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각화 이상이 있는 피부질환에서의 Involucrin 발현에 관한 연구 = Involucrin Expression in Keratinization Disorders of the Sk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917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Involucrin은 사람의 편평상피세포에서 생성되는 세포질 단백 중의 하나이며, 표피 각질층의 각화피막의 전구체로서 정강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에 대한 하나의 지표가 된다. 피부과 영역에서는...

      Involucrin은 사람의 편평상피세포에서 생성되는 세포질 단백 중의 하나이며, 표피 각질층의 각화피막의 전구체로서 정강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에 대한 하나의 지표가 된다. 피부과 영역에서는 피부종양 및 건선에서 involucrin 발현의 변화에 대한 보고는 많지만 각화이상 질환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저자는 정상 피부, 심상성 건선, 수장족저 농포성 건선, 모공성 홍색비강진, 심상성 어린선, 파종성 표재성 광선 한공각화증, 표피모반 등의 여러 각화이상 질환, 총 50례에서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involucin 발현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양성반응은 각질형성세포질내에 균등하게 또는 가장자리에 염색되어 관찰되었다. 정상 표피에서는 표피의 상부 삼분의 일이 염색되었다. 심상성 건선, 수장족저 농포성 건선, 모공성 홍색비강진과 같은 표피의 증식과 교체가 빠른 질환에서는 정상 표피보다 양성반응의 범위가 훨씬 증가한 반면 심상성 어린선, 파종성 표재성 광선 한공각화증 등의 표피증식이 없는 질환에서는 정상 표피와 같거나 약간 증가하였다. 그러나 표피모반은 표피 증식이 있음에도 양성반응의 범위는 증가하지 않았다. 그리고 심상성 어린선에서는 염색이 고르게 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상기한 각화이상 질환에서 involucrin 발현이 정상 표피와는 다르게 변화되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volucrin represents a soluble precursor of the cross-linked envelope of the horny layer and may, thus, be considered as a marker of normal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The expression of involucrin has so far been studied mostly in ...

      Involucrin represents a soluble precursor of the cross-linked envelope of the horny layer and may, thus, be considered as a marker of normal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The expression of involucrin has so far been studied mostly in psoriasis and cutaneous tumors. However, in keratinizing disorders, involucrin has yet been sparsely stud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cument characteristic involucrin expression using immunoperoxidase technique in a total of 6 specimens of normal human skin and 44 specimens from a variety of keratinizing disorders including palmoplantar pustular psoriasis, pityriasis rubra pilaris, and disseminated superficial actinic porokeratosis.
      In normal human epidermis one third of the living epidermis was labelled, intracellularly.
      The diseases studied fell into two groups : diseases with greatly increased staining and diseases with normal or slightly increased staining. Two main patterns of reactivity were observed : diffuse intracellular staining and staining at cell borders. Greatly increased, cell border staining was shown in psoriasis vulgaris and palmoplantar pustular psoriasis. Greatly increased, intracellular staining was shown in pityriasis rubra pilaris. And normal or slightly increased, intracellular staining was shown in ichthyosis vulgaris, disseminated superficial actinic porokeratosis and epidermal nevi. The diseases which showed increased involucrin expression might show precocious expression because of their rapid epidermal proliferation and turnov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nvolucrin expression is altered in some keratinization disorders, and they may aid in the understanding of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and histogenesis of those disord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 Ⅱ.연구재료 및 방법
      • A.연구재료
      • B.연구방법
      • Ⅲ.결과
      • Ⅰ.서론
      • Ⅱ.연구재료 및 방법
      • A.연구재료
      • B.연구방법
      • Ⅲ.결과
      • A.정상 피부
      • B.심상선 건선
      • C.수장족저 농포성 건선
      • D.모공성 홍색비강진
      • E.심상성 어린선
      • F.파종성 표재성 광선 한공각화증
      • G.표피모반
      • Ⅳ.고찰
      • Ⅴ.결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