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주민자치의 현주소와 발전방안-영국의 로컬카운실 사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63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주민자치의 현 모습을 들여다보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주민자치의 방향성을 고민해 보고자 하였다. 지방자치가 시작된 이래, 한국의 지방자치는 현재 대의민주주의의 한계...

      본 연구는 한국 주민자치의 현 모습을 들여다보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주민자치의 방향성을 고민해 보고자 하였다. 지방자치가 시작된 이래, 한국의 지방자치는 현재 대의민주주의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최근 지방자치를 둘러싼 정책 환경은 주민의 민주적인 참여를 통한 공생산(co-production), 주민참여권보장을 통한 주민자치, 직접민주적 방식의 적극적 도입 및 활용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즉, 한국 지방자치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 변화의 핵심에는 바로 ‘주민’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주민자치의 대표 사례로서 지역마다 다양한 형태의 주민자치조직을 운영중인 영국의 로컬카운실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주민자치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기초 정부로서 읍・면・동 자치를 강화해야 하고, 둘째, 주민자치회의 역할과 위상을 지역공동체 주축 조직으로서 강화해야 한다. 특히 영국 사례에서 고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역의 상황(지역특성, 주민의 자치역량)에 따라 지역에서 스스로 주민자치를 위한 제도적 방안 및 운영 형태 등을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즉, 각 지역(주민)의 자기책임성 구현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look into the current state of resident autonomy in Korea, and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resident autonomy to move forward. Since the beginning of local autonomy, local autonomy in Korea has now shown the limits of representativ...

      This study tried to look into the current state of resident autonomy in Korea, and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resident autonomy to move forward. Since the beginning of local autonomy, local autonomy in Korea has now shown the limit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On the other hand, the recent policy environment surrounding local autonomy is changing in the direction of emphasizing co-production through the democratic participation of residents, self-government through the guarantee of resident participation rights, and the active introduction and use of direct democracy. That is, it can be seen that ‘residents’ are at the core of the environmental change to solve the problems of local autonomy in Korea. Accordingly, in this study, as a representative case of resident autonomy, the case of local councils in the UK operating various types of resident autonomous organizations in each region is examined, and based on this, policy directions for better resident autonomy are proposed. Specifically, first, the autonomy of Eup, Myeon, and Dong as the basic government should be strengthened, and second, the role and status of the Residents" Associ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s the main organization of the local community. In particular, as can be seen in the case of the UK, the region should be able to set up institutional plans and operational forms for resident autonomy on their own according to the local circumstances (regional characteristics, resident autonomy capacity).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mplementation of self-responsibility in each reg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문제제기
      • Ⅱ. 주민자치의 현주소
      • Ⅲ. 영국의 주민자치 사례
      • Ⅳ. 지방자치의 개념과 방식의 변화: 한국 주민자치의 재구성
      • Ⅴ. 결론: 더 나은 주민자치를 위한 제언
      • Ⅰ. 서론: 문제제기
      • Ⅱ. 주민자치의 현주소
      • Ⅲ. 영국의 주민자치 사례
      • Ⅳ. 지방자치의 개념과 방식의 변화: 한국 주민자치의 재구성
      • Ⅴ. 결론: 더 나은 주민자치를 위한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지방자치학회, "한국지방자치론" 삼영사 2000

      2 곽현근, "풀뿌리민주주의를 위한 읍면동 공동체 허브로서 주민자치회 역할" 77 : 14-17, 2018

      3 권경득, "참여정부 지방분권정책의 실태 분석 - 중앙사무의 지방이양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 21 (21): 5-28, 2009

      4 하승우, "직접민주주의 제도와 시민사회운동; 정부의 주민투표제도 악용과 시민사회의 역할" 4 (4): 37-75, 2006

      5 이현국,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마을공동체 활동가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23 (23): 177-200, 2016

      6 정명은, "지방정부의 주민참여제도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열린 조직으로서의 지방정부" 한국행정학회 46 (46): 85-114, 2012

      7 강인성, "지방정부 주민참여제도의 정책과정과 참여유형에 따른 영향력 분석: 16개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2 (42): 215-238, 2008

      8 최상한,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확산과 영향요인" 한국행정학회 44 (44): 87-113, 2010

      9 홍성익,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정 실현을 위한 지방재정구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포럼 16 (16): 159-184, 2016

      10 박혜자, "지방이양과 중앙-지방정부간 사무배분체계의 변화" 13 (13): 125-146, 2002

      1 한국지방자치학회, "한국지방자치론" 삼영사 2000

      2 곽현근, "풀뿌리민주주의를 위한 읍면동 공동체 허브로서 주민자치회 역할" 77 : 14-17, 2018

      3 권경득, "참여정부 지방분권정책의 실태 분석 - 중앙사무의 지방이양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 21 (21): 5-28, 2009

