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논쟁문제 유형 및 논쟁문제 교수학습 과정 분석 = An Analysis of the Presentation of Controversial Issue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Focusing on Middle School Textbook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는 논쟁문제를 제시 영역과 단원, 논쟁문제의 유형, 논쟁문제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논쟁문제는 주...

      본 연구는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는 논쟁문제를 제시 영역과 단원, 논쟁문제의 유형, 논쟁문제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논쟁문제는 주로 법과 정치 영역에서 제시되었으며, 특정 주제 요소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논쟁문제의 유형으로 영속적 문제보다는 구체적 사례 문제가 주로 제시되고, 개인 선택문제보다는 공공 선택 문제가 다수였으며, 합의된 문제보다 열린 문제의 형태로 제시되는 경향이 있었다. 교과서 자료에 제시된 논쟁문제 교수학습 과정은 학생들이 논쟁문제의 배경 지식을 이해한 후, 논쟁문제에 관한 최종 의사 결정을 하도록 하는 유형이 주로 나타났다. 논쟁 문제의 교수학습 과정인 논쟁문제의 배경 지식 제공, 찬반 입장의 균형적 제시, 토론 과정, 의사 결정을 모두 제시한 자료는 소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일반사회의 다양한 영역과 단원에서 논쟁문제를 다루며, 구체적 사례와 영속적 문제를 연결지어 논쟁문제를 학습하고, 개인 선택과 공공 선택의 문제를 균형있게 다룰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열린 문제 형태의 논쟁문제를 제시하여 찬반의 대립적인 입장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개진 기회를 제공하며, 논쟁문제의 교수학습 과정을 명확하게 제시함으로써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것을 주장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controversial issues (CIs) presented in the Korea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It focuses on (a) the subject areas and units that CIs are presented in, (b) the types of CI questions, and (c) learning instruction for the...

      This study examines controversial issues (CIs) presented in the Korea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It focuses on (a) the subject areas and units that CIs are presented in, (b) the types of CI questions, and (c) learning instruction for the CIs within the textbook materials. Following are the analysis results: first, most CIs were found in law and politics-related areas and dealt with a few topics. Second, in the analyzed textbooks, specific case issues were more used than perennial issues, public more than private issues, and open issues more than settled issues. Third, only a few materials in the textbooks included all four steps of CIs instruction―learning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CI, studying perspectives of pros and cons, discussion with classmates, and making a decision. Most textbook materials provided the CIs’ background information and then asked students to make their own decis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better CIs teaching and learning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las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윤경, "초등학생의 정치·사회적 이슈 대화 및 토론 경험 분석: 청소년 시민성 교육에의 시사점"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89-120, 2015

      2 구정화, "초등학생의 논쟁문제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9 (49): 1-13, 2010

      3 이현주, "집단지성을 강조한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중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의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431-442, 2015

      4 조철기,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환경문제’와 ‘환경이슈’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7 (57): 135-150, 2018

      5 구정화, "중학교 사회 ①, ②" 천재교육 2018

      6 이진석, "중학교 사회 ①, ②" 지학사 2018

      7 이민부, "중학교 사회 ①, ②" 박영사 2018

      8 최성길, "중학교 사회 ①, ②" 비상교육 2018

      9 김영순, "중학교 사회 ①, ②" 동아출판 2018

      10 박형준, "중학교 사회 ①, ②" 천재교과서 2018

      1 박윤경, "초등학생의 정치·사회적 이슈 대화 및 토론 경험 분석: 청소년 시민성 교육에의 시사점"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89-120, 2015

      2 구정화, "초등학생의 논쟁문제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9 (49): 1-13, 2010

      3 이현주, "집단지성을 강조한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중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의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431-442, 2015

      4 조철기,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환경문제’와 ‘환경이슈’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7 (57): 135-150, 2018

      5 구정화, "중학교 사회 ①, ②" 천재교육 2018

      6 이진석, "중학교 사회 ①, ②" 지학사 2018

      7 이민부, "중학교 사회 ①, ②" 박영사 2018

      8 최성길, "중학교 사회 ①, ②" 비상교육 2018

      9 김영순, "중학교 사회 ①, ②" 동아출판 2018

      10 박형준, "중학교 사회 ①, ②" 천재교과서 2018

      11 모경환, "중학교 사회 ①, ②" 금성출판사 2018

      12 김진수, "중학교 사회 ①, ②" 미래엔 2018

      13 오연주,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의 정치적 관심도에 따른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 실천에 대한 인식과‘회피’지향성 분석 - 충청권 소재의 국립대 재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2 (22): 79-89, 2015

      14 손병노, "쟁점중심 사회과 토론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 중립적 교사 역할의 재음미" 한국사회과수업학회 6 (6): 1-18, 2018

      15 구정화, "쟁점 중심 사회과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 -2000년대 ‘시민교육연구’와 ‘사회과교육’ 학회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1-20, 2009

      16 모경환, "온라인 공론장에서의 의제설정을 활용한 사회과 쟁점중심 수업모형 개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25-50, 2009

