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一然이 編述한 <薯童譚>의 誤述에 對한 考察 = Seodong Written by Ilyeon - A Study on the Wrong Recor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94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odong is recorded in Sam-guk-yu-sa. a history book of the three ancient kingdoms: Goguryeo, Baekje, and Silla written by Ilyeon. The hero of the story is King Mu, of Baekje. He was called Seodong when he was a child, which means a young boy who make...

      Seodong is recorded in Sam-guk-yu-sa. a history book of the three ancient kingdoms: Goguryeo, Baekje, and Silla written by Ilyeon. The hero of the story is King Mu, of Baekje. He was called Seodong when he was a child, which means a young boy who makes a living by gathering and selling yams. He was a son of a poor widow. He was married to a princess of Silla named Seonhwa. At that time, a song named Seodongyo spread all over the country. Later Seodong found gold in the mountain. Because of the gold, he became a king of Baekje. It is thought that the hero of the story is not King Mu, but King Mugang. King Mugang is a king of Geonmaguk, Mahan. It is thought that this story is about Seodong of Geonmaguk and Seonhwa of Saroguk. However, it is thought that the hero was wrongly perceived. This study is to present why the hero was mistakenly perceived and its evidence. Finally, when Ilyeon recorded the story of Seodong, he made a wrong record of the hero and his nation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一然이 編述한 <薯童譚>의 誤述에 對한 考察
      • 1. 『삼국유사』의 편술 태도
      • 2. 『고본』「무왕」조의 기술에 대한 일연의 오해
      • 3. 서동의 실체와 미륵사창건의 주역
      • 4. 결론
      • 一然이 編述한 <薯童譚>의 誤述에 對한 考察
      • 1. 『삼국유사』의 편술 태도
      • 2. 『고본』「무왕」조의 기술에 대한 일연의 오해
      • 3. 서동의 실체와 미륵사창건의 주역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EOMUNYEONGU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3 0.7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