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도영재 및 학부모들이 겪은 교육의 문제점 및 교육요구 분석: (잠재적) 고도영재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Educational Problems and Needs of Highly Gifted Students and Parents: Focused on (Potential) Highly Gifted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738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problems and educational needs of (potential) highly gifted students who, despite their young age, have shown in math and science. We analyzed the difficulties faced by (potentia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problems and educational needs of (potential) highly gifted students who, despite their young age, have shown in math and science. We analyzed the difficulties faced by (potential) students after conducting one-on-one interviews with 12 students and parents who agreed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mong the highly qualified students who showed outstanding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mathematics and science. As a result, most of the students were experiencing various problems arising from the lack of opportunities to interact with friends at school or in their daily lives, which represented similar talent levels to their own. In addition, students/parents said that a one-on-one education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studies was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studies, and hoped that a mentoring program would be provided to solve intellectual stimuli and curiosity.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not be generalized since it is an analysis of 12 (potential) highly gifted children's cas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as a reference to the direction and planning of the highly gifted education support program in the future, given the lack of prior research on the problems in supporting the education and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highly gifted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나이에도 불구하고 수학 및 과학 분야에서 고도의 영재성을 나타낸 (잠재적) 고도영재 학생들의 교육 상황에서의 어려움, 문제점 그리고 교육 요구를 조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나이에도 불구하고 수학 및 과학 분야에서 고도의 영재성을 나타낸 (잠재적) 고도영재 학생들의 교육 상황에서의 어려움, 문제점 그리고 교육 요구를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잠재적) 고도영재의 가능성이 있어 한 방송매체의 ○○발굴단의 방송을 통하여 수학, 과학 분야에 뛰어난 성취를 보인 학생들 중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12명의 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1:1 면담을 실시하여 이들이 겪는 어려움, 문제점 및 교육 요구방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교나 일상생활에서 본인과 비슷한 재능 수준을 나타내는 또래 친구들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가 없는 것에 대한 아쉬움과 그로 인하여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겪고 있었다. 또한, 학생/학부모들은 학업의 발달을 위해서 적합한 교육지원 방법으로는 수준에 맞는 1:1 교육이 적합하다고 하였으며, 지적 자극 및 호기심을 해결하기 위한 견학 및 멘토링 프로그램이 제공되기를 희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12명의 (잠재적) 고도영재 및 그들의 학부모 사례를 분석한 것인 만큼 결과를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그동안 고도영재들의 교육지원 상의 문제점 및 교육요구 분석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상황으로 볼 때 향후 고도영재 교육지원 프로그램의 방향 및 계획 수립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현, "초등 저학년 고도 영재들의 인지적, 비인지적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 교육부,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8~2022)" 교육부 2018

      3 심재영, "장기 수행평가를 통해 본 고도의 영재학생 교육의 시사점 - 예비과학신동 5명의 교육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65-90, 2008

      4 한유미, "일반학교에서 고도영재를 위한 영재교육 사례 - 미국 샌디에고 교육구의 세미나 학급을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4) : 57-75, 2013

      5 이화국, "영재교육의 방법과 자료"

      6 김주아, "영재교육 진흥법 및 동법 시행령 개정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7

      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재인정부의 과학영재 성장 비전(안): 제3차(`18-`22)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8 김종득, "과학신동의 판별도구 개발 및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2006

      9 이지수, "과학고도영재 학부모의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단일사례를 중심으로" 3 (3): 1-22, 2016

      10 박인호, "공교육 수‧과학 상위0. 1%학생 조기 선발‧육성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6

      1 이지현, "초등 저학년 고도 영재들의 인지적, 비인지적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 교육부,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8~2022)" 교육부 2018

      3 심재영, "장기 수행평가를 통해 본 고도의 영재학생 교육의 시사점 - 예비과학신동 5명의 교육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65-90, 2008

      4 한유미, "일반학교에서 고도영재를 위한 영재교육 사례 - 미국 샌디에고 교육구의 세미나 학급을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4) : 57-75, 2013

      5 이화국, "영재교육의 방법과 자료"

      6 김주아, "영재교육 진흥법 및 동법 시행령 개정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7

      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재인정부의 과학영재 성장 비전(안): 제3차(`18-`22)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8 김종득, "과학신동의 판별도구 개발 및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2006

      9 이지수, "과학고도영재 학부모의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단일사례를 중심으로" 3 (3): 1-22, 2016

      10 박인호, "공교육 수‧과학 상위0. 1%학생 조기 선발‧육성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6

      11 Roedell, W. C., "Vulnerabilities of Highly Gifted Children" 6 (6): 127-130, 1984

      12 Columbus Group, "Unpublished manuscript of the meeting of the Columbus Group" Columbus Group 1991

      13 Jackson, N. E., "To be young and gifted" Ablex 171-203, 1992

      14 Susan, C. S., "PEGS : Appropriate education for exceptionally gifted students" 24 (24): 221-225, 2002

      15 Feldman, D. H., "Natures’s gambit: Child prodigies and the development of talent"

      16 Feldman, D. H., "Nature's gambit" Basic 1986

      17 Casey, M. A., "Mentor’s contributions to gifted adolescents’affective, social and vocational development" 22 (22): 227-230, 2000

      18 Schmitz, C. C., "Managing the social and emotional needs of the gifted : A teacher's survival guide, Minneapolis" Free Spirit 1985

      19 Muratori, C., "Insights From SMPY’s Greatest Former Child Prodigies: Drs. Terence (“Terry”) Tao and Lenhard (“Lenny”) Ng Reflect on Their Talent Development" 50 (50): 307-, 2006

      20 Gross, M. U. M., "Exceptionally Gifted Children" Routledge Falmer 2004

      21 Silverman, L. K., "Excellence in educating gifted & talented learners" Love 115-128, 1989

      22 Hollingworth, L. S., "Children above 180 IQ Stanford-Binet; Origin and Development" World Book 1942

      23 정현철, "4차 산업혁명시대 과학영재 어떻게 육성할 것인가" 학지사 2018

      24 한국교육개발원, "2018 영재교육 통계연보"

      25 이광형, "2006년도 과학신동프로그램 사업"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7 1.47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9 1.96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