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FIBRIN SEALANTS IN MAXILLOFACIAL SURGERY : A INTRODUCTORY RE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303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Fibrin Sealants 는 과거 간, 비장, 신장등의 일반외과 수술에서 단순한 외과적 봉합으로는 해결하지 못하는 넓은 면적의 조직의 유착을 위하여 1940 년경 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것으로 악안면 영...

      Fibrin Sealants 는 과거 간, 비장, 신장등의 일반외과 수술에서 단순한 외과적 봉합으로는 해결하지 못하는 넓은 면적의 조직의 유착을 위하여 1940 년경 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것으로 악안면 영역에서는 1970 년대 중반부터 미세신경접합술과 피부이식을 위하여 사용되기 시작한 후, 현재, 골이식후의 골세편의 고정, 혈관봉합술, 연조직에서 조직들의 유착과 지혈, 그리고 혈관종의 치유등을 목적으로도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인체에서 채취한 혈액응고인자 XIII 을 포함하는 Fibrinogen 성분과, 소에서 추출한 Thrombin 의 두가지 주요 성분으로 구성되며, Fibrinogen 용해제인 Aprotinin 액과 Thrombin 용해제인 염화칼슘액과 함께 네부분으로 구성된다. 각제품에 따라 그리고 사용된 농도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개 수분후에 조직이 응고되어 달라붙기 시작하고, 수시간후에 최대접착효과에 도달하며, 응고된 접착효과는 12 일에서 15 일간 유지되고 그후 정상적인 섬유소분해작용과 식세포활동에 의하여 분해된다. 저자는최근 6 개월간 서울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28 명의 각종 질환 및 기형 환자에서 미세신경봉합술, 피부이식, 악교정성형술과 구개파열 또는 하악골 재건을 요하는 환자의 골이식후의 골세편의 고정, 경부곽청술이나 종양제거술후 각종 피부판 또는 근피판을 이용한 연조직의 적합, 혈관종의 처치, 후이개접근 법에 의한 악관절수술후의 외이도의 접합등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적용된 Fibrin Sealants 를 사용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brin sealant was first designed as an alternative to surgical suture for the purpose of surface-to-surface union especially in parenchymal organs like the liver, spleen and kidney. The clinical application of currently used fibrin sealant was fi...

      The fibrin sealant was first designed as an alternative to surgical suture for the purpose of surface-to-surface union especially in parenchymal organs like the liver, spleen and kidney. The clinical application of currently used fibrin sealant was first introduced in 1972. The fibrin sealant consists of principal two components; lyophilized human fibrinogen and bovine thrombin. The fibrinogen component also contains coagulation factor XIII. A solution of aprotinin, an inhibitor of fibrinolysis is used to dissolve the fibrinogen and to provide the first component, and a solution of calcium chloride is also used to provide the second component. From July to December in 1990, during 6 months, we used fibrin sealant in the 28 patients of 33 various cases, in the following ways; supportive application of fibrin sealant after free autogenouse nerve graft for the repair of inferior alveolar nerve, facial nerve or accessory nerve, treament of hemangioma or lymphangioma to thrombosize and lead to the tumor shrinking, skin grafting to stimulate the adhesion and tissue repair, bone grafting in the patients of cleft alveolus, mandibular reconstruction or orthognathic surgery to facilitate the knitting of bone chips, tissue adhesion after tumor resection, radical neck dissection or flap reconstructions, and supportive adhesion of external auditory cannal after TMJ surgery via postauricular approach. No adverse effects were observed, none of the patients developed hepatitis or other blood transmitted disease, and the wound healing were acceptabl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