      17 노경주, "시민교육 관점에서 본 쟁점 중심 교육의 의의와 전략"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0 (50): 49-76, 2018

      18 정문성, "사회과 협동 학습에서의 논쟁 교수 모형" 13 : 259-276, 1997

      19 이미나, "사회과 논쟁문제의 해결 과정에 인터넷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이 경제이해력과 논변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7 (37): 101-126, 2005

      20 차경수, "사회과 논쟁문제의 교수모형" 19 : 225-240, 1994

      21 구정화, "사회과 논쟁문제에 대한 웹 기반 토론수업의 효과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4 (34): 1-23, 2002

      22 김영현, "사회과 논쟁문제수업의 다문화 교육적 효과: 다문화수용성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337-352, 2021

      23 이광성, "사회과 논쟁문제 학습에서 교사의 역할과 고급사고력" 34 : 383-400, 2001

      24 이바름, "사회과 논쟁문제 토론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2 (52): 187-212, 2020

      25 이윤주,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에서의 ‘이견(異見)접촉과 논증유형’이 청소년의 정치적 관용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6 (16): 239-270, 2010

      26 구정화,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에 관한 연구" 27 (27): 167-190, 1998

      27 전제철,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모형과 비례의 원칙" 한국법교육학회 7 (7): 151-179, 2012

      28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29 모경환, "사회과 교육" 동문사 2021

      30 송성민, "사회과 교과서의 텍스트 구조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 -정량적 분석 방법의 제안-"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5 (45): 101-137, 2013

      31 박윤경, "사회과 교과서에서 사회적 논쟁 문제를 다루는 방식: 호주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8 (38): 67-100, 2006

      32 오현철, "사회과 ‘논쟁 문제’ 수업 개선을 위한 제언 - 토의민주주의 경험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14 (14): 125-164, 2016

      33 윤상균, "뿔난 남학생 가르치기: 성차별 문제 수업의 어려움" 한국사회과수업학회 8 (8): 1-28, 2020

      34 곽한영, "법적 딜레마를 활용한 법교육 교수학습방안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54 (54): 639-651, 2015

      35 이윤호, "논쟁적 경제문제의 기본적 쟁점구조"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5 (35): 4-94, 2003

      36 이광성, "논쟁문제의 해결 과정에서 유추의 필요성과 역할"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0 (50): 129-144, 2018

      37 옹진환, "논쟁문제 수업에서 교사 의견 표명의 정당성 탐색 - 켈리에 대한 오해와 이해를 넘어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4 (44): 129-161, 2012

      38 주은옥, "논쟁 수업을 위한 ‘찬반 협상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32 : 325-351, 2001

      39 이광성, "교사의 역할에 따른 논쟁문제 학습의 효과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4 (34): 11-250, 2002

      40 구정화, "공론화를 적용한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방안 -숙의 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민주시민교육을 지향하며-"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2 (52): 1-26, 2020

      41 오연주,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 토론수업에서 학생들은 왜 말하지 않는가?"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9 (49): 121-136, 2010

      42 오연주, "공공쟁점 중심 교육에서 한국 사회과 교사의 역할 지향성 분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 (20): 67-79, 2013

      43 오연주, "공공쟁점 수업 참여 학습자의 토론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4 (44): 101-127, 2012

      44 이정현, "공공 쟁점 시리즈를 활용한 「사회」·「과학」통합 수업의 구성과 실천" 107-122, 2017

      45 오연주, "공공 쟁점 사회과 토론학습에서 소극적 참여자의 정치적 효능감 증진 효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195-209, 2012

      46 장혁준, "가치판단의 정당화 모델로서 사회과 논쟁문제학습의 가능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7 (27): 57-85, 2020

      47 Hess, D. E., "The political classroom : Evidence and ethics in democratic education" Routledge 2015

      48 Krug, M. M., "The Oliver-Shaver approach to social studies" 1 (1): 22-26, 1968

      49 Parker, W. C., "Teaching with and for discussion" 17 (17): 273-289, 2001

      50 Oliver, D. W., "Teaching public issues in the high school" Houghton Mifflin Company 1966

      51 Dahl, R. A., "On democrac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98

      52 Council of Europe, "Living with controversy: Teaching controversial issues through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and human rights (EDC/HR E)"

      53 Parker, W. C., "Feel free to change your mind : A response to"The potential for deli erative democratic civic education"" 19 (19): 1-4, 2011

      54 Gutmann, A., "Democratic educ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9

      55 Avery, P. G., "Deli erating controversial public issues as part of civic education" 104 (104): 105-114, 2013

      56 Johnson, D. W.,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through academic controversy" 37 (37): 40-53, 1993

      57 Hess, D. E., "Controversy in the classroom : The democratic power of discussion" Routledge 2009

      58 Sweeney, J. A. C., "Controversial issues in the social studies: A contemporary perspective"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45-83, 1975

      59 박가나,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통합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논쟁 문제 양상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72 : 31-62,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Association of Soci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5 1.81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