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창업환경인식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역량의 매개효과 =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69341

      • 저자
      • 발행사항

        천안 :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 경영학과 교육관리 , 2021. 6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형태사항

        121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전수경

      • UCI식별코드

        I804:44021-200000576557

      • 소장기관
        • 남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China, the number of university graduates is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the rapid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As of 2020, the number of Chinese university graduates reached 8.74 million, the highest ever. In this environment of higher ...

      In China, the number of university graduates is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the rapid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As of 2020, the number of Chinese university graduates reached 8.74 million, the highest ever. In this environment of higher education, entrepreneurship is one of the main policies that China is pursuing to revitalize the government as a whole. The Chinese government's start-up policy can be summarized as increasing investment in start-ups and providing policy and financial subsidies to start-ups to foster the power to encourage entrepreneurship in society. In the new socio-economic environment, it has become an important task for university students to improve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research model focusing on factors and theories that influence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rough the literature analysis,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risk-taking tendency and achievement desire),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government support, university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the entrepreneurial competence(creativ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ies) were selected as the factors to affe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to acheive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Questions 1. What are the overall trends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Question 2. Are there differences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ccording to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gender, single child, residence, academic background, etc.)?
      Question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3-1.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3-2. What factors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risk-taking tendency and achievement desir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government support, university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3-3.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3-4. Is there a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6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H1: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have a direct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H2: College students' creative competence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H3: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H4: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have a direct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H5: College students' creative competence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H6: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in February 2020 targeting 421 students at W University located in Shandong Province, China,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re verified and confirmed. The confirmed measurement tools include 4 items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Scale(Cronbach's α=0.905); 7 items for the creativity competence(Cronbach's α=0.950) and 11 items for the communication competence(Cronbach's α=0.958) in the Entrepreneurial Competence Scale; 4 items for the achievement desire(Cronbach's α=0.877) and 3 items for the risk-taking tendency(Cronbach's α=0.827) in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cale; 7 items for the government support(Cronbach's α=0.967), 8 items for the financial support(Cronbach's α=0.940), and 8 items for university support (Cronbach's α=0.939) in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This survey was conducted as an online survey from March to April 2020 and 1,73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1,717 copies were collected, showing a collection rate of 98.1%.
      For the finally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mean, standard deviation, kurtosis and skewness to see the overall trend, and Pearson correlation was performed for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Lastly, structural equation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ootstrapping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research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were found to be high in general. Among them, achievement desire was the highest, and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financial support) was the lowest. Skewness and kurtosis showed that the main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satisfied the normal distribution assumption.
      Second, males, only children, first-year students, students familiar with government policies and school policies, and students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s have higher levels of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creativity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entrepreneurial inten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sonality characteristics (risk-taking tendency, achievement desir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government support, university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creativity.
      Fourth,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them, creative competency has the largest influence, followed by communication competency, entrepreneurial intention,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Fifth, hypothesis 1 was adopted and hypothesis 4 was rejected because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directly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did not directly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Sixth,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while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because they were sampled only at one university in Chin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when conducting programs and undergraduate education to improv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Keyword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Structural Equality Modeling, Mediating Eff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은 고등교육의 급속한 팽창으로 매년 대학 졸업생 수가 급증하고 있는 바, 2020년을 기준으로 볼 때, 중국 대졸자수는 874만 명에 이르고 이는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고등...

