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체제적 학교혁신을 위한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ystemic School Innovation Assessment Instru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888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관계자들의 인식과 요구를 토대로 체제적 학교혁신의 주요 영역을 구체화하고, 단위학교별 학교혁신 현황 및 과제를 진단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관계자들의 인식과 요구를 토대로 체제적 학교혁신의 주요 영역을 구체화하고, 단위학교별 학교혁신 현황 및 과제를 진단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교육 및 학교혁신과 관련된 문헌분석,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방문조사 및 교사간담회, 혁신미래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전문가 초청 간담회 등을 통해 학교관계자의 요구와 단위학교의 현실적 맥락을 고려하여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진단도구는 거버넌스, 조직운영, 교육과정 및 평가, 교원전문성, 교육공간 및 테크놀로지, 학생자치, 외부환경의 7대 혁신 영역과 31개의 영역별 과제들로 구성되었으며, 인천광역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1,317명의 관리자 및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진단도구로서의 신뢰도와 타당성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진단도구는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에서 모두 적용가능하며, 혁신의 주체인 단위학교 관계자의 인식에 기초하여 체제적이고 미래지향적 학교혁신을 위한 발전방향 및 운영과제 설정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o assess the current state and identify critical areas of school innovation that represent the needs of faculty and to drive systemic change. Through literature review, field visit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o assess the current state and identify critical areas of school innovation that represent the needs of faculty and to drive systemic change. Through literature review, field visits, one-on-one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principals, and superintendents; expert consultations; and discussions among the researchers, we identified seven domains (school governance, organizational management, curriculum and assess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learning space and technology, student autonomy, and community relations) and 31 corresponding items. We administered the survey to 1317 school personnel (from both traditional and innovative pilot schools) and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ith the second-order mod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strument can serve as an alternative to assess the state of innovation for both traditional and innovative pilot schools of all grades. Perceptions and opinions of school personnel, who are expected to play a leading role from the needs assessment stage, can be revealed through the instrument. To cultivate systemic change in schools, it is imperative to identify needs in all seven domains, including learning space and technology, which have been previously neglected. The study concludes with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using the instrument for systemic school innovation and future schoo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순아, "혁신학교의 교육효과 분석: 경기도 혁신학교의 계층 간 학력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8 (28): 57-86, 2018

      2 박정수,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교사의 학습자중심 신념과 교사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조사" 25 (25): 25-47, 2018

      3 나혜원, "혁신학교와 일반 학교의 교사효능감 영향 요인 탐색: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28 (28): 351-374, 2018

      4 백병부, "혁신학교가 교육격차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5 (25): 105-128, 2015

      5 김성천, "혁신학교 정책의 여섯 가지 차원의 딜레마" 교육연구소 24 (24): 33-56, 2018

      6 심재휘, "혁신학교 일반화에 따른 경기도 중학교의 학교효과성 변화 분석 : 혁신학교 확대 운영 정책을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24 (24): 167-189, 2018

      7 김수경, "혁신학교 운영의 실태와 성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45-168, 2011

      8 박수정, "학교혁신을 위한 학교조직 진단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201-230, 2018

      9 김성열, "학교혁신, 리더 교사 그리고 평생교육" 한국교원교육학회 23 (23): 291-305, 2006

      10 김성천, "학교 혁신의 핵심 원리: 교장공모제를 실시한 D중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9 (19): 59-89, 2009

      1 원순아, "혁신학교의 교육효과 분석: 경기도 혁신학교의 계층 간 학력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8 (28): 57-86, 2018

      2 박정수,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교사의 학습자중심 신념과 교사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조사" 25 (25): 25-47, 2018

      3 나혜원, "혁신학교와 일반 학교의 교사효능감 영향 요인 탐색: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28 (28): 351-374, 2018

      4 백병부, "혁신학교가 교육격차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5 (25): 105-128, 2015

      5 김성천, "혁신학교 정책의 여섯 가지 차원의 딜레마" 교육연구소 24 (24): 33-56, 2018

      6 심재휘, "혁신학교 일반화에 따른 경기도 중학교의 학교효과성 변화 분석 : 혁신학교 확대 운영 정책을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24 (24): 167-189, 2018

      7 김수경, "혁신학교 운영의 실태와 성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45-168, 2011

      8 박수정, "학교혁신을 위한 학교조직 진단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201-230, 2018

      9 김성열, "학교혁신, 리더 교사 그리고 평생교육" 한국교원교육학회 23 (23): 291-305, 2006

      10 김성천, "학교 혁신의 핵심 원리: 교장공모제를 실시한 D중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9 (19): 59-89, 2009

      11 이미숙, "학교 혁신문화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인천광역시 초·중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441-470, 2017

      12 이현명, "학교 문화진단을 위한 진단도구 개발 및 활용 : 혁신학교 수업혁신 컨설팅을 위한 문화진단"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469-494, 2013

      13 김용기, "전남 혁신학교의 효과성 분석 -혁신학교와 일반학교간의 비교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61-568, 2017

      14 이지연, "인천혁신학교(행복배움학교) 운영 기본계획 수립" 인천광역시교육청 2018

      15 이지연, "인천 혁신미래교육 기반의 학교혁신 기본방안 연구" 인천광역시교육청 2018

      16 성병창, "부산지역 혁신교육지구 도입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 연구" 교육발전연구소 27 (27): 149-171, 2017

      17 백병부, "미래형 학교혁신 전략의 방향과 과제" 75-119, 2018

      18 김현진, "미래학교 설립⋅운영 모델 개발 연구" 2017

      19 임철일, "미래교육을 위한 학교시설 설계방안 모색" 2018

      20 이영희, "미래교육 관련 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의 방향" 교육연구소 24 (24): 127-153, 2018

      21 유주영, "국내 혁신학교 연구에 관한 동향 분석" 원격교육연구소 12 (12): 81-105, 2016

      22 유경훈, "국내 혁신학교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351-380, 2012

      23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선정 기준과 그 근거" 19 : 161-177, 2000

      24 박운형, "교육혁신의 개념, 동향 및 발전방향" 19 (19): 1-24, 2009

      25 김진호, "경영학 연구에서의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문헌 연구와 비판" 한국경영학회 36 (36): 897-923, 2007

      26 나효진, "경기도혁신학교 운영에 따른 학교체제 변화 연구 :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 22 (22): 29-58, 2015

      27 정동욱, "경기도 학교조직 진단도구 개발" 경기도 교육연구원 2015

      28 Banathy, B. H., "Systems design of education: A journey to create the future"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1991

      29 Reigeluth, C. M., "Systemic change in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1994

      30 Brooks, D. C., "Space matters: The impact of formal learning environments on student learning" 42 (42): 719-726, 2011

      31 Reigeluth, C. M., "Reinventing schools: It’s time to break the mold" R & L Education 2013

      32 Reigeluth, C. M., "Learning, design, and technology: An international compendium of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Springer 2019

      33 Bearden, W. O., "Handbook of marketing scales: Multi-item measures for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research" Sage 1998

      34 Lee, D., "From swimming pool to collaborative learning studio:Pedagogy, space, and technology in a large active learning classroom" 66 (66): 95-127,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 Broadcasting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 1.96 2.299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