      4 하승우, "직접민주주의 제도와 시민사회운동; 정부의 주민투표제도 악용과 시민사회의 역할" 4 (4): 37-75, 2006

      5 이현국,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마을공동체 활동가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23 (23): 177-200, 2016

      6 정명은, "지방정부의 주민참여제도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열린 조직으로서의 지방정부" 한국행정학회 46 (46): 85-114, 2012

      7 강인성, "지방정부 주민참여제도의 정책과정과 참여유형에 따른 영향력 분석: 16개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2 (42): 215-238, 2008

      8 최상한,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확산과 영향요인" 한국행정학회 44 (44): 87-113, 2010

      9 홍성익,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정 실현을 위한 지방재정구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포럼 16 (16): 159-184, 2016

      10 박혜자, "지방이양과 중앙-지방정부간 사무배분체계의 변화" 13 (13): 125-146, 2002

      11 김찬동, "지방분권개헌과 주민자치권" 한국지방자치학회 31 (31): 1-25, 2019

      12 윤영근, "지방분권 확대에 부합하는 지방자치단체 평가"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7

      13 신유호, "지방분권 강화를 위한 재정조정제도 개편방안 연구: 문재인 정부 지방분권 개헌안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2 (22): 189-215, 2018

      14 최봉기, "중앙정부에 의한 지역간 경쟁적 주민투표제도의 개선과제" 한국지방자치학회 18 (18): 5-26, 2006

      15 정정화, "주민투표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지방자치학회 24 (24): 89-113, 2012

      16 안성호, "주민투표의 직접민주적 개방성: 스위스의 교훈" 17 (17): 157-181, 2005

      17 임승후, "주민참여통로의 효과성 연구: 광주광역시 북구청의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4 (44): 61-86, 2010

      18 이병렬, "주민자치회 시범실시의 제도적 한계와 발전과제"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157-180, 2015

      19 김상민, "주민자치와 협력적 마을만들기 - 협력적 마을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 한국지방자치학회 28 (28): 181-209, 2016

      20 심익섭, "주민자치센터의 운영활성화 방안" 한국지방자치학회 14 (14): 33-53, 2002

      21 곽현근, "주민자치 개념화를 통한 모형 설계와 제도화 방향" 한국행정학회 49 (49): 279-302, 2015

      22 정일섭, "주민소환제도에 대한 평가" 한국지방자치학회 21 (21): 79-96, 2009

      23 김병기, "주민소송․주민투표․주민소환을 중심으로 한 주민참여법제 小考"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1 (11): 33-71, 2011

      24 김동욱, "제주특별도지사 주민소환사례를 통한 주민소환제 문제점 고찰 및 개선방안" 한국지방자치학회 22 (22): 73-98, 2010

      25 차주현, "재정분권이 지방재정효율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행정학회 45 (45): 117-150, 2011

      26 김순은, "일본의 로컬 거버넌스와 주민참여 : 주민투표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187-214, 2011

      27 안전행정부, "읍면동 주민자치회 시범실시 컨설팅단 전체회의 및 관계자합동워크숍(계획)"

      28 안성호, "왜 분권국가인가" 박영사 2016

      29 이창희, "세법강의" 박영사 2006

      30 정명은, "서울시민의 행복과 사회자본 관계 분석: 행복한 시민, 따뜻한 지역공동체" 서울연구원 15 (15): 163-186, 2014

      31 한세희, "사회자본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한국행정학회 44 (44): 37-59, 2010

      32 강혜진, "사회신뢰와 대인신뢰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삶의 질 매개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8 (28): 329-360, 2019

      33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균형발전과 지방분권 및 주민자치 실현을 위한 제도와 거버넌스" 2018

      34 김광구, "갈등해소 기제로서의 주민투표제도 개선방안 연구:숙의 민주주의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7 (17): 85-116, 2013

      35 김상욱, "[영국 런던 ‘이즐링턴 자치구’] 피플 파워 및 직접참여민주주의의 전형" 39 : 62-65, 2015

      36 성경륭, "[분권국가와 지역균형발전 : 미래 비전과 과제] 새로운 대한민국은 강소지역 기반 강대국형(준)연방국가" 71 : 38-44, 2017

      37 곽현근, "[발제_정부와 주민자치회 관계] 풀뿌리 주민자치, 지방정부와의 관계설정 매우 중요" 4 : 10-17, 2017

      38 NALC, "What are local councils"

      39 Helliwell, J. F.,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359 (359): 1435-1446, 2004

      40 Leung, A., "Searching for Happiness :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12 (12): 443-462, 2011

      41 Easterlin, R., "Nations and Households in Economic Growth: Essays in Honour of Moses Abramowitz" Academic Press 1974

      42 Dahl, Robert A., "How Democratic Is the American Constitution?" Yale University Press 2001

      43 Local Government Boundary Commission for England, "Guidance on community governance reviews"

      44 Salamon, Laster. M., "America's Non-Profit Sector: A Primer" Foundation Cente 1999

      45 NALC, "All about local council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7 1.024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