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달성광산의 자연정화처리시스템에 대한 수리지구화학적 특성 연구 = The Hydrogeochemical Study on the Passive Treatment System of the Dalseong Mi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61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assive treatment process of the acid mine drainage originated from Dalseong mine. The properties of mine drainage between prior to and after the treatment process were compared using a variety of hydrogeochemic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assive treatment process of the acid mine drainage originated from Dalseong mine. The properties of mine drainage between prior to and after the treatment process were compared using a variety of hydrogeochemical methods including field investigation, chemical and instrumental analyses, mineralogical observation, calculation of pollutant loading, correlation analysis, and property-property evaluation. The dissolved iron in the mine drainage was oxidized into the iron (oxyhydro)oxides and removed by the process. In addition, most of Cu was equestrated by the process, but 40% of Zn was not removed and discharged into the nearby stream. At a confluence with stream water, most of contaminants were removed by various chemical reactions such as oxidation, adsorption, precipitation, and coprecipitation, and finally the concentration and loading of pollutant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 in distance from the conflu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달성광산 광산배수의 자연정화처리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현장조사와 이화학 · 광물학적 분석, 오염부하량 산정, 상관성 및 특성-특성도 분석 등의 ...

      본 연구는 달성광산 광산배수의 자연정화처리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현장조사와 이화학 · 광물학적 분석, 오염부하량 산정, 상관성 및 특성-특성도 분석 등의 다양한 수리지구화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처리 전후의 광산배수 수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광산 배수 내 존재하던 용존 철은 처리시스템을 통해 산화물 형태로 제거되었으며, 구리는 수착반응에 의해 제거되었지만 아연은 40% 정도가 제거되어지지 않고 인근 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처리수와 하천수의 혼합지점에서는 산화, 흡착, 침전, 그리고 공침 등의 다양한 화학반응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오염물질들이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류수계로 갈수록 오염물질의 농도와 오염부하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대형, ""광산피해의 방지 및 복구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 한국자원공학회 43 (43): 91-96, 2006

      2 김경만, "산성광산배수 처리를 위한 기질물질로서 막걸리 슬러지 평가" 한국자원공학회 49 (49): 18-25, 2012

      3 안종만, "물리화학처리를 이용한 산성광산배수의 Fe 제거효율 연구" 한국자원공학회 47 (47): 530-538, 2010

      4 추창오, "달성폐광산 산성광산배수의 발달특징과 슈베르트마나이트의 역할" 대한지질공학회 17 (17): 187-196, 2007

      5 이지은, "달성 폐광산의 침출수 및 갱내 유출수의 수리지구화학적 특성과 비교" 대한지질학회 39 (39): 519-533, 2003

      6 정명채, "국내 휴폐금속광산의 환경오염 평가 및 향후 관리 방안" 한국자원공학회 43 (43): 383-394, 2006

      7 유경근, "광산배수처리를 위한 황산염환원균의 응용" 한국자원공학회 43 (43): 160-167, 2006

      8 김아영, "광산배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에 따른 비소 처리기술 평가" 한국자원공학회 48 (48): 145-154, 2011

      9 안종만, "광산배수 자연정화시설의 대체 기질물질 적용성 기초연구" 한국자원공학회 48 (48): 34-44, 2011

      10 Boyle, E.A, "The mechanisms of iron removal in estuaries" 41 (41): 1313-1324, 1977

      1 김대형, ""광산피해의 방지 및 복구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 한국자원공학회 43 (43): 91-96, 2006

      2 김경만, "산성광산배수 처리를 위한 기질물질로서 막걸리 슬러지 평가" 한국자원공학회 49 (49): 18-25, 2012

      3 안종만, "물리화학처리를 이용한 산성광산배수의 Fe 제거효율 연구" 한국자원공학회 47 (47): 530-538, 2010

      4 추창오, "달성폐광산 산성광산배수의 발달특징과 슈베르트마나이트의 역할" 대한지질공학회 17 (17): 187-196, 2007

      5 이지은, "달성 폐광산의 침출수 및 갱내 유출수의 수리지구화학적 특성과 비교" 대한지질학회 39 (39): 519-533, 2003

      6 정명채, "국내 휴폐금속광산의 환경오염 평가 및 향후 관리 방안" 한국자원공학회 43 (43): 383-394, 2006

      7 유경근, "광산배수처리를 위한 황산염환원균의 응용" 한국자원공학회 43 (43): 160-167, 2006

      8 김아영, "광산배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에 따른 비소 처리기술 평가" 한국자원공학회 48 (48): 145-154, 2011

      9 안종만, "광산배수 자연정화시설의 대체 기질물질 적용성 기초연구" 한국자원공학회 48 (48): 34-44, 2011

      10 Boyle, E.A, "The mechanisms of iron removal in estuaries" 41 (41): 1313-1324, 1977

      11 Hans, C.C., "Sources and mechanisms of recharge for ground water in the west-central amargosa desert, Nevada-a geochemical interpretation" U.S. Geological Survey 83-542, 1983

      12 Jeong, G.Y, "Secondary mineralogy and microtextures of weathered sulfides and manganoan carbonates in mine waste-rock dumps, with implications for heavy-metal fixation" 88 : 1933-1942, 2003

      13 Broshears, R.E, "Reactive solute transport in an acidic stream: Experimental pH increase and Simulation of contraols on pH, Sluminum, and Iron" 30 (30): 3016-3024, 1996

      14 Wang, S., "Occurrence of arsenic contamination in Canada: Sources, behavior and distribution" 366 : 701-721, 2006

      15 Ure, A.M., "Method of analysis for heavy metals in soils" Chapman and Hall 55-68, 1995

      16 Bullen, T.D, "Kinetic and mineralogic controls on the evolution of groundwater chemistry and 87Sr/86Sr in a sandy silicate aquifer, northern wisconsin, USA" 60 (60): 1807-1821, 1996

      17 Rodríguez, L, "Heavy metal distribution and chemical speciation in tailings and soils around a Pb-Zn mine in Spain" 90 (90): 1106-1116, 2009

      18 Kimball, B.A, "Evaluating remediation alternatives for mine drainage, Little Cottonwood Creek, Utah, USA" 60 : 1021-1036, 2010

      19 Runkel, R.L, "Evaluating remedial alternatives for an acid mine drainage stream: a model post audit" 46 : 340-347, 2012

      20 Liu, Y.G, "Effect of solids concentration on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mine tailings via bioleaching" 141 (141): 202-208, 2007

      21 Maurice, R.J, "Discussion of trace metals in the waters of a partially-mixed estuary" 12 (12): 251-266, 1981

      22 Kim, J.Y, "Assessment of applicability of marine shells as neutralizer for the treatment of acid mine drainage" 36 (36): 319-327, 1999

      23 Morin, G, "Arsenic in soils, mine tailings, and former industrial sites" 2 : 97-101, 2006

      24 Yu, J.Y., "Apparent solubilities of schwertmannite and ferrihydrite in natural stream waters polluted by mine drainage" 63 (63): 3407-3416, 1999

      25 Cheong, Y.W., "A treatment of acid mine drainage using the rice stalk and cow manure" 4 (4): 116-121, 1997

      26 Smedley, P.L, "A review of the source, behaviour and distribution of arsenic in natural waters" 17 (17): 517-568,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6-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 한국자원공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6-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 한국자원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19 0.278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