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논문 : 기술의 존재론적 담론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모색 -도구 중심에서 시스템 중심으로- = Reflection on ontological discourse on technology and New approach -conceptual transition from an instrument to a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5882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현상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기술의 존재론적 담론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의 문제점 특히 20세 후반에 등장한 첨단기술의 특성들과 견주어 어떤 부분들이 미흡한지를 ...

      본 논문에서는 현상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기술의 존재론적 담론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의 문제점 특히 20세 후반에 등장한 첨단기술의 특성들과 견주어 어떤 부분들이 미흡한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가장 심각한 문제로 기술에 관한 현상학적인 존재론 담론이 기술의 존재적 외연을 도구에 한정하는 도구 중심적 관점에서 있음으로 해서, 그리고 기술 결정론적 성향이 강함으로 해서, 오늘날 기술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근본적인 수준의 다양한 문제들을 포괄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지적할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현대기술에 대해 우리가 언급할 수 있는 다양한 존재적 외연들로 무엇이 있는지 분석한 다음, 이에 근거하여 기술의 존재적 외연을 도구에서 시스템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개념적 수준에서 모색해 볼 것이다. 이는 기술을 시스템으로 본 두 입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현대기술의 존재적 외연이 이렇게 확장될 수 있다면 이에 기초한 기술의 존재론적 본질에 관한 논의 역시 달라질 수밖에 없고, 달라져야 할 것이다. 그런 연유로 시스템에로의 기술 외연의 확장은 이후 기술의 새로운 존재론 담론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나의 중요한 동기 또는 토대가 될 것이라 기대해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first of all, I will examine concretely main arguments of phenomenologistic ontological discourse on technology and criticize its difficulties and limits especially in comparison with actual characteristics of high-technologies in the l...

      In this paper, first of all, I will examine concretely main arguments of phenomenologistic ontological discourse on technology and criticize its difficulties and limits especially in comparison with actual characteristics of high-technologies in the late 20th century. And then I would point out that the serious problems with this phenomenologistic discourse are caused by narrow confinement of an ontic denotation of technology to a materialized instrument as well as by a tendency of technical determinism. Because of them the phenomenologistic attempts fail to cover main ontological issues related to high-technologies properly. As one way to solve it, I will suggest a variety of ontic denotations of technology except a instrument, and on the basis of analyses of them I will als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extension of ontic denotation of technology carefully from an instrument into a technical system. If successful, technology will get another ontological meaning different from the phenomenologistic one. It will be performed through the analysis of two different views of technical system. This new concept, technical system, is expected to be a base or motive for constructing a new ontological discourse on high-technolog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상, "현대기술의 본질:도발과 닦달(2)" 1992

      2 이기상, "현대기술의 본질:도발과 닦달(1)" 1992

      3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1998

      4 마르틴 하이데거, "기술과 전향" 현대기술의 극복과 전향 1993

      5 Mitcham, C, "Thinking through the Technology: The Path between Engineering and Philosophy"

      6 Ellul,J, "The Technological System, English Version trans" J. Neugroschel 1980

      7 Skolimowski, H, "The Structure of Thinking in Technology" 7 (7): 1966

      8 Feenberg, A, "The Ontic and the Ontological in Heidegger’s Philosophy of Technology: Response to Thomson" 43 : 2000

      9 Mumford, L, "The Myth of the Machine, New York"

      10 Kroes, P.A, "Technological Explanations: The Relation between Structure and Function of Technological Object" 3 (3): 1998

      1 이기상, "현대기술의 본질:도발과 닦달(2)" 1992

      2 이기상, "현대기술의 본질:도발과 닦달(1)" 1992

      3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1998

      4 마르틴 하이데거, "기술과 전향" 현대기술의 극복과 전향 1993

      5 Mitcham, C, "Thinking through the Technology: The Path between Engineering and Philosophy"

      6 Ellul,J, "The Technological System, English Version trans" J. Neugroschel 1980

      7 Skolimowski, H, "The Structure of Thinking in Technology" 7 (7): 1966

      8 Feenberg, A, "The Ontic and the Ontological in Heidegger’s Philosophy of Technology: Response to Thomson" 43 : 2000

      9 Mumford, L, "The Myth of the Machine, New York"

      10 Kroes, P.A, "Technological Explanations: The Relation between Structure and Function of Technological Object" 3 (3): 1998

      11 Ihde, D, "Technics and Praxis: A Philosophy of Technology" Boston 1979

      12 Sage, A.P, "Systems Engineering" NY: Wiely 1992

      13 Spengler,O, "Spengler,O., 1931, Man and Technics: A Contribution to the a Philosophy of Life, English Version trans. C.F.Atkinson(1932), New York"

      14 Hughes, T.P, "Rescuing Prometheus, NY"

      15 Ropohl, G, "Philosophy of Socio-Technical Systems" 4 (4): 1999

      16 Hughes, T.P, "Hughes, T.P., 1987, “The Evolution of Large Technological Systems,” Wiebe E. Bijker, Thomas P. Hughes, and Trevor J. Pinch (eds.),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ical Systems: New Directions in the Sociology and History of Technology, Cambridge, Mass"

      17 Heidegger, M, "Heidegger, M, 1954, “The Question concerning Technology”, English Version in The Question concerning Technology and Other Essays, trans. W. Lovitt (1977), San Francisco"

      18 Thomson, I, "Heidegger on Ontotheology"

      19 Ihde, D, "Existential Technics"

      20 Kroes,P.A, "Dual Nature of Technical Artifacts, Netherlands Organiz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The Hague"

      21 Ihde, D, "Consequences of Phenomenology"

      22 Heidegger, M, "Being and Time, English Version trans" J. Macquarrie and E.Robinson 1927

      23 Lenk, H, "Advances in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New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technologies" 4 (4): 1998

      24 Bunge, M, "Action" Scientific Research 196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0-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semiannually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 EPOCH AND PHILOSOPHY -A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2 1.3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