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튜브 K-pop 콘텐츠의 재목적화 유형 연구 = Classification of K-Pop Contents in YouTube on Media Repurpos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792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plores the transformation and distribution of K-pop contents on the YouTube platform, focusing on the rol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YouTube users as the prosumers of new contents created using original K-pop. By borrowing the conc...

      This research explores the transformation and distribution of K-pop contents on the YouTube platform, focusing on the rol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YouTube users as the prosumers of new contents created using original K-pop. By borrowing the concept of ‘media repurposing’ suggested by Bolter and Gruss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K-pop contents that is repurposed(reused, reprocessed, and recreated) can be categorized in YouTube in terms of sound source and video. To this end,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internet ethnography was used to categorize the types and methods of repurposed K-pop contents through an analytical coding.
      As a result, the repurposed K-pop contents was categorized of 31 methods within 7 categories(①Reusing of sound sources and videos, ②Reprocessing centered on sound sources, ③Recreating centered on sound sources, ④Reprocessing centered on the videos, ⑤Recreating centered on videos, ⑥Recreating of sound sources and videos, ⑦ Creating of sound sources and videos). These seven typologies of contents repurposing are described as a participatory culture in which user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content interpretation, transformation, and distribution.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enhances an exploratory comprehension of K-pop consumers’ creative behaviors on content transformation as observed on YouTube and examines their dynamism and diversity as a part of participatory cul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pop의 글로벌 확산과 인기는 유튜브에 유통되는 K-pop 콘텐츠를 변형, 가공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K-pop을 소비하는 이용자들의 창의적 활동으로 인해 그 폭이 넓어지고 있다. 이 연...

      K-pop의 글로벌 확산과 인기는 유튜브에 유통되는 K-pop 콘텐츠를 변형, 가공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K-pop을 소비하는 이용자들의 창의적 활동으로 인해 그 폭이 넓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국내외 유튜브 이용자들이K-pop 콘텐츠 원본을 활용해 새로운 콘텐츠를 창작하는 생산소비자로 역할한다는 것에 주목하고, K-pop 콘텐츠가 유튜브 플랫폼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변형되어 유통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볼터(Bolter)와 그루신(Grusin) 의 미디어 재목적화(repurposing) 개념을 차용하여 유튜브 내에서 재목적화(재사용, 재생산, 재창조)되는 K-pop 콘텐츠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대표적인방식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인터넷 문화기술지를사용하여, 분석적 코딩방법을 통해 재목적화된 K-pop 콘텐츠의 유형과 방식을분류하였다. 분석결과, 재목적화된 K-pop 콘텐츠는 7개(①음원⋅영상 재사용, ②음원 중심 재가공, ③음원 중심 재창조, ④영상 중심 재가공, ⑤영상 중심재창조, ⑥음원⋅영상 재창조, ⑦음원⋅영상 창조) 유형의 31개 방식으로 구분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글로벌 플랫폼 유튜브에서 관찰되는 K-pop 이용자의 창조적 콘텐츠 변형 행위에 대한 탐색적 이해를 도모하고, 참여 문화인으로서 K-pop을 소비하는 이용자의 역동성과 다양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조인희 ; 윤여광, "한류문화에 영향을 미친 Youtube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가수 싸이(PSY) 신드롬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7 (7): 9-18, 2013

      2 손창원, "한국 대중음악의 시장구조와 케이팝의 미래" CJ인재경영원 2021

      3 김건호, "하이브, 2021년 매출 1조 2577억원으로 58% 증가" 세계일보

      4 김현진 ; 안민호, "케이팝 콘텐츠의 참여적 이용에 관한 연구 : 유튜브 콘텐츠 관계망분석(SNA)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28-37, 2019

      5 류철균 ; 박나영, "컨버전스시대 UCC의 활용" 한국콘텐츠학회 7 (7): 89-98, 2007

      6 최진옥 ; 조영한, "칠레 한류 팬덤 이해하기: 따라하기, 함께하기, 그리고 따로하기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4 (34): 249-280, 2020

      7 Toffler, A., "제3의 물결" 홍신문화사 2006

      8 오영범 ; 김영천,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방법적 특징 및 연구 절차 탐색" 한국교육인류학회 16 (16): 83-120, 2013

      9 설진아, "인기 유튜브 채널의 장르 유형과 채널 인기 요인에 관한 탐색 연구" (주)에스비에스 19 (19): 49-86, 2021

      10 조선령, "이미지 장치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1 조인희 ; 윤여광, "한류문화에 영향을 미친 Youtube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가수 싸이(PSY) 신드롬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7 (7): 9-18, 2013

      2 손창원, "한국 대중음악의 시장구조와 케이팝의 미래" CJ인재경영원 2021

      3 김건호, "하이브, 2021년 매출 1조 2577억원으로 58% 증가" 세계일보

      4 김현진 ; 안민호, "케이팝 콘텐츠의 참여적 이용에 관한 연구 : 유튜브 콘텐츠 관계망분석(SNA)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28-37, 2019

