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전통문화의 심층 구조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 "World View of Trichotomy(1-3-9-81)" as a Deep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206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필자는 ‘하나에서 셋으로 분화되는 일련의 사유체계’를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이라고 명명하고, 이러한 사유체계가 북방 샤머니즘을 공유하고 있는 북방 민족들에게 보편적으로 ...

      필자는 ‘하나에서 셋으로 분화되는 일련의 사유체계’를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이라고 명명하고, 이러한 사유체계가 북방 샤머니즘을 공유하고 있는 북방 민족들에게 보편적으로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바 있다. 한국, 중국, 몽골 등에 다양한 형태로 남아 있는 ‘3수 분화의 세계관’의 흔적들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의 전통 음악, 무용, 신화, 전설, 민담 등 대부분의 기층문화 연구에 있어서 숫자 3이 지닌 상징성은 늘 주목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연구는 ‘숫자 3’에만 주목하였지, 그 연속선상에 있는 3, 9(3×3), 81(9×9) 등에 대해서는 주목한 사람이 거의 없었다. 이 글은 한국문화의 심층구조에 면면히 살아 있는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에 대하여 살펴보고, ‘3수 분화의 세계관의 확산’에 대한 필자의 가설을 제시하였다. 필자의 가설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1) 몽골 등 북방 소수민족의 샤머니즘 안에 보존되어 있으며 몽골리안 루트를 따라 남-북 아메리카쪽으로도 전파되었고, (2) 한반도 쪽으로는 내려오면서 선도와 풍류도 그리고 각종 민족종교에 전승되고, (3) 중국 쪽으로 남하하면서 도교, 신선사상 등에 전승되고, (4) 유목족들의 이동과 교류를 통해서 중앙아시아의 샤머니즘에 전승되고 있고, (5) 북유럽으로이 기층문화를 이루는 북유럽신화나 고대 켈트족의 드루이드교에 전승되고 있으며, (6) 기원전 2000∼1500년 대대적으로 이루어진 고대 아리안족의 남방이동으로 페르시아 지역과 인더스 문명 지역으로 전파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3수 분화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전통적인 선도, 풍류도의 사유체계가 불교와 습합되면서 독특한 신불교(神佛敎: 유동식 교수의 개념)의 모습으로 지속되어왔다.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유교가 국가 이데올로기로 자리하면서 과거의 모습들이 많이 훼손되기는 했지만, 중국에 비하면 많은 것들이 그대로 기층문화에 남아 있는 것이다. 한국 전통문화의 심층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숫자 3을 비롯한 9, 81 등의 상징성은 북방 샤머니즘의 사유체계인 ‘3수 분화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 필자의 지론이다. 그리고 이런 ‘3수 분화의 세계관’는 홍산문화 후기(B.C. 3500∼B.C. 3000)에 체계화되었다고 본다. 이런 사유체계를 바탕으로 전통문화 각 부분에 대해서 새롭게 살펴보면 필자가 미처 보지 못한 많은 흔적들이 드러날 것이라고 본다. 각 분야별로 좀 더 체계적인 연구가 뒤따르기를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have suggested ``World View of Trichotomy`` differentiating itself by keeping the very rule of ‘1-3-9-81`` way through various papers and books. ``World View of Trichotomy`` is common in Northeast Asian Shamanism. In each and every region of North...

      I have suggested ``World View of Trichotomy`` differentiating itself by keeping the very rule of ‘1-3-9-81`` way through various papers and books. ``World View of Trichotomy`` is common in Northeast Asian Shamanism. In each and every region of Northeast Asia, we can see the ``Holy Numbers 3, 9 and 81``of Northeast Asian Shamanism. For this reason, it may well be inferred that ‘World View of Trichotomy`` is the ``Mother``s Womb of Northeast Asian culture and philosophy``. ‘World View of Trichotomy`` was succeeded southward to the central China, and turned into the grassroots of Taoism and its spirit of Supreme Hermit. And this world view has also been handed down to Sundo (仙道, Korean Taoism) and other Korean national religions. On the other hand, this world view did its distinctive role in formulating the basic culture of Europe through Druidism of the Celts who were among the ancient Aryans sharing the spirit of Northeast Shamanism mostly. I am trying to explain the symbolic meaning of ``Holy Numbers (3, 9, 81)`` in detail, which is just based on ``World View oF Trichotomy``. Therefore, these symbolic meanings of 3, 9(3×3) and 81(9×9`` in Korean culture have their deepest origin in ``World View of Trichotomy`` differentiating itself by keeping the very rule of ‘1-3-9-81`` way. And that is exactly why I suggest that Korean traditional Culture cannot be explained systematically and reasonably with no consideration of ``World View of Trichotomy``and its ‘Holy Numbers (3, 9, 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