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국어의 어두 경음화 표기 실태 연구 = A study on the actual transcription condition of word-initial glottalization in Modern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719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인터넷 웹 검색을 활용하여 현대국어의 어두 경음화 표기실태를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금까지 어두 경음화가 실현된 형태의 표기들은 어문규범에 어긋난 표기라는 점만 주...

      이 연구는 인터넷 웹 검색을 활용하여 현대국어의 어두 경음화 표기실태를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금까지 어두 경음화가 실현된 형태의 표기들은 어문규범에 어긋난 표기라는 점만 주로 부각되었으나 본고에서 는 어두 경음화가 실현된 형태가 표기에 나타나는 것은 어두 경음화 현 상이 발음뿐만 아니라 표기에도 확산되어 가는 과정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현대국어의 어두 경음화 표기 실태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어두 경음 화 표기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어두 경음화 표기 변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어두 경음화 표기 정도 에 따라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하여 사용 실태를 계량적으로 확인하였다. 첫째, 어두 경음화 표기가 거의 굳어진 경우 둘째, 어두 경음화 표기가 우세한 경우 셋째, 어두 경음화 표기가 증가하는 경우 넷째, 어두 경음화 표기와 표준 표기가 비슷한 경우로 나누어 최근 10년 동안 표기 선호도 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transcription condition of word-initial glottalization in modern-Korean by searching the Internet. So far, the real transcription form which is realized as word-initial glottalization has been dealt wit3h an error b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transcription condition of word-initial glottalization in modern-Korean by searching the Internet. So far, the real transcription form which is realized as word-initial glottalization has been dealt wit3h an error based on language norms. This paper, however, viewed it as a spreading process of word-intial glottalization; i.e. word-intial glottalization occurs not only pronunciation but also language transcription.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transcription condition and the transcription changing aspects of word-initial glottalization over time. This study, particularly, employed infinite size of the Web documents as a living language resources and identified specific figures of transcription in word-intial glottalization. In this sense, this research has the distinction with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jookkoomi, kkomjangeo, ssukmaek`` was identified. These are the fixed transcription of word-initial glottalization. The ratio of ‘Jjookkoomi, kkomjangeo, ssukmaek`` which are represented as fortis is more than 70% in the real world. Especially, in the case of ‘Jjookkoomi’, the ratio is over 90% and it shows that fortis is preferred. This representation, however, already was used ten years ago, so this indicates that language audiences regard word-fortis transcription as a standardtype. Second, the transcription of word-intial glottalization appeared prominently. These examples were ‘ssaeoul, jjolbyenong, jjoejipkye, etc’. In the case of ‘saeoul or jjolbyeong’, these transcriptions tend to change as standard notation. ‘jjoejipkye’ did not show a remarkable change. Third, the transcription of word-initial glottalization gradually increased. These instances were ‘kkomul, kkolcho, ssaengkicho, jjifinae, etc.’ Fourth, the two sets of data which the standard transcription and word-initial glottalization had similar ratios were dealt with. These were ‘jalida/jjalida’, ‘saengchobo/ssaengchobo’, and ‘jaturi/jjaturi’. These forms are currently understood that they co-exist with a similar level. In the case of ‘jaturi/jjaturi’, ‘jaturi’ had the upper hand. With regard to ‘jalida/jjalida’ and ‘saengchobo/ssaengchobo’, they did not show any particular dire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명숙, "한국어의 어제 그리고 오늘" 역락 2009

      2 한명숙, "한국어의 어두 경음화 현상 연구" 건국대학교 2011

      3 한명숙, "한국어 용언의 어두 경음화 현상 연구" 겨레어문학회 (51) : 639-672, 2013

      4 이은선, "전주 지역어의 어두 경음화 현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전북대학교 2011

      5 한영균, "웹 문서와 인터넷을 이용한 현대 한국어 참조 코퍼스의 구축" 한국어문학회 (124) : 129-166, 2014

      6 박동근, "웹 검색을 이용한 맞춤법 오류의 변화 양상 연구 - 사이시옷 표기를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21 : 67-93, 2014

      7 박동근, "웹 검색 엔진을 활용한 어문규범 오류 실태의 계량적 추출 방법" 언어과학회 (63) : 145-170, 2012

      8 홍미주, "어두경음화의 실현 양상과 언어 태도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22 (22): 281-307, 2014

      9 한명숙, "어두 경음화 수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말연구학회 (32) : 393-424, 2013

      10 이호영, "서울 토박이들의 경음화 선호도" 한국음성학회 1 (1): 151-162, 2009

      1 한명숙, "한국어의 어제 그리고 오늘" 역락 2009

      2 한명숙, "한국어의 어두 경음화 현상 연구" 건국대학교 2011

      3 한명숙, "한국어 용언의 어두 경음화 현상 연구" 겨레어문학회 (51) : 639-672, 2013

      4 이은선, "전주 지역어의 어두 경음화 현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전북대학교 2011

      5 한영균, "웹 문서와 인터넷을 이용한 현대 한국어 참조 코퍼스의 구축" 한국어문학회 (124) : 129-166, 2014

      6 박동근, "웹 검색을 이용한 맞춤법 오류의 변화 양상 연구 - 사이시옷 표기를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21 : 67-93, 2014

      7 박동근, "웹 검색 엔진을 활용한 어문규범 오류 실태의 계량적 추출 방법" 언어과학회 (63) : 145-170, 2012

      8 홍미주, "어두경음화의 실현 양상과 언어 태도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22 (22): 281-307, 2014

      9 한명숙, "어두 경음화 수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말연구학회 (32) : 393-424, 2013

      10 이호영, "서울 토박이들의 경음화 선호도" 한국음성학회 1 (1): 151-162, 2009

      11 박동근, "말머리에 나타나는 이유 없는 된소리 현상 연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7) : 179-200, 2000

      12 한명숙, "대학생들의 어두 경음화 실현 및 인지 양상 연구" 겨레어문학회 (46) : 329-370, 2011

      13 배혜진, "대구 지역 어두경음화의 사회언어학적 고찰" 민족문화연구소 (46) : 301-329, 2010

      14 배혜진, "달성지역어의 음운론적 변이와 변화 연구" 영남대학교 2014

      15 김유권, "경음화 현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겨레어문학회 32 : 2004

      16 한명숙, "21세기 국어의 어두 경음화 실태"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8 1.05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