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명모델 선호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성별과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563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유명인 모델 선호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유명인 모델 선호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에 유명인 모델 선호도가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

      본 논문에서는 유명인 모델 선호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유명인 모델 선호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에 유명인 모델 선호도가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어떠한 경로를 거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각 특정 소비자 관련 조절변수(관여도, 성별)에 따라 경로와 영향력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결과, 성별과 관여도에 따라 경로가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관여 제품의 경우에는 성별과 상관없이 유명인 모델 선호도에 의한 광고태도가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로가 상대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저관여 제품의 경우에는 성별에 따라 광고효과모형의 경로가 달라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저관여-여성의 경우에는 유명인 모델 선호도에 의한 광고태도가 브랜드 태도를 거치지 않고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경로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저관여-남성의 경우에는 유명인 모델 선호도에 의한 광고태도가 구매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주지 않는 경로가 상대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명인 모델 선호도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관여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관여도에 따라서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elebrity endorser preference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for an empirical study on celebrity endorser preference.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s that by what route celebrity endorser preference has an e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elebrity endorser preference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for an empirical study on celebrity endorser preference.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s that by what route celebrity endorser preference has an effect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ttitude toward brand and purchase intention, and also examines that how the route and the influence of the model for advertising effectiveness are differed by some moderating variables(involvement and sex) related to customers.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examined that the routes are different by involvement and sex. In high-involvement, the route that attitude toward advertising made by celebrity endorser preference does not affect purchase intention directly regardless of sex is proper. However, in low-involvement, it is examined that the route of the model for advertising effectiveness is differed by sex. While the route that attitude toward advertising made by celebrity endorser preference affects purchase intention directly without attitude toward brand is proper in low-involvement and female, the route which is the same as the route in high-involvement is relatively appropriate in low-involvement and male.Additionally, the influence of celebrity endorser preference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is examined. Low-involvement and female context, celebrity endorser preference has stronger influence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1. 유명인 모델
      • 2. 유명인 모델과 광고효과
      • 요약문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1. 유명인 모델
      • 2. 유명인 모델과 광고효과
      • 3. 소비자 특성에 따른 광고효과
      • 4. 유명인 모델의 광고효과 경로
      • III. 연구방법 및 연구모형
      • 1. 연구모형과 가설
      •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문항
      • 3. 대상 제품 선정 및 광고물 제작
      • 4. 자료수집 및 표본의 구성
      • IV. 분석결과
      • 1.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 2. 분석결과
      • V. 결론
      • 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 2.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학식, "정서적 반응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제품소비경험과 관여도의 조정적 역할" 21 (21): 345-378, 1991

      2 권익현, "유명인 광고모델의 효과에 대한 연구" 5 : 35-46, 1994

      3 곽동성, "유명인 광고모델의 속성이 광고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들의 제품 유형을 중심으로" 62 : 7-28, 2004

      4 남인용, "유명 옹호인과 광고상품의 조화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3 : 109-133, 2001

      5 조재현, "스포츠 유명인모델에 대한 태도와 민족정체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72 : 199-221, 2006

      6 문영숙, "상품관여도와 Celebrity Endorser의 광고효과 연구" 4 : 253-282, 1990

      7 배병렬, "구조방정식모델을 위한 SIMPLIS 활용과 실습" 청목출판사 2004

      8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 161-177, 2000

      9 김재준, "광고인식, 광고태도, 구매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고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10 박은아, "광고에 대한 인식 유형별 광고반응 및 소비특성의 비교" 72 : 123-146, 2006

      1 이학식, "정서적 반응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제품소비경험과 관여도의 조정적 역할" 21 (21): 345-378, 1991

      2 권익현, "유명인 광고모델의 효과에 대한 연구" 5 : 35-46, 1994

      3 곽동성, "유명인 광고모델의 속성이 광고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들의 제품 유형을 중심으로" 62 : 7-28, 2004

      4 남인용, "유명 옹호인과 광고상품의 조화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3 : 109-133, 2001

      5 조재현, "스포츠 유명인모델에 대한 태도와 민족정체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72 : 199-221, 2006

      6 문영숙, "상품관여도와 Celebrity Endorser의 광고효과 연구" 4 : 253-282, 1990

      7 배병렬, "구조방정식모델을 위한 SIMPLIS 활용과 실습" 청목출판사 2004

      8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 161-177, 2000

      9 김재준, "광고인식, 광고태도, 구매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고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10 박은아, "광고에 대한 인식 유형별 광고반응 및 소비특성의 비교" 72 : 123-146, 2006

      11 채수삼,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지욕구와 감성강도의 조절적 역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12 이두희, "광고론" 박영사 2000

      13 Kamen, J. M., "What a Spokeman Does for a Sponsor" 15 (15): 17-24, 1975

      14 Severn, Jessica, "The effects of sexual and non-sexual advertising appeals and information level" 19 (19): 14-23, 1990

