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현미 및 수수 첨가에 따른 생면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666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밀가루에 현미가루와 수수가루의 비율을 달리하여 혼합하고 1회 죽염 2%를 첨가하여 3가지의 생면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밀가루와 정제염으로 만든 생면과 품질특성 및 in vitro 항산화 효과를...

      밀가루에 현미가루와 수수가루의 비율을 달리하여 혼합하고 1회 죽염 2%를 첨가하여 3가지의 생면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밀가루와 정제염으로 만든 생면과 품질특성 및 in vitro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품질특성 중 중량, 수분흡수율, 탁도는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첨가한 WBSN-b가 39.5 g, 97.4%, 0.62로 나타나 밀가루로 제조한 WN-p 측정 결과인38.5 g, 92.5%, 0.59와 유사하였다. 탄력성은 WN-p(73.5%)와 WBSN-b(68.3%)에서 높았으며, 다음으로 WBN-b, WSN-b의 순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WBSN-b가 6.4점으로 가장 높았고, WSN-b, WBN-b, WN-p는 6.1, 5.3, 5.3점이었다. 생면의 pH는 WBN-b는 7.4, WBSN-b는 7.5, WSN-b는 7.5, WN-p는 6.6로 1회 죽염과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첨가한 생면이 pH가 높게 나타났다. DPPH free radical 및 hydroxy radical 소거 효과에서는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10%씩 혼합한 생면WBSN-b와 수수가루 20%를 혼합한 WSN-b가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각각 10%씩 그리고 1회 죽염 2%를 첨가한 생면이 밀가루로 제조한 생면의 품질특성에 가장 근접하였고, 기호면과 항산화 효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et noodles fortified by adding brown rice and sorghum powders. Wet noodl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WN-p (wheat flour 100%, purified salt 2%), WBN-b (wheat flour 80%, brown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et noodles fortified by adding brown rice and sorghum powders. Wet noodl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WN-p (wheat flour 100%, purified salt 2%), WBN-b (wheat flour 80%, brown rice powder 20%, bamboo salt (×1) 2%), WBSN-b (wheat flour 80%, brown rice powder 10%, sorghum powder 10%, bamboo salt (×1) 2%), and WSN-b (wheat flour 80%, sorghum powder 20%, bamboo salt (×1) 2%). The wet noodles were evaluated for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apacities to scavenge free radicals. The weight, volume, capacity to absorb water, and turbidity of cooked WBSN-b were close to those of cooked WN-p.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of cooked WBSN-b were the highest among all cooked noodles added with brown rice or sorghum powders and textural properties of cooked WBSN-b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WN-P.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overall acceptance of WBSN-b received the highest score of 6.4 points, which was higher than the score for WN-p.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ddition of brown rice and sorghum powder,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WBSN-b and WSN-b were the highest. In conclusion, wet noodles added with 10% brown rice powder, 10% sorghum powder, and 2% bamboo salt (×1) exhibited the same quality properties of WN-p. Addition of 10% brown rice powder, 10% sorghum powder, and 2% bamboo salt (×1) increased the sens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heat flour noodl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기환, "한국산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779-784, 2007

      2 조용기, "포도 과피 첨가량에 따른 생면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8 (18): 822-828, 2008

      3 황인국, "청양고추 착즙액 첨가에 따른 생면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860-866, 2011

      4 김영희, "죽염의 제조과정에 따른 성분함량의 변화 및 타 염류와의 비교" 대한약학회 47 (47): 135-141, 2003

      5 조흔, "죽염의 알칼리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301-1304, 2012

      6 나기수, "유기재배 쌀과 일반재배 쌀의 항산화 효과 및 품질 특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0 (50): 36-41, 2007

      7 심재용, "양파즙을 첨가하여 만든 밀가루 반죽과 국수의 특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0 (10): 54-59, 2006

      8 신원선, "양파즙 첨가 생면의 최적화"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31-38, 2009

      9 이정미, "소금종류별에 따른 첨가가 생면의 품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776-1780, 2011

      10 김병기, "세몰리나 첨가가 쌀국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5 (15): 56-63, 2011