      5 류철균 ; 박나영, "컨버전스시대 UCC의 활용" 한국콘텐츠학회 7 (7): 89-98, 2007

      6 최진옥 ; 조영한, "칠레 한류 팬덤 이해하기: 따라하기, 함께하기, 그리고 따로하기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4 (34): 249-280, 2020

      7 Toffler, A., "제3의 물결" 홍신문화사 2006

      8 오영범 ; 김영천,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방법적 특징 및 연구 절차 탐색" 한국교육인류학회 16 (16): 83-120, 2013

      9 설진아, "인기 유튜브 채널의 장르 유형과 채널 인기 요인에 관한 탐색 연구" (주)에스비에스 19 (19): 49-86, 2021

      10 조선령, "이미지 장치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11 박수윤, "유튜브 K팝 리액션 영상은 이렇게 만들어진다" 연합뉴스

      12 배준호, "월 20억명⋅매일 10억시간 시청… 세상을 바꾼 유튜브" 이투데이

      13 이서라 ; 정의준, "역사드라마의 콘텐츠 재목적화에 관한 연구: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의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5 (15): 99-142, 2014

      14 이현석, "싸이의 영상 뮤직비디오‘강남스타일’에 드러난 키치(Kitsch)와 밈(Meme)에 대한 탐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48-158, 2013

      15 강신규 ; 이준형, "생산과 소비 사이, 놀이와 노동 사이<프로듀스 48>과 팬덤의 재구성" 한국언론학회 63 (63): 269-315, 2019

      16 윤민아 ; 전병준, "새로운 E-Business 모델로서 분절화된 콘텐츠의 성장" 국제e-비즈니스학회 17 (17): 73-96, 2016

      17 장혜선, "방탄소년단 콘텐츠 팬자막의 번역 전략" 인문콘텐츠학회 (63) : 189-211, 2021

      18 최홍규, "방송의 진화" 한울아카데미 2018

      19 이재현, "멀티플랫포밍, 모바일미디어, 그리고 모바일 콘텐츠" 35-60, 2006

      20 최세경 ; 박상호, "멀티 플랫폼 콘텐츠 포맷의 개발과 텔레비전 적용: 상호작용성의 구현과 재목적화" 한국방송학회 11 (11): 5-47, 2010

      21 김지섭, "당신이 본 유튜브 70%는 알고리즘이 추천… 자신도 모르게 중독" 조선일보

      22 지교훈, "놀이하는 인간에 대한 철학적 고찰" 32 (32): 14-23, 1988

      23 백욱인, "네트워크 사회문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24 YouTube Music 고객센터, "https://support.google.com/youtube music/answer/6313574?hl=ko&ref_topic=6277001"

      25 Greenhow, C, "Youth as content producers in a niche social network site" 2010 (2010): 55-63, 2010

      26 Burgess, J., "YouTube : Online video and participatory culture" John Wiley & Sons 2018

      27 Milner, R. M, "Working for the text: Fan labor and the New Organization" 12 (12): 491-508, 2009

      28 Galloway, A. R., "The interface effect" Polity 2012

      29 Bolter, J. D., "The desire for transparency in an era of hybridity" 39 (39): 109-111, 2006

      30 Manovich, L., "Software Takes Command (Vol. 5)" Bloomsbury Academic 2013

      31 정혁준, "SM “오리지널 콘텐츠와 프로슈머 연결…케이팝 2.0 시대로”" 한겨레신문

      32 Bolter, J. D., "Remediation : Understanding new media" MIT Press 1998

      33 Massanari, A. L., "Particioatory Culture, Community, and Play" Academia 2015

      34 김지섭, "K팝, 세계 음악산업의 키를 잡다" 조선일보

      35 정승환, "K-pop 음원 역주행에 대한 사례 분석 : 브레이브걸스(Brave Girls)의 「롤린(Rollin')」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5 (15): 69-83, 2021

      36 Paay, J., "F-formations in cooking together: A digital ethnography using YouTube" 37-54, 2013

      37 Pink, S., "Digital ethnograph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61-165, 2016

      38 Jenkins, H., "Confronting the challenges of participatory culture : Media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Part One)" 24 : 23-33, 2007

      39 Jenkins, H., "Confronting the Challenges of Participatory Culture : Media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Macarthur 2009

      40 임병학, "An Impact of Online Video Network on Views on Youtube: Focused on Parody of PSY Kangnam Style Music Video" 아시아.유럽미래학회 10 (10): 1-15, 2013

      41 해외문화홍보원, "<2021년 국가이미지 조사 보고서>"

      42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22 해외한류 실태조사"

      43 이혜인, "2022 엔터 르네상스의 시작: K-POP 산업 재도약" 유안타증권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