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 태권도 품새 선수들의 스포츠목표성향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64678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2014. 8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The) effect of sports goal orientation on performance in college Taekwondo Poomsae players

      • 형태사항

        v, 61 p.; 26 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황규영
        참고문헌 : p. 44-54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 태권도 품새 경기 선수를 중심으로 그들의 스포츠목표성향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의 4년제 대학 소속 남...

      본 연구는 대학 태권도 품새 경기 선수를 중심으로 그들의 스포츠목표성향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의 4년제 대학 소속 남녀 대학생 태권도 품새 경기 선수 355명을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개인적 특성으로 성별ㆍ학년ㆍ경력ㆍ입상 등 4개의 변인을 배경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스포츠 목표성향으로 수행접근ㆍ수행회피ㆍ숙달접근ㆍ숙달회피 4개의 변인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경기력은 과제지속의 단일요인으로 종속변인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척도에 의한 구조화된 설문지 형태의 조사도구를 활용하여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의 대학교 남녀 품새 경기 선수들에게 직접 설문지를 배포하고,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목표성향의 차이 검증 결과, 스포츠목표성향의 하위 영역인 수행접근, 수행회피, 숙달접근, 숙달회피는 성별, 학년, 입상,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학년에 따른 차이 검증에서 스포츠목표성향의 하위 영역 중 수행접근은 1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학년 집단과 3학년/4학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과제지속성의 차이 검증 결과, 성별, 학년, 입상,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스포츠목표성향이 과제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스포츠목표성향은 과제지속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포츠목표성향의 하위 영역 중에서 수행접근, 숙달회피는 과제지속성에 정(+)의 영향을, 수행회피는 과제지속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숙달접근은 과제지속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국 본 연구의 결과는 운동선수들이 훈련과 시합을 통하여 기술이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전에 정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루고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참여를 통해 자기 스스로의 만족을 통해 긍정적인 마음가짐으로 운동수행을 해나가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sports goal orientation, which wa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related to sports, and athletic performance of college taekwondo poomsae event player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sports goal orientation, which wa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related to sports, and athletic performance of college taekwondo poomsae event player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355 male and female taekwondo poomsae event players of four-year colleges in the Seoul and Gyeonggi-do regions.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four variable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 gender, school year, career, and prize winning – were set as background variables, and four sports goal orientation variables – performance approach, performance avoidance, mastery approach, and mastery avoidance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thletic performance, which was a single factor of task duration, wa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In this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directly distributed to the male and female poomsae event players of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regions by utilizing research tools in the form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based on the scales of previous research.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in sports goal orient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orts goal orientation’s subordinate domains – performance approach, performance avoidance, mastery approach, and mastery avoidance – according to gender, prize winning, and career. However, in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according to school year, performance approach among sports goal orientation domain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first-year class group,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reshman, junior, and senior class groups. Secondly,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in task dur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school year, prize winning, and career. Thirdly,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the effects of sports goal orientation on task duration showed that sports goal orient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ask duration and performance approach. Mastery avoidance among sports goal orientation’s subordinate domains had positive (+) effects on task duration, performance avoidance had negative (-) effects on task duration, and mastery approach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ask dura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it was important for athletes to enhance their techniques and abilities through training and games, but also that it was important for them to set accurate goals and to exercise with a positive mindset. They should work towards their own self-satisfaction through continuous participation in their sport and also towards the achievements of their go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연구모형 4
      • 4. 용어의 정의 5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연구모형 4
      • 4. 용어의 정의 5
      • 5. 연구의 제한점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태권도에 관한 검토 7
      • 2. 스포츠목표성향에 관한 이론 16
      • 3. 경기력에 관한 논의 22
      • Ⅲ. 연구방법 26
      • 1. 연구대상 26
      • 2. 조사도구 27
      • 3. 조사절차 31
      • 4. 자료처리 31
      • Ⅳ. 연구결과 32
      •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목표성향 차이 32
      • 2. 스포츠목표성향과 과제지속성의 상관관계 36
      • 3. 스포츠목표성향이 과제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37
      • Ⅴ. 논의 38
      •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목표성향의 차이 38
      • 2. 스포츠목표성향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39
      • Ⅵ. 결론 및 제언 41
      • 참고문헌 44
      • 부 록 55
      • Abstract 6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