      1 심기환, "한국산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779-784, 2007

      2 조용기, "포도 과피 첨가량에 따른 생면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8 (18): 822-828, 2008

      3 황인국, "청양고추 착즙액 첨가에 따른 생면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860-866, 2011

      4 김영희, "죽염의 제조과정에 따른 성분함량의 변화 및 타 염류와의 비교" 대한약학회 47 (47): 135-141, 2003

      5 조흔, "죽염의 알칼리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301-1304, 2012

      6 나기수, "유기재배 쌀과 일반재배 쌀의 항산화 효과 및 품질 특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0 (50): 36-41, 2007

      7 심재용, "양파즙을 첨가하여 만든 밀가루 반죽과 국수의 특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0 (10): 54-59, 2006

      8 신원선, "양파즙 첨가 생면의 최적화"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31-38, 2009

      9 이정미, "소금종류별에 따른 첨가가 생면의 품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776-1780, 2011

      10 김병기, "세몰리나 첨가가 쌀국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5 (15): 56-63, 2011

      11 김영애, "뽕잎분말의 첨가가 국수의 조리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8 (18): 632-636, 2002

      12 김수민, "복분자와 백련초가 첨가된 닭가슴살 면류 개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111-1117, 2009

      13 오세관, "발아현미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963-969, 2012

      14 공수현, "발아현미 첨가에 따른 국수의 제조 특성과 GABA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274-280, 2010

      15 이현애, "매실(Prunus mume) 착즙액이 항균성과 생면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8 (18): 428-436, 2003

      16 민성희, "둥굴레 가루 첨가 국수의 제면 특성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524-530, 2010

      17 정창호, "동결건조 마늘 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369-1374, 2008

      18 홍예문, "대두분말의 첨가가 제면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학회 16 (16): 417-422, 2003

      19 현효은, "깻잎 첨가 국수 대량 생산 공정 개발 및 이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688-1693, 2011

      20 이영택, "가열처리가 잡곡류의 in vitro 전분가수분해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102-1105, 2006

      21 박장현, "가루녹차 첨가가 제면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1021-1025, 2003

      22 Sohn WS, "The effect of NaCl and bamboo salt on the growth of various oral bacteria" 15 : 255-268, 1991

      23 Hahn DH, "Tannin and phenols of sorghum" 29 : 776-779, 1984

      24 Lee CH, "Studies on the texture describing terms of Korean" 14 : 21-29, 1982

      25 Chae SG., "Standard food chemistry" Hyoil Publishing Co. 250-485, 2007

      26 Awika JM, "Sorghum phytochemicals and their potential impact on human health" 65 : 1199-1221, 2004

      27 Kim SK, "Radical distribution of calcium, phosphorus, iron, thiamine and riboflavin in the degermed brown rice kernel" 11 : 122-125, 1979

      28 Kim YS, "Quality of wet noodle prepared with wheat flour and mushroom powder" 30 : 1373-1380, 1998

      29 Choi JH,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sprouted brown rice flour" 17 : 323-328, 2001

      30 Lee WJ,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eparation of noodles from brown rice flour and colored rice flour" 8 : 267-278, 2002

      31 Juliano BO,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 Inc. 17-18, 1985

      32 Chung SK, "Hydroxyl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spices and scavengers from brown mustard(Brassica nigra)" 61 : 118-123, 1997

      33 Yun SS, "History of noodle culture in Korea" 6 : 85-94, 1991

      34 Song BH, "Distribution of protein, fat, and ash within the degermed brown rice kenel" 31 : 1-6, 1988

      35 Jo JC, "Cooking quality of noodle affected by NaCl" 5 : 471-483, 1999

      36 Lee SY, "Comparison of noodle-relate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imported wheat" 29 : 44-45, 1997

      37 Barnick M, "Changes in phytate content and phytase activity during the germination of some cereals" 5 : 23-28, 1987

      38 Xin Zhao, "Antioxidation and Cancer Cell (HT-29)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Rubus coreanus Miquel Bamboo Salt" 대한암예방학회 15 (15): 306-312, 2010

      39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9-1200, 1958

      40 Nakagawa K, "Accumulation of γ-aminobutyric acid(GABA)in the rice germ" 31 : 43-46,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