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대 울산 중산동 지배집단의 성격 = The Character of Ulsan Joongsan-dong politic group in anci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88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eographical position of Joongsan-dong, Ulsan located in enterace to Gyeongju in ancient. It has been connected with Jookdong-ri, Goojeong-dong, Choyang-dong toward center of Gyeongju. These areas had been formed in not only close relationship on ...

      The geographical position of Joongsan-dong, Ulsan located in enterace to Gyeongju in ancient. It has been connected with Jookdong-ri, Goojeong-dong, Choyang-dong toward center of Gyeongju. These areas had been formed in not only close relationship on common cultural foundation but geographical contiguity. It's difference for character each period that have been indicated changing pattern of graves and burial remains to the Joongsan-dong politic group. We've got to know social structure arranging ranked to make an observation on burial remains even though it's poorer than Jookdong-ri, Choyang-dong politic group in step for wooden chamber tomb. The arranging rank had been subdivided to close the main strength.
      It had been become on an equal footing between Joongsan-dong and it's around region in step for wooden chamber tomb. It was difference to burial remains that those are various kinds of arms and horse trappings, tools, earthenwares etc. each square of grave hollow had been buried in the tomb. The remains were mostly represented ornament, religious meaning strongly. Joongsan-dong politic group had been become the main strength from wooden chamber tomb step that square form were too lengthy. Each politic groups had started to organize itself for specialization.
      It had been promoted social specialization from increasing iron arms, tools standed as a symbol for armed strength, production capacity in surrounded stone-type wooden chamber tomb step. All pattern of graves that those are surrounded stone-type, pure, filed stone-type of wooden chamber tomb and stone chamber tomb have been coexisted in Joongsan-dong politic group. The pattern of graves had been selected variously for character of governing classes. It's difference volume of that those are flat form of grave, square of grave hollow, burial remains for each politic status. The Joongsan-dong politic group had been changed volume and flat form of grave, burial remains etc. as 5th century that the group had been started to govern from the Gyeongju direct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울산 중산동은 경주 구어리와 죽동리, 구정동, 조양동을 거쳐 신라 중심부로 들어가는 관문에 위치한다. 이들 지역은 입지적인 특성과 공통된 문화 기반 위에서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

      울산 중산동은 경주 구어리와 죽동리, 구정동, 조양동을 거쳐 신라 중심부로 들어가는 관문에 위치한다. 이들 지역은 입지적인 특성과 공통된 문화 기반 위에서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중산동 지배집단은 묘제의 변화양상과 부장유물을 통하여 볼 때, 시기별로 성격을 조금씩 달리한다. 목관묘 축조기에는 주변의 죽동리나 조양동에 비하여 약세를 보이지만 부장유물을 통하여 서열화된 사회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서열화는 중심세력에 가까울수록 세분되어 있다.
      순수목곽묘 축조기에는 중산동과 주변지역 사이에서 대등한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무기와 마구, 농공구, 토기 등이 부장되며, 묘광의 면적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유물은 대부분 장식과 의기성이 강하게 반영되었다. 중산동 지배집단은 세장방형 순수목곽묘를 축조하면서부터 중심세력으로 부상한다. 각 지역집단은 자체적으로 지배조직을 갖추며, 성층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위석목곽묘 축조기에는 철제무기 및 농공구를 바탕으로 한 군사력과 생산력의 증대로 사회분화가 가속화된다. 위석목곽묘와 순수목곽묘, 적석목곽묘, 석곽묘 등이 모두 공존하며, 지배집단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채용된다. 평면형태, 묘곽의 면적, 부장유물의 종류가 지위별로 차이를 보인다. 중산동 지배집단은 신라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5세기 무렵부터 분묘의 규모와 평면형태, 부장유물 등에 제약을 받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하삼정고분군Ⅱ-4차 지도위원회의 및 현장설명회 자료-"

      2 權龍大, "울산 중산동 고분군" 영남지역문화재 조사연구기관협의회 2009c

      3 울산문화재연구원, "울산 북구 중산동 568-7 단독주택 신축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9b

      4 울산문화재연구원, "울산 북구 중산동 542번지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9a

      5 권용대, "영남지방 위석목곽묘의 구조적 특징과 성격"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4) : 157-201, 2008

      6 권용대, "경주지역 적석목곽묘 조영집단의 성층화와 지배구조"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7) : 5-55, 2009

      7 권용대, "경주식 적석목곽묘의 구조복원 재고" 국립문화재연구소 42 (42): 66-87, 2009

      8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외동읍 북토리 55-1번지 일원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9

      9 黃尙周, "隍城洞古墳群"

      10 黃昌漢, "蔚山雲化里古墳群"