      15 MacKenzie, Scott B., "The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 Test of Competing Explanations" 23 (23): 130-143, 1986

      16 Heider, Fritz,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Wiley 1958

      17 Till, B. D., "The Match-Up Hypothesis: Physical Attractiveness, Expertise, & the Role of Fit on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ion, and Brand Beliefs" 24 (24): 1-13, 2000

      18 Bush, A. J., "The Influence of Consumer Socialization Variables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 Comparison African-American and Caucasian" 28 (28): 13-24, 1999

      19 Ohanian, Roobina, "The Impact of Celebrity Spokespersons’ Perceived Image on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31 (31): 46-54, 1991

      20 Park, C. Whan, "The Effects of Involvement and Executional Factors of a Television Commercial on Brand Attitude Formation" Marketing Science Institute 84-100, 1984

      21 Moore, Danny L., "The Effects of Ad Affect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10 (10): 526-531, 1983

      22 Pollay, R. W., "The Distorted Mirror: Reflection on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Advertising" 50 (50): 18-36, 1986

      23 Keller, Kevin Lane,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Prentice Hall 2003

      24 Erdogan, B. Z., "Selecting Celebrity Endorsers: The Practitioner's Perspective" 41 : 39-48, 2001

      25 Shavitt, "Public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More Favorable Than You Might Think" 38 (38): 7-22, 1998

      26 Kahle, L. R., "Physical Attractiveness of the Celebrity Endorser: A Social Adaptation Perspective" 11 (11): 954-961, 1985

      27 Bagozzi, R. P.,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Models" 16 (16): 74-94, 1988

      28 Mowen, J. C., "On Explaining and Predicting the Effectiveness of Celebrity Endorsers" 8 (8): 437-441, 1981

      29 Zaichkowsky, Judith Lynne,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12 (12): 341-352, 1985

      30 Belch, George, "Introduction to Advertising and Promotion Management" Richard D. Erwin Co. 1990

      31 Lutz, Richard J., "Integrating Cognitive Structure and Cognitive Response Approaches to Measuring Communication Effects" 4 (4): 369-371, 1977

      32 Chattopadhyay, Amitava, "Humor in Advertising: The Moderating Role of Prior Brand Evaluation" 27 (27): 466-476, 1990

      33 Bower, A. B., "Highly Attractive Models in Advertising and the Women Who Loathe Them: The Implications of Negative Affect for Spokesperson Effectiveness."" 30 (30): 51-63, 2001

      34 Alwitt, Linda F., "Functional and Belief Dimensions of Attitudes to Television" 32 (32): 30-42, 1992

      35 Henthorne, Tony L., "Fear Appeals in Print Advertising: An?Analysis of Arousal and Ad Response" 22 (22): 59-68, 1993

      36 Anderson, R. D., "Evalu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Attitude toward Business, Product Satisfaction, Experience and Search Effort" 16 (16): 394-400, 1979

      37 Friedman, Hershey. H, "Endorser Effectiveness by Product Type" 19 (19): 63-71, 1979

      38 Caballero, M. J., "Effects of Model Attractiveness on Sales Response" 13 (13): 17-33, 1984

      39 Atkin, Charles, "Effectiveness of Celebrity Endorser" 23 (23): 57-61, 1983

      40 Arora, Raj, "Consumer Involvement: What It Offers to Advertising Strategy" 4 (4): 119-130, 1985

      41 Howard, J. A., "Consumer Behavior: Application of Theory" McGraw-Hill 1977

      42 Ohanian, Roobina,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Celebrity Endorsers' Perceived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Attractiveness" 19 (19): 39-52, 1990

      43 Antil, John H.,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Involvement" 11 (11): 203-209, 1984

      44 Burke, M. C. and Julie A. Edell, "Changes in Attitude toward the Ad over Time: Evidence for Ad Peripheral Processing" Duke University 1984

      45 Petty, Rechard E., "Cental and Peripheral Routes to Ads Effectiveness: The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10 (10): 135-146, 1983

      46 Kamins, Michael. A., "Celebrity and Non-celebrity Advertising in a Two-sided Context" 29 (29): 34-42, 1989

      47 Petty, Rechard E., "Attitudes and Persuasion: Classic and Contemporary Approaches" William C. Brown. 1981

      48 Mitchell, Andrew A., "Are Product Attribute Beriefs the Only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s on Brand Attitude?" 18 (18): 318-331, 1981

      49 Kamins, Michael. A., "An investigation into the `match-up' hypothesis in celebrity advertising" 19 (19): 4-13, 1990

      50 Freiden, Jon B., "Advertising Spokesperson Effects" 24 (24): 33-40, 19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9 1.99 2.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4 1.75 2.02 0.6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