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1894年 日本軍의 東學農民軍 虐殺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315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Sino-Japanese War of 1894-5 as the fighting between the Chinese and the Japanese military on the Choson territory and Lushun(旅順) of China got fierce the Donghak Peasant Army(東學農民軍) was mass slaughtered for the attack on the Ja...

      During the Sino-Japanese War of 1894-5 as the fighting between the Chinese and the Japanese military on the Choson territory and Lushun(旅順) of China got fierce the Donghak Peasant Army(東學農民軍) was mass slaughtered for the attack on the Japanese rear base in Chosen.
      The Japanese General Military Headquarter instructed the mass slaughter of the Donghak Peasant Army as it was the biggest obstacle for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kingdom of Choson. The Japanese commander in chief ordered his men to shoot to kill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try to put the blame to the Choson official troops as the number of death toll was exceptionally high.
      The final death toll was purposefully reduced by the Japanese Army for the popular unrest. Tens of thousands were massacred in the Chungcheong(忠淸) Jeolla(全羅) Gyeongsang(慶尙) Gyeonggi(京畿) Gangwon(江原) and Whanghae-Do(黃海道) provinces and thousands of prisoners were executed. The worst-affected area was the south Jeolla province.
      Even a conservative estimate suggest over 50 thousand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were killed. In comparison 10 Japanese soldiers were officially killed during entir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東學農民革命).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東學農民軍 虐殺 責任과 鎭壓 樣相
      • Ⅲ. 日本軍의 東學農民軍 虐殺 規模
      • Ⅳ. 맺음말
      • Abstract
      • Ⅰ. 머리말
      • Ⅱ. 東學農民軍 虐殺 責任과 鎭壓 樣相
      • Ⅲ. 日本軍의 東學農民軍 虐殺 規模
      • Ⅳ. 맺음말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무악실학회 -> 역사실학회
      영문명 : Mooak Silhakhoe : The Historical Society Of Mooak Silhak -> Yeoksa Silhakhoe: The Historical Society of Yeoksa Silhak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9 1.438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