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어와 문화 메커니즘 = Language and The Mechanism of Culture: Focusing on the Lotman's Poetic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연언어가 약속된 기호체계에 불과하기 때문에 대상 그 자체 혹은 그 본질을 고스란히 대신할 수는 없다는 사실은 이제 상식에 속한다. 말은 사물 그 자체가 아니며, 그래서 말이 전달하는 ...

      자연언어가 약속된 기호체계에 불과하기 때문에 대상 그 자체 혹은 그 본질을 고스란히 대신할 수는 없다는 사실은 이제 상식에 속한다. 말은 사물 그 자체가 아니며, 그래서 말이 전달하는 내용 자체는 일종의 가상적인 것이다. 이러한 자연언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문학은 자연언어를 토대로 생성되는 2차 모델링 체계(secondary modeling system)로서의 언어를 사용한다. 자연언어 또는 일차언어(primary language)와 이차언어(secondary language) 사이의 복잡한 상호관계 중에서 중요한 점은 문학텍스트에서 사용되는 2차 모델링 체계의 언어가 기본적으로 자연언어에 그 기
      반을 두고 있다는 사실이다. 또한 문학텍스트에서 사용되는 말은 그 내용과 표현이 조건적으로 같아야 하는 자연언어의 요건을 충족시키면서도, 동시에 같지 않아야 하는 이율배반적 속성을 지니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문화의 형성에 있어서 언어는 수동적인 구성 인자(dominant)가 아니다. 언어는 여러 세기에 걸친 문화적 과정의 산물이다. 이러한 자연
      언어는 각 민족 문화의 지배적인 인자의 하나이기 때문에 언어학적 모델은 각각의 민족이 갖는 인식 정도를 규정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민족 언어가 2차 모델링 체계에 미치는 영향은 분명하다. 문학, 특히 시에 있어서 민족의 언어는 특히 중요하다. 한편 문화는 구조적 다양성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다시 말해서 구조적 자동성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나타남과 동시에 구조적 통일성을 필요로 한다. 로트만은 인류의 문화에 나타나는 역동성을 이러한 문화 메커니즘의 이율배반적 기능으로 파악하고 있다. 본고는 로트만이 정의하는 1차 모델링 체계인 자연언어와 2차 모델링 체계인 시적언어와의 관계 조망을 통해서 문화 메커니즘의 이와 같은 이율배반적 특성을 선행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기호학적 체계를 두 가지 유형 즉 일차적 정보를 지향하는 체계와 이차적 정보를 지향하는 체계로 구분한다면,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예술텍스트는 이차적 정보를 지향하는 전형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단일하고 복잡한 기호학적 전체인 문화는 이율배반의 복잡한 관계에 놓여있는 이 두 가지 체계의 구조적 긴장 속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보다 본격적인 문화기호학 관련 이론과 이를 원용한 구체적인 문화분석은 다음 논문의 과제로 남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a common sense that it is impossible for a natural language to represent its essence itself because it is merely an agreed upon sign system. Words are not an object in of themselves so what they convey is hypothetical. We have come to believe th...

      It is a common sense that it is impossible for a natural language to represent its essence itself because it is merely an agreed upon sign system. Words are not an object in of themselves so what they convey is hypothetical. We have come to believe that literature can overcome this limit of natural language because it uses a secondary modeling system based on natural language.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 the complicated mutual relations between a natural language or a primary language and a secondary language is the fact that the language of a secondary modeling system which is used in a literal context is fundamentally based on natural language. Furthermore, it is noticeable that language in a literal context is antinomic in that it can satisfy the condition of a natural language in which its meaning and expressions are the same,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different. In the formation of culture, a language is not a passive element but a product of a dynamic process over several centuries. Linguistic model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we can understand each nation because a natural language is one of its dominant elements. It is clear that the language of a nation has an affect on the secondary modeling system and it is very important in interpreting its literature and especially its poetry. Lotman realizes the dynamics in culture through the function of antinomy as a mechanism of culture. Culture not only increases the capacity of structural variety, in other words, it not only overcomes automaticity, it also needs a structural unity. This paper surveys the characteristics of antinomy in the mechanism of cultur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a natural language, a primary modeling system and a poetic language, a secondary modeling system, defined by Lotman. If the system of semiotics is divided into two; a system pointed to primary information and another system pointed to secondary information. The artistic text in this paper is a prototypical case of a system pointed to secondary information. Culture as a whole is a simple yet complicated semiotics which needs to be understood in the tension of an antinomic struc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개요
      • 1. 들어가는 말
      • 2. 재료로서의 언어와 텍스트 구조의 정보성
      • 3. 산문과 이율배반의 텍스트 구조
      • 4. 시와 이율배반
      • 국문 개요
      • 1. 들어가는 말
      • 2. 재료로서의 언어와 텍스트 구조의 정보성
      • 3. 산문과 이율배반의 텍스트 구조
      • 4. 시와 이율배반
      • 5. 맺는 말
      • 참 고 문 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훈, "현대문화와 문화철학"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8 : 1998

      2 김승희, "코라기호학과 한국시:탈구조주의로 한국시 읽기" 서강대학교출판부 2008

      3 가라타니 고진, "은유로서의 건축: 언어, 수 , 화폐" 한나래 1998

      4 가라타니 고진, "언어와 비극" 도서출판 b 2004

      5 조용훈, "문화기호학으로 읽는 문학과 그림" 효형출판 2004

      6 로만 야꼽슨, "문학속의 언어학" 문지사 1987

      7 미셸 푸코, "말과 사물" 민음사 1995

      8 볼프강 레프만, "릴케" 책세상 1997

      9 유리 로트만, "기호계: 문화연구와 문화기호학" 문학과지성사 2008

      10 Б.А.Успенский,Влияние языка на религиозное сознание, "т Ⅲ.Уч.зап.Тартуского гос.ун-та"

      1 이훈, "현대문화와 문화철학"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8 : 1998

      2 김승희, "코라기호학과 한국시:탈구조주의로 한국시 읽기" 서강대학교출판부 2008

      3 가라타니 고진, "은유로서의 건축: 언어, 수 , 화폐" 한나래 1998

      4 가라타니 고진, "언어와 비극" 도서출판 b 2004

      5 조용훈, "문화기호학으로 읽는 문학과 그림" 효형출판 2004

      6 로만 야꼽슨, "문학속의 언어학" 문지사 1987

      7 미셸 푸코, "말과 사물" 민음사 1995

      8 볼프강 레프만, "릴케" 책세상 1997

      9 유리 로트만, "기호계: 문화연구와 문화기호학" 문학과지성사 2008

      10 Б.А.Успенский,Влияние языка на религиозное сознание, "т Ⅲ.Уч.зап.Тартуского гос.ун-та"

      11 Якобсон Р, "Язык и бессознательное,М"

      12 Д. Дюришин, "Теория сравнительного изучения литературы"

      13 Лотман Ю, "Стуруктура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текста" Brown University Press 1971

      14 А.Пушкин,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15 Л.Толстой,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16 В.Касторский,Поэтика Романа Толстого, "Новосибирск"

      17 "Литературное обозрение"

      18 Лотман Ю, "Культура и взрыв"

      19 Ю. Тынянов Поэтика, "История литературы"

      20 Пропп, "Исторические корни вольшебной сказки"

      21 Лотман Ю, "Избранные статьи в трех томах, Таллинн"

      22 Лотман Ю, "Анализ поэтического текста"

      23 Jakobson R, "Lingusitcs and Poetics // Selected writings Ⅲ Poetry of Grammar and Grammar of Poetr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
      2013-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5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