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적층을 통한 금속조형 표현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Metal Formative Through Lamin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923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rafts are losing the fields of production and technology that have been preserved in histor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and spread of 3D printers in recent years. About 100 years ago, Walter Benjamin, worried that art would lose its role due to the...

      Crafts are losing the fields of production and technology that have been preserved in histor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and spread of 3D printers in recent years. About 100 years ago, Walter Benjamin, worried that art would lose its role due to the development of reproduction technology, as in the present situation, argued that the value of art should be preserved through the restoration of the aura. What is the aura of art that Benjamin said, and how can it be applied to craft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esent age? Crafts are like humans. Unlike replicas, there is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material, and although it is cumbersome, there is directness in making it directly using tools. In addition, although the machine's operating time evaporates and disappears as time for production, the process of production in crafts has historical significance as a process of continuous dialogue between materials, works, and artists. As a craftsman, I would like to reinterpret the process of 3D printers to prove that crafts are different from replicas.
      Similar to how 3D printers create shapes through lamination, the process of creating shapes by stacking layers through metal is studied as follows.
      first. A study on techniques and concepts of crafts using lamination second. Comparison between mechanical lamination and craft lamination third.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lamination using welding fourth. Production of modeling works through lamination of welding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one can understand the concept of lamination and study new methods of expression of metal molding to find the possibility of craft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flow of modern art.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find the identity of craft by reinterpreting the process of 3D printer (FDM) in a craft. Its beginning was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raft in the rapid development of cloning technology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craftsmanship and aura of crafts, in contrast to machin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are the human qualities of crafts and the identity of crafts that most closely interacts with humans. If we do not establish the identity of crafts corresponding to the rapidly changing times, we will be eroded by the reproduction technology. In order for our crafts to coexist with technology and tools, we must first establish the craftsmanship and identity of craf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공예는 최근 급격화된 3D프린터의 발달과 보급으로 역사에서 지켜오던 제작과 기술의 영역을 잃어가고 있다. 약 100여 년 전, 현 상황과 마찬가지로 복제 기술의 발달로 예술이 역할을 잃어버...

      공예는 최근 급격화된 3D프린터의 발달과 보급으로 역사에서 지켜오던 제작과 기술의 영역을 잃어가고 있다. 약 100여 년 전, 현 상황과 마찬가지로 복제 기술의 발달로 예술이 역할을 잃어버릴 것을 걱정한 발터 벤야민은 아우라의 회복을 통해 예술의 가치를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벤야민이 말한 예술의 아우라란 무엇이며 그것을 공예에 적용하면 현 시대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공예는 인간과 닮아 있다. 복제품과는 다르게 재료와의 직접적인 교감이 있으며 번거롭지만 도구를 사용해 직접 제작하는 직접성이 있다. 또 기계적 적층에서 각 층은 형태를 이루기 위한 요소이자 기계가 가동된 물리적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지만, 공예에서 쌓인 각 층은 제작의 과정으로써 재료와 작품, 작가의 끊임없는 대화의 과정을 드러내며 역사성을 지닌다. 기계생산품 및 복제품과는 차별되는 공예작품에 대해 증명하기 위해 3D프린터와 같은 과정을 공예가로서 재해석하고자 한다.
      3D프린터가 적층을 통해 형태를 만드는 과정과 마찬가지로 금속을 통해 층을 쌓아 형태를 만드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연구한다.
      첫째. 적층을 활용한 공예의 기법 및 개념에 대한 연구둘째. 기계적 적층과 공예적 적층의 비교셋째. 용접을 활용한 적층의 가능성 연구넷째. 용접의 적층을 통한 조형 작품 제작일련의 과정을 통해 적층의 개념을 이해하고, 새로운 금속조형 표현 방법을 연구하여 급변하는 사회와 현대미술의 흐름 속에서 공예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3D프린터의 과정(FDM)을 공예적으로 재해석하여 수공의 가치와 공예의 정체성을 찾고자 했다. 그 시작은 복제 기술과 제작기술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공예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이었다. 기계 생산 및 복제와 대비되는 공예의 공예다움과 아우라는 곧 공예의 인간다움이며 인간과 가장 밀접하게 만나는 공예의 정체성이다. 급변하는 시대와 상응하는 공예의 정체성을 우리 스스로 확립하지 않으면 복제 기술에 침식될 것이다. 우리 공예는 기술과 도구와 공생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공예다움과 공예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호연 ; 김혜림, "헬라 용에리위스의 직물 실험에 나타난 수공의 가치 연구"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4 (24): 35-49, 2021

      2 염재철, "존재와 예술 : 하이데거 예술사상"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3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외" 도서출판 길 2007

      4 하워드 리사티, "공예란 무엇인가" 미진사 2009

      5 존 듀이,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2020

      1 김호연 ; 김혜림, "헬라 용에리위스의 직물 실험에 나타난 수공의 가치 연구"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4 (24): 35-49, 2021

      2 염재철, "존재와 예술 : 하이데거 예술사상"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3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외" 도서출판 길 2007

      4 하워드 리사티, "공예란 무엇인가" 미진사 2009

      5 존 듀이,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The Korea Association of Art&Desig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논총 -> 조형디자인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of Craft ->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학회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raft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58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