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수술적 접근으로 치료한 식도 점막하종양의 임상적 고찰 = Clinicopathologic Feature of Esophageal Submucosal Tumors Treated by Surgical Approach수술적 접근으로 치료한 식도 점막하종양의 임상적 고찰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저자들은 식도 점막하종양을 수술로 치료한 예를 분석 하고 과거 보고와 비교하여 국내에서의 식도 점막하종양의 특 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향후 방침을 세우는 데 참고하고자 하였...

      목적: 저자들은 식도 점막하종양을 수술로 치료한 예를 분석 하고 과거 보고와 비교하여 국내에서의 식도 점막하종양의 특 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향후 방침을 세우는 데 참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특별시보라매병 원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식도 점막하종양을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받은 18예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48.9세였고, 남녀 비는 2.6:1였고, 대부분 무증상(77.8%)이었다. 대부분은 중부(55.6%)와 하부 식도(44.4%)에 위치하였고, 크기는 3-5 cm (55.6%)과 3 cm 이하(33.3%)인 경우가 많았다. 내시경초음파에서 병변은 대 부분 네번째 층(83.3%)에 존재하였고, 저에코 (72.2%)로 관찰 된 경우가 많았으며, 고에코 (11.1%) 또는 혼재된 에코(11.1%) 로 관찰된 경우도 있었다. 평활근종으로 진단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55.6%), 수술을 시행한 이유는 악성이 의심되거나 (38.9%) 병변의 크기가 큰 경우(33.3%) 및 크기 증가(11.1%) 등이었다. 수술은 대부분 흉강경을 이용한 적출술(83.3%)을 시행하였고, 병변의 평균 크기는 5.4 cm였으며, 6-10 cm 사 이인 경우(38.9%)가 가장 많았고, 3-5 cm 사이인 경우 (33.3%)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 최종 진단은 평활근종이 대부 분이었고(88.9%), 나머지는 위장관 기질종양(11.1%)이 차지 하였다. 결론: 식도 점막하종양은 평활근종이 가장 흔하였으나, 내시 경초음파로 위장관 기질종양과의 감별이 매우 어려웠다. 악성 이 의심되거나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흉강경을 이용한 최 소 침습 수술이 치료에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Aims: Submucosal tumors of the esophagus are rare lesions among all esophageal neoplas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esophageal submucosal tumors treated by surgical approach. Methods: We ana...

      Background/Aims: Submucosal tumors of the esophagus are rare lesions among all esophageal neoplas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esophageal submucosal tumors treated by surgical approach. Methods: We analyzed the clinicopathologic and endoscopic ultrasonographic features of 18 esophageal submucosal tumors which were treated by surgical approach at Boramae Medical Center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from January 2005 to June 2012. Results: The mean age was 48.9 years old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2.6:1. Asymptomatic patients were most common (77.8%). In endoscopic ultrasonographic finding, the majority tumor arouse in the middle (55.6%) and lower (44.4%) esophagus, and appeared as hypoechoic lesion (72.2%) in the 4th layer (83.3%). The most common indication for surgical approach was unclear biological behavior of the tumor. Minimally-invasive technique using thoracoscopy was applied for the enucleation (83.3%). The mean diameter of the tumor was 5.4 cm, and the final diagnosis was leiomyoma (89.9%) and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11.1%). Conclusions: Leiomyoma was the most common submucosal tumor in esophagus. However, endoscopic ultrasonography was not able to differentiate between leiomyoma and gastrointesinal stromal tumor. For more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minimally-invasive approaches may be suitable for the surgical enucleation of indicated esophageal submucosal tumo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