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속담 및 명언을 활용한 독일어 교수ㆍ학습 모형 = Deutsches Lehr- und Lernmodell mit Sprichwörtern und Sprüche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속담 및 명언을 활용해 독일어 교수ㆍ학습 모형을 구안하고자 한다. 외국어교육에서 속담 및 명언은 목표 국가의 언어적, 문화적 요소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

      본 연구에서는 속담 및 명언을 활용해 독일어 교수ㆍ학습 모형을 구안하고자 한다. 외국어교육에서 속담 및 명언은 목표 국가의 언어적, 문화적 요소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무엇보다 중, 고급수준의 학습자가 다양하고 수준 높은 어휘와 표현으로 외국어를 사용하고자 할 때, 단순한 구문의 기계적인 반복 연습만이 해답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때 속담 및 명언은 언어적, 문화적 요소를 동시에 가진 자료로 수준 높은 어휘와 표현을 구사하는 데 긍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업설계의 방향은 ‘주제별 독일어 속담 및 명언 이해, 작문·읽기를 통한 구문 연습, 독일 문화 읽기’의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속담 및 명언을 주제별로 분류한 후, 속담 및 명언에 포함된 독일어 구문을 별도로 제시한다. 그다음으로 작문·읽기 연습을 통해 구문이 학습될 수 있도록 활동을 구성한다. 마지막으로 주제와 관련된 읽을거리를 제시하여 문화 학습으로 내용을 확장한다.
      지금까지 실제 수업에서 속담 및 명언을 활용하여 그 유용성을 검증하고 교수ㆍ학습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논의한 사례는 미비하였다. 그 내용과 접근방식이 속담 및 명언을 구문론적으로 분석하여 전달하거나 문화 학습을 위한 자료로 사용되는 수준에 그쳤다. 이러한 상황에서 속담 및 명언을 교수ㆍ학습 자료로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적 측면의 논의는 가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m Fremdsprachenunterricht sind Sprichwörter und Sprüche ein wichtiges Mittel, mit dem Lernende sprachliche und kulturelle Elemente des Ziellandes gleichzeitig lernen können. Aber wenn Fortgeschrittene eine Fremdsprache mit verschiedenen und hochwe...

      Im Fremdsprachenunterricht sind Sprichwörter und Sprüche ein wichtiges Mittel, mit dem Lernende sprachliche und kulturelle Elemente des Ziellandes gleichzeitig lernen können. Aber wenn Fortgeschrittene eine Fremdsprache mit verschiedenen und hochwertigen Vokabeln und Ausdrücken verwenden möchten, können nur einfache mechanische Wiederholungsübungen nicht die Antwort sein. In diesem Fall können Sprichwörter und Sprüche ein positiver Faktor sein. In dieser Studie soll daher ein deutsches Lehr- und Lernmodell erstellt werden.
      Die Richtung der Unterrichtsplan ist
      1) Sprichwörter und Sprüche thematisch zu verstehen
      2) Syntax durch Schreiben und Lesen zu üben
      3) Texte über deutsche Kultur zu lesen
      Bisher gab es unzureichende Diskussionen über Methoden zum Lehren und Lernen und zur Überprüfung der Nützlichkeit von Sprichwörtern und Sprüchen im tatsächlichen Unterricht. Sein Inhalt und sein Ansatz beschränken sich auf die Ebene der syntaktischen Analyse und Bereitstellung von Sprichwörtern und Sprüchen oder werden als Mittel zum kulturellen Lernen verwendet. In dieser Situation lohnt es sich zu diskutieren, wie Sprichwörter und Sprüche als Mittel zum Lehren und Lernen verwendet werden könn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인섭, "효과적인 학습지도를 위한 독일속담의 활용"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 김광숙, "프랑스 속담의 교육적 활용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 박정환, "수사법적인 측면에서의 독일속담" 한국독일어문학회 26 (26): 73-93, 2018

      4 김건환, "속담의 변화와 가치관의 변화 – 독일 고등학생들의 속담분석" 31 : 29-47, 1998

      5 조다은, "속담을 활용한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방안 연구 : 말하기 교육을 중심으로"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7

      6 강수경, "속담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융크에릭-요아킴, "독한사전에서의 속담의 사전학적 처리에 대해서" 한국독어독문학회 48 (48): 243-263, 2007

      8 양성윤, "독일어 학습에서의 속담 이용 가능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9 김건환, "독일 속담의 전래와 언어적 특성에 관한 소고" 40 (40): 39-66, 1996

      10 李明珍, "독일 속담의 언어학적 분석 : 한국 속담과의 대조 비교를 통한 연구"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0

      1 정인섭, "효과적인 학습지도를 위한 독일속담의 활용"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 김광숙, "프랑스 속담의 교육적 활용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 박정환, "수사법적인 측면에서의 독일속담" 한국독일어문학회 26 (26): 73-93, 2018

      4 김건환, "속담의 변화와 가치관의 변화 – 독일 고등학생들의 속담분석" 31 : 29-47, 1998

      5 조다은, "속담을 활용한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방안 연구 : 말하기 교육을 중심으로"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7

      6 강수경, "속담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융크에릭-요아킴, "독한사전에서의 속담의 사전학적 처리에 대해서" 한국독어독문학회 48 (48): 243-263, 2007

      8 양성윤, "독일어 학습에서의 속담 이용 가능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9 김건환, "독일 속담의 전래와 언어적 특성에 관한 소고" 40 (40): 39-66, 1996

      10 李明珍, "독일 속담의 언어학적 분석 : 한국 속담과의 대조 비교를 통한 연구"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0

      11 정수정, "광고전략으로서 속담의 사용에 관한 연구 - 독일 지면광고를 중심으로"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7) : 163-184, 2018

      12 Jungk, Erik-Joachim, "Über den Wandel der Funktionen von Sprichwörterbüchern -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utscher Sprichwörterbücher" 한국독어독문학회 49 (49): 344-363, 2008

      13 Mazurek, Agata, "zur deutschen Literatur des Mittelalters" De Gruyter 2014

      14 "https://www.sprachenlernen24.de/blog/sprichwoerter-deutsch-franzoesisch"

      15 "https://www.moe.go.kr"

      16 "https://www.dw.com/de/lisa-aus-wei%C3%9Frussland/a-41757584"

      17 "http://www.bokj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7989"

      18 Edition XXL, "Zitate und Sprichwörter" Edition XXL 2016

      19 Sabban, Annette, "Sprichwörter und Redensarten im interkulturellen Vergleich" Springer Fachmedien Wiesbaden GmbH 1991

      20 Reuvekamp, Silvia, "Sprichwort und Sentenz im narrativen Kontext: Ein Beitrag zur Poetik des höfischen Romans" 2012

      21 Röhrich, Lutz, "Sprichwort" Springer-Verlag 1977

      22 Pöppelmann, Christa, "Redensarten & Sprichwörter: Herkunft, Bedeutung, Verwendung" Circon Verlag GmbH 2016

      23 Baur, Rupprecht S, "Muttersprache 2/96" Bibliographisches Institut 162-179, 1996

      24 Baur, Rupprecht S, "Fremdsprache Deutsch 15" Klett Edition Deutsch 17-24, 1996

      25 Simrock, Karl, "Die deutschen Sprichwörter" Fischer Taschenbuch 2011

      26 Kunert, Günter, "Die Geburt der Sprichwörter" Wallstein Verlag 2012

      27 Seiler, Friedrich, "Das deutsche Sprichwort" De Gruyter Mouton 19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1 0.484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