dimension im linguistchen" kultreln und historischen Kontex 269-287, 2014

      20 Androutsopulos, Janis, "'hey lan, isch geb dir konkret handy'. Deutsch-türkische Mischsprache und Deutsch mit ausländischem Akzent: Wie Sprechweisen der Straße durch mediale Verabeitung poulär werdn" (21)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독일언어문학연구회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영문명 : Koreanische Gesellschaft FÜR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 Koreanische Gesellschaft fuer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1 0.505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