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사민속학과 기록자료 활용 = Utilization of Recorded Data in Historical Folklife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702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연구논문의 성격이라기보다 한국역사민속학회의 25년을 회고하면서 그동안 이루어낸 학술사적 성과와 반성,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들을 점검하는 소박한 글이다. 학회 창립기의 의식...

      본고는 연구논문의 성격이라기보다 한국역사민속학회의 25년을 회고하면서 그동안 이루어낸 학술사적 성과와 반성,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들을 점검하는 소박한 글이다. 학회 창립기의 의식과 방향성이 과연 무엇이었으며, 또한 그 목적은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를 반추하면서, 앞으로 좀더 보완하여야 할 부면을 지적하여 본 것이다.
      1990년 한국역사민속학회의 태동은 기존의 민속학연구가 지닌 역사적 이해의 한계, 즉 ‘민속의 역사적 변천과 전개 양상의 차이’에 대한 불만과 아쉬움, 그리고 역사학의 민중생활사에 대한 무관심을 반전시키고자 하는 새로운 모색이자 시도였다. 창립의 주역들은 평소 민속학 연구에 대하여 비판과 문제의식을 가졌던 소장 민속학, 역사학, 인류학, 종교학 등 여러 분야 소장연구자들로 이들은 민중생활사 정리방법론, 역사민속학사의 정리, 지역자료의 광범한 발굴과 활용, 종합문화로서의 학제적 연구방법 시도 등등 기존의 학계와 다른 연구성과를 축적하였다.
      본고에서는 민중생활사, 생활문화사와 관련하여 기록 자료의 다양한 탐색과 광범한 동원 활용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특히 필자의 자료 동원 경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생생한 생활일기 자료라든가, 집안의 교육의 산 자료로서 가훈류 자료, 그리고 마을의 운영과 세세한 생활문화를 기록화한 성책 고문서 자료의 중요성과 활용 가능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지적과 제안을 토대로 향후 역사민속학이 쓰여 지지 않은 자료와 쓰여 진 기록자료 사이에서 더 많은 자료원을 찾고 활용하는 방법들을 모색하기를 기대해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not so much a research paper as a plainly written article to examine the results, reflections, and follow-up tasks of Korea Society for Historical Folklife Studies in terms of its academic history by looking back on the last 25 years. This stu...

      This is not so much a research paper as a plainly written article to examine the results, reflections, and follow-up tasks of Korea Society for Historical Folklife Studies in terms of its academic history by looking back on the last 25 year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consciousness and directivity of the society’s foundation, reflect how much its goal has been achieved, and the auxiliary aspects to be complemented further afterwards.
      The birth of Korea Society for Historical Folklife Studies in 1990 was a new grouping and trial to reverse indifference to history of folklife in our history within the limitations of historical understanding that previous folklore research has, that is, complaints and regrets about ‘the historical changes of folklore and difference in the aspects of development’. The initiators of its foundation were the researchers in such areas as folklore, history, anthropology, and religious studies having a critical mind about the folklore research constantly, and they accumulated research results different from those of previous academic circles by organizing the arrangement methodology of history of folklife and history of historical folklife studies, excavating and using regional data exclusively, or try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s as general culture.
      Meanwhile,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to explore diversely and mobilize and use exclusively recorded data regarding history of folklife and history of living culture. Particularly they include the lively diary data found by this author’s data mobilization experience, data of family mottos as living data of family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classical data recording a village’s operation and detailed living cul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pointing out and suggestion will be used as methods to find and use more data sources from the recorded data as well as unwritten data of historical folklife studies afterwar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역사와 민속, 그리고 역사민속학회
      • 3. 역사민속학과 기록 자료
      • 4. 다양한 기록자료원의 동원 - 그 발굴과 정리 가능성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역사와 민속, 그리고 역사민속학회
      • 3. 역사민속학과 기록 자료
      • 4. 다양한 기록자료원의 동원 - 그 발굴과 정리 가능성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해준, "향토사의 길잡이" 1996

      2 이해준, "한말-일제시기 “생활일기”를 통해 본 촌락사회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3 : 1996

      3 이해준, "한국의 마을문화와 자치 자율의 전통"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32 : 2005

      4 성병희, "한국민속학의 과제와 방법" 정음사 1986

      5 이해준, "한국민속사연구입문" 1996

      6 제주도·탐라순력도연구회, "탐라순력도연구논총"

      7 이해준, "초려 이유태의 향약과 정훈" 신서원 1997

      8 염정섭, "조선시대 일기류 자료의 성격과 분류" 24 : 1997

      9 정구복, "조선시대 일기류 자료의 성격" (65) : 1996

      10 우인수, "조선시대 생활사연구의 현황과 과제" 23·24 : 1999

      1 이해준, "향토사의 길잡이" 1996

      2 이해준, "한말-일제시기 “생활일기”를 통해 본 촌락사회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3 : 1996

      3 이해준, "한국의 마을문화와 자치 자율의 전통"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32 : 2005

      4 성병희, "한국민속학의 과제와 방법" 정음사 1986

      5 이해준, "한국민속사연구입문" 1996

      6 제주도·탐라순력도연구회, "탐라순력도연구논총"

      7 이해준, "초려 이유태의 향약과 정훈" 신서원 1997

      8 염정섭, "조선시대 일기류 자료의 성격과 분류" 24 : 1997

      9 정구복, "조선시대 일기류 자료의 성격" (65) : 1996

      10 우인수, "조선시대 생활사연구의 현황과 과제" 23·24 : 1999

      11 정무곤, "조선시대 가훈서의 교육학적 해석"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12 양순필, "제주 유배가사에 나타난 생활상" 17 : 1984

      13 한국역사민속학회, "역사속의 민중과 민속" 이론과 실천사 1991

      14 주강현, "역사민속학의 단절과 복원" (11) : 2000

      15 주강현, "역사 속의 민중과 민속" 이론과 실천사 1991

      16 정승모, "세시관계 기록들을 통해 본 조선시기 세시풍속의 변화" 한국역사민속학회 (13) : 2001

      17 이해준, "생활사연구의 역사민속학적 모색" 한국역사민속학회 (13) : 2001

      18 국립민속박물관, "생활문화와 옛문서" 삼화문화사 1991

      19 이필영, "민속의 지속과 변동" 한국역사민속학회 (13) : 2001

      20 전호태, "문헌과 현장의 만남" 16 : 1995

      21 홍제연, "『호산록』에 나타난 조선 전기 서산의 사회상" (11)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6 1.48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