      중국은 고등교육의 급속한 팽창으로 매년 대학 졸업생 수가 급증하고 있는 바, 2020년을 기준으로 볼 때, 중국 대졸자수는 874만 명에 이르고 이는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고등교육의 환경에서 창업은 중국이 범정부적으로 활성화하고자 추진하고 있는 주요 정책 중 하나이다. 중국정부의 창업 정책 기조는 창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창업자에 대한 정책 및 재정적 보조를 실시하여 사회에 창업을 장려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대학에서는 새로운 사회경제적 환경에서 대학생들의 창업의지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모델을 구축하고 이러한 변인간의 관계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위험을 감수하는 성향과 성취욕구를 구성요인으로 하는 성격특성과 정부와 대학, 그리고 재정적 창업지원정책에 대한 창업환경인식도, 그리고 창의역량과 의사소통역량을 중심으로 한 창업역량이 창업의지를 향상시키는 데 어떠한 역할을 하는 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창업의지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대학생의 개인배경변인(성, 외동여부, 거주지, 학력 등)에 따라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창업의지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창업의지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창업의지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2 . 대학생의 성격특성(성취욕구, 위험감수성향), 창업환경인식도(정부지원, 재정지원, 학교지원),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중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3-3.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과 창업의지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3-4.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창업환경인식도와 창업의지 간에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3번과 연구문제 4에서 설정한 대학생의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과 창업의지 간의 구조관계 및 창업역량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서 설정한 가설 6개는 다음과 같다.
      H1: 대학생의 성격특성은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대학생의 창의역량은 성격특성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H3: 대학생의 의사소통역량은 성격특성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H4: 대학생의 창업환경인식도는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5: 대학생의 창업역량의 창의역량은 창업환경인식도와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H6: 대학생의 창업역량의 의사소통역량은 창업환경인식도와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 산동성에 위치한 W종합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421명을 대상으로 2020년 0월에 예비조사를 하고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확정하였다. 확정된 측정도구로는 창업의지척도 4문항(Cronbach's α=0.905), 창업역량척도에는 창의역량 7문항(Cronbach's α=0.950), 의사소통역량 11문항(Cronbach's α=0.958), 성격특성 척도에는 성취욕구가 4문항(Cronbach's α=0.877), 위험감수성향이 3문항(Cronbach's α=0.827)으로, 창업환경인식도는 정부지원이 7문항(Cronbach's α=0.967), 재정지원이 8문항(Cronbach's α=0.940), 학교지원이 8문항(Cronbach's α=0.939)으로 구성되었다. 본 조사는 2020년 0월-0월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1,730부를 배포하고 1,717부를 회수하여 98.1%의 회수율을 보였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자료는 전반적인 경향성을 보기 위해서 평균, 표준편차, 첨도와 왜도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서 Pearson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서 Stepwise 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과 창업의지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은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창업의지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성취욕구가 가장 높았고, 재정지원에 대한 창업환경인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왜도와 첨도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주요 변수가 정규분포 가정을 충족시키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남성, 외동, 1학년 학생, 정부정책과 학교정책에 익숙한 학생과 창업의향이 있는 학생은 더욱 높은 수준의 창업환경인식도, 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과 창업의지를 가진다.
      셋째, 창업의지는 성격특성(위험감수성향, 성취욕구), 창업환경인식도(정부지원, 학교지원, 재정지원),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 창의역량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개인의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의역량과 의사소통역량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친다. 그 중에서 창의역량의 영향력이 가장 크고 그 다음은 의사소통역량, 창업의향, 창업환경인식도, 개인의 성격특성이다.
      다섯째, 대학생들의 성격특성은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창업환경인식도는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 해서 가설 1은 채택, 가설 4는 기각되었다.
      여섯째, 창의역량과 의사소통역량은 성격특성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으며, 창의역량과 의사소통역량은 창업환경인식도와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의 한 대학에서만 표집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일반화의 한계점을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의 창업의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과 학부교육을 실시할 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키워드: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 창업의지, 구조모형검증, 매개효과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5
      • Ⅰ. 서론 1
      •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창업의지 5
      • 2. 성격특성 8
      • 3. 창업환경인식도 11
      • 4. 창업역량 14
      • 5. 선행연구 분석 18
      • 가. 성격특성과 창업의지의 관계 18
      • 나. 성격특성, 창업의지, 창업역량의 관계 19
      • 다. 창업환경인식도와 창업의지의 관계 19
      • 라.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의지, 창업역량의 관계 20
      • III. 연구방법 22
      • 1. 연구모형 22
      • 2. 연구가설 22
      • 3.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 4. 측정도구 26
      • 5. 자료분석 38
      • IV. 연구결과 39
      • 1. 주요 변인의 전반적인 경향성 39
      • 2. 개인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 40
      • 3. 연구변인의 관계분석 58
      • 가.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 58
      • 나. 주요 변인의 다중회귀 59
      • 다. 주요 변인의 구조관계 60
      • 라. 매개효과 검증 73
      • V. 요약, 결론 및 제언 78
      • 1. 요약 78
      • 2. 결론 81
      • 3. 제언 83
      • 참고문헌 86
      • 부 록 1. 중국어 설문지 95
      • 부 록 2. 한국어 설문지 99
      • 국문초록 103
      • ABSTRACT 1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