      1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하삼정고분군Ⅱ-4차 지도위원회의 및 현장설명회 자료-"

      2 權龍大, "울산 중산동 고분군" 영남지역문화재 조사연구기관협의회 2009c

      3 울산문화재연구원, "울산 북구 중산동 568-7 단독주택 신축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9b

      4 울산문화재연구원, "울산 북구 중산동 542번지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9a

      5 권용대, "영남지방 위석목곽묘의 구조적 특징과 성격"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4) : 157-201, 2008

      6 권용대, "경주지역 적석목곽묘 조영집단의 성층화와 지배구조"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7) : 5-55, 2009

      7 권용대, "경주식 적석목곽묘의 구조복원 재고" 국립문화재연구소 42 (42): 66-87, 2009

      8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외동읍 북토리 55-1번지 일원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9

      9 黃尙周, "隍城洞古墳群"

      10 黃昌漢, "蔚山雲化里古墳群"

      11 金度憲, "蔚山孝門洞栗洞遺蹟Ⅱ"

      12 양상현, "蔚山大安里遺蹟"

      13 한국문화재보호재단, "蔚山圈 廣域上水道(大谷댐) 事業 編入敷地內 4次 發掘調査-1차 指導委員會 및 現場說明會 資料-"

      14 權龍大, "蔚山中山洞547-1遺蹟"

      15 崔守亨, "蔚山中山洞543遺蹟 in 蔚山玉洞遺蹟"

      16 서영남, "蔚山下垈遺蹟-古墳Ⅱ"

      17 李在賢, "蔚山下垈遺蹟-古墳Ⅰ"

      18 이성주, "蔚山 茶雲洞遺蹟과 中山里遺蹟의 木棺墓와 木槨墓 in 三韓의 마을과 무덤" 2000

      19 兪炳一, "蔚山 茶雲洞遺蹟" 1996

      20 兪炳一, "蔚山 茶雲洞 바 區域 遺蹟"

      21 兪炳一, "蔚山 茶雲洞 마 區域 遺蹟"

      22 김형곤, "蔚山 茶雲洞 遺蹟Ⅱ"

      23 김형곤, "蔚山 中山里遺蹟Ⅱ"

      24 김형곤, "蔚山 中山里遺蹟Ⅰ"

      25 李盛周, "蔚山 中山里遺蹟 發掘을 通하여 본 新羅墓制의 起源" 1992

      26 김수남, "蔚山 下三亭遺蹟ㆍ芳里 甕器窯址"

      27 박강민, "蔚山 下三亭 古墳群Ⅰ"

      28 吳光燮, "縱長板甲의 鳥裝 in 영혼의 전달자"

      29 李盛周, "木棺墓에서 木槨墓로-蔚山 中山里遺蹟과 茶雲洞遺蹟에 대한 檢討" 東國大學校 新羅文化硏究所 (14) : 1997

      30 李盛周, "新羅式 木槨墓의 展開와 意義" 韓國考古學會 1996

      31 金亨坤, "新羅式 土壙木槨墓의 檢討-中山里遺蹟을 中心으로-" 昌原大學校 史學會 3 : 1997

      32 崔秉鉉, "新羅 積石木槨墳의 起源 再論" 崇實大學校 史學會 (12) : 1998

      33 朴升圭, "慶州舍羅里遺蹟Ⅱ-木棺墓, 住居址-"

      34 김수남, "慶州 隍城洞 遺蹟Ⅱ-江邊路 3-A工區 開設區間內 發掘調査 報告書" 韓國文化財保護財團 2005

      35 김수남, "慶州 隍城洞 遺蹟Ⅰ-강변로 개설구간 보고서" 韓國文化財保護財團 2003

      36 강봉원, "慶州 隍城洞 古墳群Ⅲ"

      37 國立慶州博物館 學藝硏究室, "慶州 隍城洞 古墳群Ⅱ-513ㆍ545番地-"

      38 한도식, "慶州 隍城洞 575番地 古墳群"

      39 朴升圭, "慶州 舍羅里遺蹟Ⅲ-木槨墓ㆍ甕棺墓-"

      40 尹炯元, "慶州 竹東里 古墳群"

      41 정성희, "慶州 朝陽洞 遺蹟Ⅱ"

      42 한도식, "慶州 德泉里遺蹟Ⅲ"

      43 한도식, "慶州 德泉里遺蹟Ⅱ-木棺墓-"

      44 崔聖愛, "慶州 九政洞 古墳"

      45 權龍大, "後期加耶 石槨墓 硏究" 湖南文化財硏究院 (6) : 2006

      46 권용대, "平面 'ㅏ'字形 主副槨式 墳墓의 築造背景과 意味"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2) : 53-82,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2 1.798 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